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 MEDIA

ASTI Market Insight가 주목한 유망 기술들

ASTI Market Insight가 주목한 유망 기술들



기술 시장의 최전선에는 기존 산업의 틀을 뛰어넘는 혁신적인 기술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특히 지능형 가상 비서 서비스, 안티드론, 임베디드 AI, AI 카메라, 디지털 트윈 헬스케어, 로봇 컨트롤러와 같은 여섯 가지 핵심 기술은 인공지능과 첨단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며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KISTI의 ASTI Market Insight는 이러한 기술 트렌드 중 주목할 만한 6가지를 집중 조명했다. 이들 분야의 산업 동향과 발전 가능성을 함께 심층적으로 살펴보자.



1. 안티드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인기를 얻고 있는 드론은 이제 전쟁에서 무기화되거나 국가 주요 시설에 대한 테러 행위에 사용되면서, 비인가 드론을 탐지하고 식별하며 무력화하는 안티드론 솔루션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안티드론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22년 12억 2,290만 달러에서 연평균 27.5%의 급성장을 통해 2028년에는 52억 4,48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안티드론 솔루션은 탐지 기술과 무력화 기술로 구분되며, 탐지 시장은 2022년 3억 610만 달러에서 2028년 10억 5,130만 달러로, 무력화 기술 시장(탐지 포함)은 2022년 9억 1,680만 달러에서 2028년 41억 9,350만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러한 시장 성장을 위해서는 시스템 운용 가이드라인과 2차 피해 책임 범위 규정 등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시장 진입 전략은 기술 분야별로 달라야 하는데, 탐지 기술은 빠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한 차별화가 중요하며, 무력화 기술은 2차 피해 예방 규제를 충족하는 기술 개발이 핵심이다.



2. 임베디드AI

임베디드 AI 시장은 하드웨어 기기 자체에서 작동하는 임베디드의 고유한 특징으로 인해 네트워크 트래픽 감소, 실시간 데이터 분석과 처리, 낮은 운영비, 그리고 향상된 응용 서비스 성능 제공이라는 강점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의 수요를 증대시키며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임베디드 AI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23년 96억 6,500만 달러에서 연평균 14.0% 성장해 2028년에는 18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28년에는 시장이 크게 세 부문으로 나뉨에 따라 하드웨어 부문은 113억 8,500만 달러, 소프트웨어 부문은 57억 2,200만 달러, 서비스 부문은 8억 9,400만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제조 분야의 임베디드 AI 시장은 2028년 27억 6,200만 달러로 가장 큰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된다. 헬스케어 및 생명 과학 분야는 2028년까지 연평균 15.8%로 가장 빠르게 성장하여 25억 1,2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임베디드 AI는 산업 전반에 걸친 수요 확대를 기반으로 AI 생태계 전반의 성장을 촉진하는 선순환적인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기대된다.



3. AI 카메라

AI 카메라는 인공지능(AI)과 컴퓨터 비전 기술을 접목하여 기능성과 역량을 강화한 카메라를 의미한다. 이 AI 카메라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23년 75억 8,700만 달러에서 연평균 23.9%로 성장하여 2028년에는 221억 2,72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적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AI 카메라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특히 AI 카메라는 단일 장비로서의 활용을 넘어 다양한 산업과의 통합 및 결합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관련 경쟁과 기술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더불어, 일부 AI 기술 개발에 필수적인 이미지 데이터의 수집 및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은 AI 카메라 수요를 더욱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국내 시장 참가자들에게도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4. 지능형 가상 비서 서비스 (IVA)

대화형 인공지능은 챗봇, 스마트 스피커 기반의 지능형 가상 비서(IVA), 대화형 음성 응답(IVR)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IVA는 사용 편의성과 접근성이 높아 자율성, 능동성 등의 특징을 가지며, 자연어 처리(NLP), 머신러닝(ML), 딥러닝(DL) 등 대화 처리 기술을 통합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활용된다. 특히 생성형 AI 도입으로 감성 기반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IVA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18년 14억 2,400만 달러에서 2022년 38억 달러로 성장했으며, 2028년에는 149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개인 정보 침해, 데이터 처리 오류 등 개인 정보 관련 이슈가 시장의 주요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개인화된 경험 제공과 강력한 개인 정보 보호 조치 간의 균형 유지가 IVA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에 매우 중요하다.



5. 디지털 트윈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 헬스케어는 환자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체 및 내부 장기를 시각화하고, 생체 신호 모니터링, 진단 및 치료 시뮬레이션, 개인 가상 주치의 등 무궁무진한 활용 가능성을 제공한다.



미국, 유럽 등 주요 선진국은 이 기술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나, 국내는 아직 미흡하여 지속적인 성장 동력 마련이 필요하다. 세계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16억 달러에서 연평균 약 67% 성장하여 2028년에는 약 21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개인 맞춤형 의료’ 분야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디지털 트윈 헬스케어는 빅데이터 기반의 시뮬레이션과 실시간 분석을 통해 환자 건강 및 자원 활용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지만, 의료 지식과 빅데이터, AI 등을 겸비한 전문 인력 양성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6. 로봇 컨트롤러

로봇 컨트롤러 시장은 제조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 비용 절감을 위한 자동화 채택 증가에 따른 산업용 로봇 수요 성장과 전자 상거래 및 물류 부문의 인건비 절감 및 지능형 자동화 확대에 따른 서비스 로봇 수요 성장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로봇 컨트롤러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23년 63억 1,400만 달러에서 연평균 14.8% 성장해 2028년에는 125억 6,9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 중 2028년 로봇 컨트롤러 시장에서 산업용 로봇 부문은 81억 8,400만 달러, 서비스 로봇 부문은 43억 8,500만 달러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자동차 분야의 로봇 컨트롤러 시장은 2028년 36억 9,900만 달러로 가장 큰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되며, 전자 상거래 및 물류 분야는 연평균 18.6%로 가장 빠르게 성장해 18억 5,600만 달러의 시장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향상된 센서, 기계 학습, 인공 지능 기술을 포함한 로봇 공학 기술의 발전은 산업용 로봇, 협동 로봇 및 서비스 로봇의 기능을 확장하여 여러 산업에 걸친 로봇 및 로봇 시스템 수요 확대에 대응함으로써 로봇 컨트롤러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이다.

목록

다음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