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총 게시글 579 RSS
  • 282025. 10
    No. 579 View. 3769

    KISTI 우수기술전시회, Connect Day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한국과학기술지주, 티비즈, 기술보증금 상담신청 QR코드 연결 2025 KISTI 우수기수설명회 R&BD 협력을 위한 KISTI Connect Day AI 대표 출연(연) KISTI의 기술로 R&BD 과제에 함께 도전할 기업을 초대합니다. 일시/장소 2025.11.13. 목요일 오후 1시~5시 / 서울 강남역 인근 한국지식재산센터 B1 장영실홀 목적 KISTI의 우수 기술을 연구자가 직접 소개하고 함께 R&BD 과제에 도전할 기업을 모집 단순 기술이전을 넘어 공동 연구개발 파트너십 제안 구성 1:00~2:00 - 연구자 기술발표, 연구단/센터소개 2:00~5:00 - KISTI 1:1 기술 상담 및 R&BD 과제 협의 / 연구개발특구재단 정부지원 R&BD 과제 상담 / KST 한국과학기술지주 투자 상담 / 티비즈 기술이전을 통한 연구소기업 설립 상담 / 기술보증기금 IP-이전 보증 상담 우수기술 AI - AIDE 거대언어모델 개발 지원을 위한 LLMOps플랫폼 AI - DOREA PDF 문서 기반 지능형 질의응답 AI 어시스턴트 AI - Spectra Bench LLM 평가를 위한 지능형 통합 벤치마크 AI - KISTI-MCP LLM 에이전트용 과학기술정보 통합 인터페이스 AI - ASTRO 연구개발 데이터 분석장치 및 자동 보고서 생성 방법 AI - 전자문서 자동 추출 및 구조화 기술 AI - 인공지능 기반 콘텐츠 추천 장치 AI - AI 기반 글로벌(GVC) 위기 예측 시스템 NETWORK - 실용적 디지털 서명 및 고요휼 동형암호 NETWORK - 양자통신 네트워크 통합 관리 기술 연구단/센터 초거대 AI 연구센터 - 초거대 AI 및 과학기술 AI 기술 개발, LLMOps 체계 구축 데이터큐레이션센터 - 과학기술정보 데이터 큐레이션 및 패키지 자동화 NTIS센터 - NTIS 운영, 부처 R&D 정보 통합 및 정책지원 양자통신연구단 - 양자암호통신 기술 개발, 양자보안 생태계 조성 문의 티비즈 차무상 수석연구원 010-2679-1610 cha@tbizip.com 국가슈퍼컴퓨터를 운용하는 AI 대표 정출(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우수기술설명회 및 R&BD 협력을 위한  KISTI Connect Day가 2025.11.13.(목) 오후 1시 서울 강남역 인근 한국지식재산센터 B1 장영실홀에서 개최됩니다. KISTI의 우수 기술을 연구자가 직접 소개하고 함께 R&BD 과제에 도전할 기업을 모집합니다. 단순 기술이전을 넘어 공동 연구개발 파트너십을 제안합니다. 이번 전시회에 출품되는 기술과 KISTI의 연구단/센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참가신청 :  R&BD 협력을 위한 KISTI Connect Day 참가 및 상담 신청
  • 222025. 09
    No. 578 View. 16328

    국가슈퍼컴퓨터 6호기 명칭 선정 결과 안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가슈퍼컴퓨터 6호기 명칭 공모전 공모전 당선작 발표 공모전에 참가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대상 한강(HANGANG) 김*경 (0324, 8.11. 15:48 PM) 최우수상 이도(Ido) 김*선 (5492, 8.11. 11:19 AM) 우수상 울림(Ullim) 박*정 (8333, 8.13. 10:03 AM) 당첨자에게 별도 연락 예정이며 잘못된 개인정보로 인한 오류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중복 명칭의 경우 우선 접수된 작품으로 수상작을 선정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기타 문의사항이 있으실 경우 공모전 담당자(042-869-1034)에게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입니다. 국민 여러분의 참여로 진행된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 명칭 공모전의 최종 결과를 안내드립니다.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의 공식 명칭은 ‘한강(HANGANG)’으로 선정되었습니다.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의 공식 명칭 ‘한강(HANGANG)’은  "끊임없는 흐름과 연결성,  국가 핵심 인프라로서의 역할,  초대형 연산 규모와 확장성,  그리고 한강의 풍부한 수량과 유구한 역사"를 상징합니다. 공모전 수상자 분들께는 이번 주 내로 별도 연락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과 소중한 아이디어를 보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국가 초고성능컴퓨팅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292025. 08
    No. 577 View. 27662

    국가슈퍼컴퓨터 6호기 명칭 공모 발표 연기 안내

    안녕하세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입니다.  먼저, 국가슈퍼컴퓨터 6호기 명칭 공모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예상보다 더 많은 응모작이 접수되어 면밀한 심사가 필요함에 따라, 당초 8월 29일(금) 예정이었던  당선작 발표가 부득이하게 연기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검토가 완료되는 대로 확정된 발표 일정을 홈페이지를 통해 다시 안내드리겠습니다.  관심과 성원을 보내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리며, 양해 부탁드립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드림
  • 262025. 08
    No. 576 View. 28598

    한국슈퍼컴퓨팅컨퍼런스(KSC) 2025 개최 안내

    국내외 슈퍼컴퓨팅 전문가와 연구자들이 모이는 한국슈퍼컴퓨팅컨퍼런스(KSC) 2025가 오는 9월 4일(목)부터 5일(금)까지 서울 코엑스 아셈볼룸에서 개최됩니다. 올해 KSC는 'The Next Frontier: HPC with AI and Quantum'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전통적인 HPC 기술을 넘어 인공지능(AI)과 양자컴퓨팅의 융합이 가져올 새로운 미래를 함께 조망하고자 합니다. 이번 행사는 슈퍼컴퓨팅 기반의 최신 연구 성과와 산업 적용 사례를 공유하고, 융합 기술의 최신 동향을 교류하는 뜻깊은 자리입니다. 참가자 여러분은 HPC·AI·양자기술의 미래를 함께 논의하며, 새로운 비전을 발견하는 소중한 경험을 하게 될 것입니다. 현재 KSC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등록이 진행 중이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THE NEXT FRONTIER: HPC with AI and Quantum QR코드 Korea Supercomputing Conference 2025 KSC2025 2025년 9월 4일(목)~5일(금) | 코엑스 아셈볼룸 전관(2F) Registration at www.ksc-hpc.kr AI와 양자컴퓨팅의 융합으로, HPC는 새로운 가능성의 지평을 열어갑니다. KSC2025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KEYNOTE SPEECHYouTube Live September 05(FRI) Keynote 1 전통적 계산의 경계를 넘어: 양자컴퓨터의 도전과 통찰 Beyond the Classical Limits: Quantum Challenges and Insights 김기환 교수, 칭화대학교 September 05(FRI) Keynote 2 GPU 클러스터, 창작의 새 시대를 열다: 멀티모달 AI 혁명 Unleshing a New Era of Creation with GPU Clusters: The Multimodal AI Revolution 이연수 대표, NC AI PROGRAM DAY1 | September 04, 2025 Workshop, Conference HPC+AI 인프라 기술 동향 및 국내 대형 시스템 소개 AI+Phsysics Hybrid Computing AI·HPC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기술 고신뢰도모델 슈퍼컴퓨팅 가속화 기술 개발 기상·기후 분야 초고성능컴퓨팅 활용고도화 2025년 한국계산과학공학회 추계학술대회 DAY2 | September 05, 2025 기조연설 1, 2YouTube Live KSC2025 개회식YouTube Live Workshop, Community Forum 양자컴퓨팅 활용 및 양자-HPC 하이브리드 컴퓨팅 기술 차세대 장치 기반 HPC/클라우드 기술 초고성능컴퓨팅과 AI 기반 제약·바이오 분야 연구개발 혁신 초저전력 반도체 슈퍼컴퓨팅 실시간 모사 기술 초고성능컴퓨팅 SW 생태계조성사업 상고 교류회 KSCA(한국슈퍼컴퓨팅센터연합) 운영위원회(비공개) Associated Program | Tutorial - [September 03, 2025 10:00~18:00 / 양재 엘타워 비바체룸-2층] 국가슈퍼컴퓨팅 6호기 사용자를 위한 NVIDIA & HPE 연계 프로그램(Deep Learning Institute: Fundamentals of Accelerated Computing with Modern CUDA C++) 주최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주관 : 국가슈퍼컴퓨팅본부, 한국초고성능컴퓨팅포럼, 한국계산과학공학회 / 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홈페이지: https://www.ksc-hpc.kr/ 사전등록: https://www.ksc-hpc.kr/#registration [행사 개요] ○ 행사명: 한국슈퍼컴퓨팅컨퍼런스(KSC) 2025 ○ 일시: 2025년 9월 4일(목) 13:00 ~ 9월 5일(금) 18:00 ○ 장소: 서울 삼성동 코엑스 아셈볼룸 ○ 비고: 참가비 무료 / 9월 5일(금) 점심식사 1회 제공 자세한 프로그램 및 세부 내용은 첨부된 문서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문의처: KSC2025 등록사무국 | ksc@connect-comm.net | 070-4820-4830
  • 112025. 08
    No. 575 View. 34090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 명칭 공모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 명칭 공모전 공모전 소개 국가슈퍼컴퓨터 6호기, 이름을 지어주세요! 615PF급 성능을 갖춘 차세대 국가슈퍼컴퓨터 6호기, 내년 상반기 정식 서비스를 앞두고 있습니다. 국민 여러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새로운 국가슈퍼컴퓨터의 이름을 함께 만들어 주세요! 공모대상 1. 국가슈퍼컴퓨터 6호기 명칭(국문, 영문) 2. 명칭의 의미 참가자격 슈퍼컴퓨터를 사랑하는 국민 누구나 주요일정 - 접수기간: 2025.08.11.(월) 09:00 ~ 2025.08.22.(금) 18:00까지 - 결과공개: 2025.08.29.(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홈페이지에서 발표) 시상내역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 명칭 공모전 시상 내역을 설명하는 표 구분 대상작 최우수작 우수작 명칭(영문, 국문) 및 의미 100만원 (1개) 50만원 (1개) 30만원 (1개) 응모방법 공모 네이버폼 응모 QR코드 평가기준 대중 친화성(기억용이성, 발음편의성), 창의성, 상징성 안내사항 https://www.kisti.re.kr/ 문의처 042-869-1034/kistipr@kisti.re.kr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 명칭 공모전 개요 □ 목적    ○ `26년 상반기 구축 완료 예정인 슈퍼컴 6호기의 명칭을 대국민 대상으로 공모‧선정하여, 과학기술 연구자 및 일반 국민의 관심 제고   □ 개요    ○ (주제) 과학‧공학‧산업 분야 대규모 고정밀 계산, 초거대 인공지능 분야 활용 연구의 연산자원을 지원하는 슈퍼컴 6호기 명칭 공모    ○ (공모 대상) 슈퍼컴 6호기 국문‧영문 명칭, 명칭의 의미    ○ (공모 기간) `25.8.11.(월) 09:00~8.22.(금) 18:00 / 발표: 8. 29.(금)    ○ (응모 방법)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 명칭 공모 네이버 폼 (https://naver.me/5TQw1jWV)    ○ (공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홈페이지   □ 공모전 심사    ○ (심사 방식) 슈퍼컴 활용 연구자 등 평가위원단 심사평가    ○ (심사 기준)      대중성(발음‧기억 용이성, 친밀감 등) 30점,      창의성(참신성, 독창성, 상상력) 40점,      상징성(6호기 정체성·가치 반영도) 30점 *총 100점    ○ (시상) 3개 명칭 선정 및 순위별 상금 수여       - 대상작(1점) 100만 원, 최우수작(1점) 50만 원, 우수작(1점) 30만 원   □ 선정작 활용    ○ (대상작) 슈퍼컴 6호기 공식 명칭으로 사용 □ 문의처 : 042-869-1034 / kistipr@kisti.re.kr  
  • 142025. 07
    No. 574 View. 52640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 관련 개인정보 제3자 제공사항 알림

    첨부와 같이,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 관련 개인정보 제3자 제공사항 알림 공지합니다.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과 관련 개인정보 제3자 제공사항 알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공일자 : 2025. 7. 14. 제공받은 기관 : 국민권익위원회 법적 근거 : 「개인정보보호법」제 18조제2항제2호,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제12조제6호, 제27조의 2, 제29조 제공받는 기관의 개인정보 이용목적 : 공공기관의 종합청렴도 평가를 위한 민원인, 직원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 제공하는 개인정보 항목 : 기술이전 및 기업지원, 계약 및 관리에 대한 민원인 및 소속 직원의 성명, 전화번호, 이메일 개인정보 보유기간 : 2025년 종합청렴도 조사 완료 시까지 개인정보 파기 절차 및 파기 방법 : 조사 완료 후 국민권익위원회 및 조사위탁업체 시스템 내 정보 일체에 대해 복구 불가능한 방식으로 일괄 영구 파기
  • 142025. 07
    No. 573 View. 54204

    KISTI 우수기술전시회, Connect Day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티비즈 상담신청 QR코드 연결 2025 KISTI 우수기수설명회 R&BD 협결을 위한 KISTI Connect Day AI 대표 출연(연) KISTI의 기술로 R&BD 과제에 함께 도전할 기업을 초대합니다. 일시/장소 2025.07.25.(금) 오후 1시 ~ 5시 / 서울 강남역 인근 한국지식재산센터 B1 훈민정음홀 목적 KISTI의 우수 기술을 연구자가 직접 소개하고 함께 R&BD 과제에 도전할 기업을 모집 단순 기술이전을 넘어 공동 연구개발 파트너십 제안 구성 1:00~3:00 - 연구자 기술발표, 연구단/센터소개 3:00~3:20 - R&BD 사업 선정 사례 발표 3:20~5:00 - 1:1 기술 상담 및 R&BD 과제 협의 우수기술 AI - AI 기반 과학기술정보 메타데이터 자동 추출 기술 AI - 인공지능 기술 기반 맞춤형 추천정보 서비스 AI - 기계 학습을 이용한 신호 데이터 상태 분석 및 방법 AI - 치매 예측 장치 AI - 인공지능 모델 학습용(치아 진단) 데이터 생성 장치 AI - AI 기반 글로벌 공급망(GVC)위기 예측 시스템 DATA - 마이데이터 기반 임산부 이동지원 서비스 DATA - 이용통계 기반 이상 패턴 자동탐지 기술 DATA - 연관 키워드 그룹 자동 생성 DATA - 게이트웨이 장치 및 동작 방법 NETWORK - 양자암호통신 자원관리 NETWORK - 연합 인증 기반 아이디 관리 및 접근 제어 기술 연구단/센터 초고성능컴퓨팅정책센터 - HPC 육성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및 정책 이행, 생태계 조성 슈퍼컴퓨팅인프라센터 - 슈퍼컴 5·6호기 운영, GPU 기반 AI 연구 환경 제공 첨단과학컴퓨팅센터 - 고성능 계계산기술 및 AI 시물레이션 개발, 디지털 트윈 확산 슈퍼컴퓨팅기술개발센터 - 차세대 HPC 기술 및 플랫폼 개발, 클라우드 생태계 조성 양자정보응용연구센터 - 양자정보·하이브리드 컴퓨팅 기술 및 알고리즘 개발 초거대 AI 연구센터 - 초거대 AI 및 과학기술 AI 기술 개발, LLMOps 체계 구축 데이터기반문제해결연구센터 - 사회현안 해결을 위한 HPC/AI/Data 기반의 의사결정 지원 슈퍼컴퓨팅가속화연구단 - GPU 가속 해석모델 개발, 산업계용 시뮬레이션 지원 디지털바이오컴퓨팅연구단 - 디지털 바이오 생태계 및 질환 분석 기술 개발 데이터큐레이션센터 - 과학기술정보 데이터 큐레이션 및 패키지 자동화 데이터플랫폼센터 - 지능형 데이터 플랫폼 개발, 연구데이터 공유 기반 조성 데이터서비스센터 - R&D 전주기 통합 지원 플랫폼 운영 및 협업 촉진 NTIS센터 - NTIS 운영, 부처 R&D 정보 통합 및 정책지원 기술사업화연구센터 - 기술-수요기업 분석 및 R&D 사업화 매칭 지원 글로벌R&D분석센터 - 글로벌R&D 전략 분석 및 협력 네트워크 강화 미래기술분석센터 - 미래기술 탐지·예측, 전략기술 조기선정 지원 부울경지원센터 - 지역 수요 맞춤형 R&D 플랫폼 운영 및 기업 지원 과학기술연구망센터 - 국가 연구망(KRONET) 구축·운영, 국제 협력 지원 과학기술보안연구센터 - AI/XAI 기반 보안기술 개발 및 실환경 실증 양자통신연구센터 - 양자암호통신 기술 개발, 양자보안 생태계 조성 대용량데이터허브센터 - 데이터 교환·슬라이싱 기술 개발, 글로벌 허브 역할 과학데이터교육센터 - HPC·DATA·AI 전문인력 양성, 실무 교육 운영 오픈XR플랫폼융합연구단 - XR 협업 플랫폼 및 응용기술 개발, 산업적용 확산 문의 티비즈 차무상 수석연구원 010-2679-1610 cha@tbizip.com 국가 슈퍼컴퓨터를 운용하는 AI 대표 정출(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우수기술설명회 및 R&BD 협력을 위한  KISTI Connect Day가  2025.07.25.(금) 오후 1시 서울 강남역 한국지식재산센터 B1 훈민정음홀에서 개최됩니다. KISTI의 우수 기술을 연구자가 직접 소개하고 함께 R&BD 과제에 도전할 기업을 모집합니다. 단순 기술이전을 넘어 공동 연구개발 파트너십을 제안합니다. 이번 전시회에 출품되는 기술과 KISTI의 연구단/센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신청 : R&BD 협력을 위한 KISTI Connect Day 상담 신청
  • 212025. 05
    No. 572 View. 112874

    KRnet 2025 개최 알림

    KRnet 2025 개최 알림 국내·외 인터넷과 관련된 최근의 기술적 동향을 소개하고 미래 인터넷의 기술적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개최되는 KRnet Conference는 1993년 7월 제1회 한국 학술전산망 워크숍을 시작으로 매년 개최되어 왔으며, 지난 약 30여 년간 약 25,000여명이 참가하는 국내 최고의 콘퍼런스로서 자리매김을 하여왔습니다. 제33회 KRnet 2025는 “From Networks to Intelligence: AI Transformation Unleashed”라는 주제로 6G, AI Infra, AIoT and Smart Systems, Big Data&Cloud Computing, Quantum Technology, AI Service&Application, Cybersecurity and Privacy, Emerging Network Technolohies and Standards 등 우리 생활의 변화와 직결되는 미래 인터넷 최신동향과 함께 10개 트랙, 30개 세션을 구성할 예정입니다. KRnet은 인터넷 기술의 시대적 발전방향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체계적 구성으로 산업 발전 및 기술개발의 실질적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국내·외에서 다년 간의 연구 경력과 실무 경험을 가진 전문가들을 발표자 및 Keynote Speaker로 초빙하여 폭넓은 방송통신부문의 국내 중장기 발전 방향을 설정하는데 참가자들에게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KRnet은 우리나라의 ICT 산업 전반에서 성장하고 있는 기술 분야는 물론 이를 추진하는 ICT 정책에 대한 여러 전문가들의 발표를 통해 더 깊이 있는 ICT 산업의 이해와 미래 추진 방향을 논의하는 기회의 장이 될 것 입니다. KRnet 2025 The 33rd Korea Internet Conference From Betworks to Intelligence : AI Transformation Unleashed 2025.6.23.(월) ~ 6.24.(화) 엘타워(5층, 6층, 2층) 주관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정보통신상버진흥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지능보사회진흥원, 한국컴퓨터통신연구원 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Kbroadband, KT, HUWEI NV 연구회, 디딤365, ROHDE&SCHWARZ HFR,INC., WOORKNET, 위피아, eSTROM, ERK솔루션, GNTEL 인사말 AI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우리 삶과 산업 전반에 커다란 변화를 불러오고 있습니다. 디지털 네트워크를 넘어 인공지능 중심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열리는 지금, 미래 ICT의 발전 방향을 함께 논의할 수 있는 KRent의 33번째 埸이 열린 것을 진심으로 기쁘게 생각합니다. 지금 전 세계 기업들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디지털 기반 위에서 자율주행차, 생성형 AI, 양자 기술 등 첨단 융합 기술의 글로벌 주도권 확보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올해 KRent 2025가 'From Networks to Intelligence : AI Transformation Unleashed'를 주제로 하여, 인공지능과 네트워크 기술의 융합이 만들어갈 미래 ICT의 방향성을 조망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흐름을 잘 반영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인공지능, 6G, 클라우드, 양자 기술 등 주요 분야에 대한 국내 최고 전문가들의 발표와 토론을 통해 급변하는 기술 환경에 대한 인사이트를 나눌 예정입니다. AI 기술이 일상 속으로 빠르게 스며들고 산업 전반에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정부와 기업 모두 디지털 전략 수립과 대규모 투자를 통해 기술 패권 시대에 앞서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에 과기정통부를 비롯한 여러 부처들도 초거대 AI 인프라 확충, 범용인공지능(AGI)기술 개발, 인재 양성, 글로벌 협력 확대 등 AI를 산업과 경제의 핵심 동력으로 삼아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행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실행계획이 실제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산학연이 머리를 맞대고 기술·정책·산업의 발전 방향을 긴밀히 공유하고 조율하는 자리로서 KRent 2025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이번 콘퍼런스가 혁신적 ICT 기술과 미래 융복합 서비스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관련 정책 수립과 연구개발 방향 설정, 전문가 네트워킹의 기회를 제공하는 소통의 場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아울러, 여러분의 깊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끝으로, 본 행사를 위해 귀한 시간을 내주신 연사 분들과 후원사, 공동 대회장 기관, 그리고 준비에 힘서주신 조직위원회, 운영위원회, 프로그램위원회를 비롯한 모든 관계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KRent 2025 대회장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원장 이상훈,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원장 박윤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방승찬,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 손승현, 한국인터넷진흥원 원장 이상중,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원장 이식, 한국컴퓨터통신연구회 회장 조성래, 정보통신 기획평가원 원장 홍진배, 한국징정보사회진흥원 원장 황종성 Keynote Speech Kynote SPeech 1 Agentic Ai, 새로운 AI 혁명의 시작 6월 23일(월) 11:00~11:55 배경훈 원장, LG AI연구원 Kynote SPeech 2 Ai 대전환 시대, 혁신과 안전 6월 23일(월) 11:55~12:40 김명주 소장, AI 안전연구소 Kynote SPeech 3 Ai 시대의 주요 기술과 서비스 6월 24일(화) 11:10~11:55 이종민 부사장, SKT Tutorial 6월 23일(월) 09:00~10:50 [E1-1] 디지털 트윈을 위한 NVIDIA 옴니버스 기초 박강문 교수, 한국교통대 6월 24일(화) 09:00~10:50 [J1-1] Software Defined Factopry(SDF)와 자율제조 관계 및 실증 사례 장영재 교수, KAIST 6월 24일(화) 13:00~14:50 [G2-1] Emerging Trends in Humanoid Robotics: From Hardware to Software Perspectives 최성준 교수, 고려대 Program첫째날(6월 23일, 월요일) KRnet 2025 첫째날 프로그램(일정)을 나타내는 표 발표장소 오르체1 (5층) 오르체2 (5층) 그레이스1 (6층) 그레이스2 (6층) 안단테 (2층) Track [Track A] 6G [Track B] AI Infra [Track C] AIoT and Smart Systems [Track D] Big Data & Cloud Computing [Track E] Workshops 1 09:00-10:50 [Scession A1] Network Architecture Evolution to 6G 좌장: 신명기 책임/ETRI [Scession B1] AI 반도체 좌장: 조상현 팀장/NIPA [Scession C1] AIoT 기술동향 좌장: 이준섭 실장/ETRI [Scession D1] Bulding and Opreating Cloud infrastructure for Big Data and AI 좌장: 한동수 교수/KAIST [Scession E1] Tutorial 좌장: 문형돈 본부장/IITP [A1-1] 6G 시스템 구조 진화 방향 / 김래영 책임 / LG전자 [B1-1] AI 시대의 Key Enabler: AI 반도체 / 신동주 대표 / 모빌린트 [C1-1] Towards Ubiquitous AI Adaptive and Efficient On-Device ML / 공태식 교수 / UNIST [D1-1] 메가존클라우드와 함께하는 생성형 AI 도입과 혁신 경험 / 엄채일 그룹장 / 메가존클라우드 [E1-1] 디지털 트윈을 위한 NVIDIA 옴니버스 기초 / 박강문 교수 / 한국교통대 [A1-2] 6G 시스템 구조 진화 방향과 요소 기술 / 김동주 수석 / 노키아 [B1-2] AMD End to End AI Solutions / 김도영 이사 / AMD [C1-2] Unlocking Sleep insights with AI: From Multimaodal PSG to Wearable Devices / 이효진 엔지니어 / 삼성전자 [D1-2] 연구데이터 공유 및 전송을 위한 국가 연구인프라 및 서비스 / 조부승 센터장 / KISTI [A1-3] AI/ML 기반 6G 네트워크 구조 및 진화 전망 / 김태연 실장 /ETRI [B1-3] Agent 기반의 AI 서비스 구축을 위한 디지털 플랫폼 / 김광정 총괄 / 리벨리온 [C1-3] 스스로 학습하고 협력하는 자율형 IoT 기술의 현재와 미래 / 최진철 박사 / ETRI [D1-3] Operating Large-Scale On-Prem GPU Clusters for AI Training: Insigths form Years of Expenience / 최병권 박사 / 삼성전자 10:50-11:10 Break 11:10-11:55 [Keynote Speech 1] Agentic AI, 새로운 AI 혁명의 시작 (배경훈 원장/LG AI연구원) 11:55-12:40 [Keynote Speech 2] AI 대전환 시대, 혁신과 안전 (김명주 소장/AI 안전연구소) 12:40-14:00 Lunch 14:00-15:50 [Scession A2] 6G Vision and Services from Operators 좌장: 전이석 팀장/KCA [Scession B2] AI 데이터센터 좌장: 조부승 센터장/KISTI [Scession C2] Digital Twing을 위한 핵심기술 좌장: 황인석 교수/POSTECH [Scession D2] Opeating Big Data and AI Services 좌장: 주창희 교수/고려대 [Scession E2] Web3.0 서비스 좌장: 이종현 박사/KAIST [A2-1] SKT 6G 비전 및 서비스 전망 / 김동욱 팀장 / KISIT [B2-1] AI를 위한 데이터센터와 네이버의 적용 기술 / 차인영 이사 / Naver Cloud [C2-1] 고품질 가상현실을 위한 다중감각 햅틱 상호작용 / 박채용 박사 / POSTECH [D2-1] Agentic AI를 위한 개발 기술과 활용법 / 김영욱 대표 / Hello AI [E2-1] Web3.0과 인증 기술의 변화 / 정효진 팀장 / SKT [A2-2] Evolutionary path to 6G: vision & technologies / 박규진 팀장 / KT [B2-2] AI 데이터센터를 위한 최적의 냉각 솔루션-Liquid Cooling / 권재환 수석 / DEUS [C2-2] 초실감형 텔레프레즌스를 위한 3차원 네트워크 그래픽스 시스템 / 이경진 연구원 / 서울대 [D2-2] AI 트렌드와 Microsoft 365 Copilot / 권민수 매니저 / S.Pin Technology [E2-2] Web3.0 지갑의 재정의와 자산 토큰화 미래 / 박효주 선임 / Web3.0 연구회 [A2-3] LG유플러스가 바라보는 6G 이동통신 네트워크 / 조제훈 팀장 / LG U+ [B2-3] End-to-End AI 클라우드: AI 모듈형 데이터센터에서 GPUaaS 까지 / 박정국 CTO / 엘리스그룹 [C2-3] Leveraging Multimodal Sensory Feedback Perception for XR Interaction / 김명진 박사 / ETRI [D2-3] 이종 클라우드 기반 Energy Data Lake 구축 및 응용 사례 / 강대호 실장 / 엘라이튼 [E2-3] 디지털 신원 지갑 국제표준화 동향 및 추진전략 / 염흥열 교수 / 순천향대 [A2-4] 6G주파수 확보를 위한 국내외 추진동향 / 김기원 팀장 / KCA [C2-4] High-Quality Spatial Digital Twin Reonstruction via 3D Gaussain Splatting / 정준영 선임 / ETRI 15:50-16:00 Break 16:00-17:50 [Scession A3] Disruptive Technologies for 6G(LLM for Network / Network for LLM) 좌장: 이정륜 교수/중앙대 [Scession B3] AI 플랫폼 좌장 : 이재호 박사/NIA [Scession C3] Future Mobility 기술 동향 좌장: 홍용근 교수/대전대 [Scession D3] Systems Challenges in ML/AI 좌장: 전상운 교수/한양대 [Scession E3] Web3.0 & AI 융합 기술 좌장: 박종대 박사/ETRI [A3-1] Generaive AI-aided Autonomous Systems for 6G / 심병효 교수 / 서울대 [B3-1] AWS의 혁신적인 양자컴퓨팅 서비스 / 나승주 상무 / AWS [C3-1] 실종자 수색 자율비행 드론기술 / 차지훈 실장 / ETRI [D3-1] LLM 실행 최적화를 위한 리소스 할당 및 스케줄링 기법 / 서지원 교수 / 서울대 [E3-1] 5G MEC기반의 볼록체인과 연합학습 융합기술 / 김동오 박사 / ETRI [A3-2] LL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 이훈 교수 / UNIST [B3-2] 생성형 AI 기술과 Ai for Science / 이경하 센터장 / KISTI [C3-2] 자율주행 인공지능 발전 동향 / 민경욱 실장 / ETRI [D3-2] eBPF/XDP을 활용한 커널 오프로딩 기술 및 발전 방향 / 김규영 교수 / 성신여대 [E3-2] 컨슈머 GPUs 공유를 통한 LLM 학습 및 추론기술 / 김향진 이사 / 데이터얼라이언스 [A3-3] Thecoretical Foundations of Foundation Models for Communications / 손지용 교수 / 연세대 [B3-3] LG U+ AX서비스를 위한 AI플랫폼 현황 / 조규남 연구위원 / LG U+ [C3-3] 자율행동체 클러스터링 솔루션 기반 로본 엔진 원격 업데이트와 연합학습 실증 / 구세완 첵임 / LG전자 [D3-3] 다기준 빅데이터 정보를 활용한 추천플랫폼의 최근 기술 및 챌린지 / 신원용 교수 / 연세대 [E3-3] 데이터인프라의 구성요소와 추진 방향 / 유시형 수석 / NIA [A3-4] LLM-based Distributed Computing and Autonomous Systems / 김중헌 교수 / 고려대 Program둘째날(6월 24일, 화요일) KRnet 2025 둘째날 프로그램(일정)을 나타내는 표 발표장소 오르체1 (5층) 오르체2 (5층) 그레이스1 (6층) 그레이스2 (6층) 안단테 (2층) Track [Track F] Quantum Technology [Track G] AI Service & Application [Track H] Cyber Security and Privacy [Track I] Emerging Network Technologies and Standards [Track J] Workshops 2 09:00-10:50 [Scession F1] 양자 산업 및 표준화 좌장: 김중헌 교수/고려대 [Scession G1] AI Service 좌장: 하정우 센터장/NAVER AI [Scession H1] Cyber Security 신기술 동향 좌장: 소진현 교수/DGIST [Scession I1] AI/가상화 기반 네트워크 기술 동향 좌장: 백상현 교수/고려대 [Scession J1] Tutorial 좌장: 백선경 팀장/IITP [F1-1] 중성 원자 양자컴퓨팅 기술과 산업 응용 전망 / 정희정 박사 / 파스칼 [G1-1] On Naver Place Service AI / 주윤상 리더 / NAVER [H1-1] 인터넷 경로 보안 고도화를 통한 디지털 신뢰 인프라 완성 / 이한상 팀장 / KISA [I1-1]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가상화 기반 기술 동향 / 양셩식 교수 / 고려대 [J1-1] Software Definde Factory(SDF)와 자율제조 관계 및 실증 사례 / 장영재 교수 / KAIST [F1-2] PQC 기반의 5G 보안기술 / 유일선 교수 / 국민대 [G1-2] CLOVA Healthcare: 네이버의 생성형 AI 헬스케어 서비스 / 유한주 이사 / NAVER Cloud [H1-2] 글로벌 공급망 보안 정책 현황 및 시사점 / 이향진 단장 / KISA [I1-2] O-RAN AI/ML 프레임워크 오픈소스로 구현한 네트워크 슬라이싱 간 자원 최적화 사례 소개 / 홍문기 박사 / 삼성전자 [F1-3] NIA 양자산업화 지원 및 방향 / 김영희 센터장 / NIA [G1-3] Exploring AI Computing Systems: Perspectives on TCO and SW Ecosystem / 권세중 리더 / NAVER Cloud [H1-3] 우주 사이버보안 기술동향 및 위협 분석방법 / 김도훈 교수 / 경기대 [I1-3] AI가 이끄는 통신 인프라 패러다임 전환, AI-RAN / 배정숙 실장 / ETRI [I1-4] AI Nework를 통한 National Testbed, KOREN / 문재진 팀장 / NIA 10:50-11:10 Break 11:10-11:55 [Keynote Speech 3] AI 시대의 주요 기술과 서비스(이종민 부사장/SKT) 11:55-13:00 Lunch 13:00-14:50 [Scession F2] 양자 알고리즘 좌장: 심주용 박사/고려대 [Scession G2] AI for Robotics 좌장: 최성준 교수/고려대 [Scession H2] AI 보안 신기술 동향 좌장: 이윤규 교수/중앙대 [Scession I2] 디지털 기술표준 동향 좌장: 차순일 단장/ITA [Scession J2] KR50 Workshop - Formal Education 좌장: 이옥화 명예교수/충북대 [F2-1] 양자기술의 일상생활 적용 및 활용은 얼마나 가까이 있나? / 곽승환 대표 /GQT 코리아 [G2-1] Emerging Trends in Humanoid Robotics: From hardware to Software Perspecitves / 최성준 교수 / 고려대 [H2-1] Reasoning AI의 보안 이슈와 대응 방안 / 최대선 교수 / 숭실대 [I2-1] AI/6G시대의 디지털 기술 표준 정책 R&D 전략적 연계 / 김욱 PM / 과기정통부 / IITP [J2-1] 초중고 교육의 인터넷 활용: 인터넷의 도전과 대한민국 교육의 응전 / 천세영 명예교수 / (전)KERIS 원장 [F2-2] Denoising Quantum Sate Diffusion Models / 심주용 박사 / 고려대 [H2-2] Evaluating LLm Security: Red Teaming and Blue Teaming Perspectives / 권태경 교수 / 연세대 [I2-2] 미국과 EU의 표준화 전략 / 유지영 교수 / 국립외교원 [J2-2] 초중고 인터넷 인프라 구축 동인과 확산전략 / 신상철 겸임교수 / (전)한국전산원 단장 [F2-3] Recent Advanoes in Opimizing Quantum Data Embedding for Machine Learning / 박경대 교수 / 연세대 [H2-3] 완전동형암호를 활용한 AI 서비스 보안 / 이용우 교수 / 인하대 [I2-3] 6G 기술표준 동향: ORAN/AI-RAN 중심 / 전용준 단장 / TTA [J2-3] 고등교육에서의 인터넷 활용 - 한국방송대학교와 사이버 대학교를 중심으로 / 곽덕훈 명예교수 / 방송대 [F2-4] 양자 컴퓨팅 알고리즘 연구개발 동향 / 배은옥 박사 / ETRI [J2-4] 인터넷의 교수학습적 활용과 에듀넷 / 손병길 / (전)KERIS 수석연구원 [J2-5] 인터넷 활용 공교육 지원을 위한 EBS의 도전 / 고범석 수석 / EBS 14:50-15:00 Break 15:00-16:50 [Scession F3] 양자통신 및 보안 좌장: 이원혁 센터장/KISTI [Scession G3] AI for Science 좌장: 박노성 교수/KISTI [Scession H3] Privacy 신기술 동향 좌장: 나은아 단장/KISA [Scession I3] 인터넷 기술표준 동향 좌장: 고한얼 교수/경희대 [Scession J3] KR50 Workshop - Informal Education & 교육기업 좌장:이인숙 명예교수/세종대 [F3-1] 양자암호통신과 보안기능 검증 제도 소개 / 박상길 박사 / ETRI [G3-1] Mechine Learning Meats Scientific Computing / 홍영준 교수 / 서울대 [H3-1] 가명정보 제도 및 활용 사례 / 강동우 수석 / KISA [I3-1] IETF 최근 동향 및 QUIC 표준화 사례 / 김평수 교수 / 한국공학대 [J3-1] 인터넷 여명기의 교육용 멀티미디어 타이틀 / 이만재 박사 / (전)ETRI 디지털 콘텐츠 단장 [F3-2] 계층형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자원최적화 연구 / 이찬균 책임 / KISTI [G3-2] Scientific Machine Learning: From Theory to Practice in Science and Engineering / 최민석 교수 / POSTECH [H3-2] 개인정보 보호 활용 R&D 동향 및 추진방향 / 박상용 선임 / KISA [I3-2] IETF/IRTF Quantum internet RG의 양자 네트워크 표준화 현황 / 한연희 교수 / 한국기술교육대 [J3-2] 평생교육에서의 인터넷 활용 / 박인섭 실장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F3-3] 디지털 시대에 맞이하는 양자통신 / 노광석 대표 / 큐심플러스 [G3-3] Fast and Efficient Physics-Informed Naural Representations / 박은병 교수 / 연세대 [H3-3] 멀티모달 데이터 비식별화와 차분 프라이버시 / 오준형 교수 / 서울여대 [I3-3] IETF In-Network Computing 표준화 현황 / 윤주상 교수 / 동의대 [J3-3] 한국에서 인터넷 기반 교욱(Corporate Learning) / 임재환 대표 / 유비온 [G3-4] Towards a Foundation Model for Molecular Tasks with Neural PDE Solvers / 임성빈 교수 / 고려대 [J3-4] Edu Tech 산업의 등장 / 기노일 부총장 / 열린사이버대학 [J3-5] 인터넷 교육 산업의 탄생과 발전 / 손주은 회장 / MegaStudy 조직 대회장 이상훈(한국방송통신전자파진흥원) 공동대회장 방승찬(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손승현(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이상중(한국인터넷진흥원), 이식(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조성래(한국컴퓨터통신연구회), 박운규(정보통신산업진흥원), 홍진배(정보통신기획평가원), 황종성(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조직위원장 이혁준(광운대) 운영위원장 김대중(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프로그램위원장 이상환(국민대) 등록안내 등록안내(등록비 및 계좌, 등록방법, 참고사항)를 확인하는 표입니다. 사전등록 마감: ~6월 16일(월) 등록비 및 입금계좌 일반: 35만원 학생: 15만원 예금주: (사)한국컴퓨터통신연구회 / 신한은행: 100-019-796860 등록방법 KRent 2025 홈페이지(http://www.krnet.or.kr) "등록/참가안내 > 사전등록" (은행송금 또는 신용카드 중 선택하여 온라인 결제 진행) 온라인 결제가 불가능할 경우 현장에서 카드결제 가능(사전등록후 결제 가능) 계산서는 온라인 입금자에 한하여 발급 가능(신용카드 결제 건은 거래명세서로 발급 가능) 입금인과 등록자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등록비 입금 확인이 불가하므로 등록자명으로 입금 요망 자세한 사항은 KRent 홈페이지 참고 참고사항 본 행사는 오프라인으로 진행됩니다. 참석확인증은 행사 종료 후 "KRnet 홈페이지 > 등록확인"에서 출력가능합니다. 발표자료는 홈페이지 "세부프로그램 > 발표자료 전체 다운로드"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첫날, 둘째날 모두 6층 그레이스홀에서 키노트스피치가 종료된 후, 유료등록자를 대상으로 런치박스를 제공합니다. 식사는 유료등록자, 후원기관 등록자, 주요 외빈에게만 제공되며, 명찰 뒤의 식권을 엘타워 직원에게 제출해야 제공됩니다. 런치박스 수량은 엘타워측과 사전 협의된 것으로 현장에서 추가 주문은 불가능 합니다. 등록 및 계산서 문의 KRnet 2025 사무국 / Tel: 02-562-7041~2 / E-mail: sec@osia.or.kr ※ 본 콘퍼런스와 관련한 모든 자료에 대해 무단 복제 및 촬영, 도용, 2차 수정, 재배포 및 상업적 사용을 금지합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민·형사상 책임을 부담할 수 있습니다. ※ 등록비 환불은 행사 시작일 3일 전까지만 가능합니다.
  • 202025. 03
    No. 571 View. 128860

    [대구경북지원] 2025년 산학연 연계 중소벤처 R&BD 지원사업

    2025년 산학연 연계 중소벤처 R&BD 지원사업 경북 중소기업을 강소기업으로 육성하고, 효율적인 사업화 지원을 도모하기 위해 「2025년 산학연 연계 중소벤처 R&BD 지원사업」을 아래와 같이 공모합니다. STEP01&2과학기술 정보조사(20개사 & 기술개발 또는 사업화기획 지원(10개사) STEP 1 - 신청 과제에 대한 정보조사 및 원문제공 과학기술 정보조사 국내외 기술자료 학술문헌 특허원문 요지리스트(기계번역 포함) 조사 결과 요약리포트 STEP 2 - 신청과제에 대한 특허 또는 시장 분석보고서 제공 특허 또는 시장분석 중 선택지원 특허분석 보고서 국내외 특허동향 핵심특허 도출 지식재산권 확보 전략 시장분석 보고서 국내외 시장동향 및 전망 경쟁제품 및 경쟁사 분석 사업화 전략 STEP03연구장비 지원 및 기술상담(10개사) 기업의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정부출연, 지역공공 연구기관, 대학, 국가 대형 연구시설 등이 보유한 연구장비 이용려 및 기술상담 지원 지원금 : 연구장비 견적금액의 90%(단, 최대 지원한도 500만원) 지원대상 경상북도 소재 중소기업 * STEP 1,2,3 중복신청 가능 * 최근 3년 평균 매출액 500억원 이하 * 창업기업, 벤처 인증기업, 이노비즈 인증기업은 가산점 부여 신청안내 신청기간 : ~ 04. 11(금) 신청방법 : ASTInet.kr(과학기술정보협의회) 온라인 접수 과제선정 : 과제 선정평가 위원회를 통해 지원과제 선정 및 선정결과 통보(4월중) ※ 자세한 내용은 공고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제출서류 확인) 문의 신종원 책임연구원 / 서대웅 기술원(☎ 053-601-5206, 5170) 이수진 사무원 (☎ 053-601-5205) 경상북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사업 지원 바로가기 링크 (STEP 1) & (STEP 2) : https://astinet.kr/boards/asti-biz/30 (STEP 3) : https://astinet.kr/boards/asti-biz/31
  • 112025. 03
    No. 570 View. 116021

    [대구경북지원] 대구광역시 중소기업 기술정보 지원사업 신청 모집

    2025 대구광역시 중소기업 기술정보 지원사업 KISTI 대구경북지원에서는 대구광역시 소재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역량을 제고하고 핵심주력분야 기술 동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국내외 기술, 특허, 산업 동향 정보를 조사하여 제공하는 「2025년 대구광역시 중소기업 기술정보 지원사업」을 아래와 같이 시행하오니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내용 지원규모 33과제(1기업 1과제) 지원과제선정 - 신청자격(기업규모, 소재지 등) 및 신청서(대표직인 등) 작성내용 확인 - 기업의 신청 내용이 사업 목적에 부합하는 지 여부 확인 지원내용 - 신청 기술 과제에 대한 과학기술정보 종합조사(맞춤형 기술, 특허 정보조사) - 기술사업화 지원을 위한 산업동향 리포트 제공 - 피드백을 통한 추가 정보 제공 - 해당 기술의 원문자료 제공(학술지, 연구보고서, 특허 명세서 등) - 연구개발 관련 기술정보 활용 자문 신청안내 신청자격 대구광역시 소재의 중소 · 중견기업 신청기간 ~04.09(수)까지(선착순 접수로 조기 신청 마감될 수 있음) 신청방법 astinet.kr(과학기술정보협의회) 온라인 접수, 첨부파일 필첨 신청비용 기업 비용부담 없음 문의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대구경북지원 - 주소 : 대구광역시 엑스코로 10, EXCO 서관 411호 - 문의 : 노대경 선임연구원(Tel. 0523-601-5171) 이수진 사무원(Tel. 053-601-520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대구광역시 관련링크 : https://astinet.kr/boards/asti-biz/apply/27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