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총 게시글 571 RSS
  • 082022. 12
    No. 471 View. 35641

    2023년 해양수산 신규 R&D 사업설명회 (해양수산과학기술원)

    <2023년 신규 R&D 및 창업사업화지원사업 설명회> 해양수산과학기술원에서는 2023년도 해양수산 신규 R&D 및 창업사업화지원사업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제고하기 위해 ‘2023년 신규 R&D 및 창업사업화지원사업 설명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합니다. ㅇ 일시     - 충청권: 12.12.(월) 13:00 ~ 17:30 / 대전 컨벤션센터 컨퍼런스홀    - 경상권: 12.13.(화) 13:00 ~ 17:30 /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 이벤트홀     - 호남권: 12.15.(목) 13:00 ~ 17:30 / 광주라마다플라자호텔 그랜드볼룸     - 수도권: 12.16.(금) 13:00 ~ 15:30 / 한국컨퍼런스센터 대강당  ㅇ 주요내용     - ’23년 해양수산 해양수산 R&D 정책방향 및 신규사업 안내     -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사용안내     - ’23년 해양수산 사업화 R&D 및 기술사업화 지원사업    - ‘23년 해양수산 창업투자 지원사업 및 기술인증·기술평가 제도    - 지원사업 1:1 개별상담  ㅇ 참석자     - 출연연·대학, 해양수산 중소·중견기업, 창업기업, 예비창업자 등  ㅇ 관련 홈페이지     1) 사전접수: https://onoffmix.com/event/267219     2) 진흥원:  www.kimst.re.kr
  • 282022. 11
    No. 470 View. 34176

    제4차 데이터기술경제포럼(12.2(금))

    <제4차 데이터기술경제포럼> KISTI는 디지털 대전환과 미래혁신을 데이터 기술과 경제 관점에서 해석하여,  과학기술 및 경제혁신을 위한 정책 대안 마련의 창구로 "데이터기술경제포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제4차 데이터기술경제포럼이 아래와 같이 개최되오니,  아래 온라인 링크를 통해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금번 포럼은 '데이터기술경제 시대의 가치창출 전략'이라는 주제로     데이터기술혁신을 경제적 가치로 전환하는 다양한 전략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1. 주제: 데이터기술경제 시대의 가치창출 전략  2. 일시: 2022.12.2.(금) 15:00 ~ 17:00  3. YouTube 생중계 링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YouTube  4. 발제내용     ① 데이터의 안전한 활용과 가치창출 방안 (강원대학교 김화종 교수)        - 데이터 연합학습 중심 데이터 공동활용 등 주요 가치창출 방안 소개     ②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사람(사용자) 중심 데이터 플랫폼 ((주)레몬헬스케어 홍병진 대표)        - 헬스케어 분야의 Data 초연결 아키텍처, OpenAPI, 블록체인 기술 기반 비즈니스 모델 소개 제4차 데이터기술경제포럼 DATA TECHNOLOGY ECOONOMY FORUM INOVITATION 제4차 데이터 기술경제포럼에 귀하를 초대합니다. 최근 코로나 19 팬데믹으로부터 비대면 서비스 확대로 인해 데이터가 신자본(New caoital)으로 부상하며, 데이터가 모든 산업의 발전과 새로운 가치 창출의 촉매 역할을 하는 '데이터 경제(Data Economy)' 시대로 사회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서 사회 경제에 직,간접적으로 활용되는 데이터로부터 어떻게 가치를 창출할 것인지에 대해 보다 새롭고 효과적인 접근방식이 필요합니다. 이번 제4차 데이터기술경제포럼은 "데이터기술경제 시대의 가치 창출 전략" 이라는 주제로 개최됩니다. 본 포럼을 통해 데이터 가치 창출을 위한 새로운 기술 및 비지니스 트렌드를 조명하고,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가치 창출 전략에 대해 심층적인 토론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뜻깊은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포럼이 데이터기술경제 패러다임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도록,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김재수 본 포럼은 유튜브에서 생중계됩니다. 유튜브(www.yotube.com)에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을 검색하세요. 일시:2022.12.2(금) 15:00-17:00 주최:데이터기술경제포럼 / 주관: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데이터기술경제 시대의 가치 창출 전략' - 새로운 기술적 접근 및 비즈니스 모델 모색 제4차 데이터기술경제포럼에 일정과 주요내용을 설명하는 표입니다. 일정 주요내용 비고 14:30-15:00 30분 등록 및 안내 사회자 15:00-15:10 10분 축사 및 개회사 데이터기술경제포럼 공동위원장 KAIST 이광형 총장KISTI 김재수 원장 15:10-15:20 20분 [주제발표1] 데이터의 안전한 활용과 가치 창출 방안 강원대학교 김화종 교수 15:30-15500 20분 [주제발표1]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사람(사용자) 중심 데이터플랫폼 (주)레몬헬스케어 홍병진 대표 15:50-16:50 60분 [종합토론] 데이터기술경제 시대의 가치 창출 전략 전체 16:50-17:00 10분 폐회 및 기념 촬영 사회자 ※ 일정 및 내용은 상황에 따라 일부 변경 가능
  • 282022. 11
    No. 469 View. 33340

    연구개발특구 AI 특성화 기업 역량강화 지원사업 'AI 진단·컨설팅 및 파일럿 제작 참여기업 모집' 안내(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연구개발특구 AI 특성화 기업 역량강화 지원사업>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서 특구기업의 AI 활용 및 도입을 지원하기 위해 '연구개발특구 AI 특성화기업 역량강화 지원사업'을 추진합니다. AI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혁신 기회를 창출하고자 하는 기업을 모집하오니 많은 신청바랍니다. ​ ■ 신청대상 :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고자 하는 기업 ※ 과거 동일 과제에서 컨설팅 및 파일롯 제작 지원을 받았던 기업도 중복 지원 가능 ■ 접수기간 : 2022년 11월 24일 ~ 12월 25일 ■ 추진 프로세스      ● 참여기업 모집 : 2022.11.24 ~ 2022.12.25       ● 서면평가 및 선정 : 2022.12.26 ~ 2023.01.01      ● AI 역량 진단 및 컨설팅 : 2023.01.02 ~ 2023.01.20       ● P.O.C 프로젝트 선정평가 : 2023.01.25 ~ 2023.01.26       ● 파일롯 제작 지원 : 2023.01.27 ~ 2023.05.07 ■ 지원내용     ● 컨설팅 : AI 비즈니스를 위한 현행 사업모델 / 데이터 분석 및 솔루션 제시      ● 프로젝트 지원 : 데이터 제작 및 정제 지원, AI파일럿 프로젝트 지원      ● 개발 플랫폼 지원 :  AI 개발 플랫폼 치타 솔루션 계정 1ea 씩 제공 (치타 소개 동영상 보러가기) ■ 신청방법 : bit.ly/2022aiconsulting ■ 문의처     ● 에이아이프렌즈학회 사무국 : sehwan622@aifrenz.org | 010-3109-1808      ● 에이프리카 플랫폼사업팀 : kum1205@aifrica.co.kr | 010-8965-2397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기술창업지원팀 : hjkim@innopolis.or.kr | 042-865-8983 ■ 바로가기 링크      [모집공고]      [운영기관 & 협력기관 소개 및 FAQ]      [AI 특성화기업 역량강화 지원사업 설명회]
  • 282022. 11
    No. 468 View. 31572

    2022 전자문서 산업인의 날(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22 전자문서 산업인의 날 > 디지털 大전환 시대, 전자문서 산업 분야 확산을 위한 우수 선도사례 및 최신 동향 공유의 장! 대한민국의 전자문서 산업을 이끌어 가는 전문가들이 모이는 2022 전자문서 산업인의 날에 여러분들을 초대합니다! [행사 개요] O 행사명 : 2022 전자문서 산업인의 날 O 일시 : 2022.12.6.(화) 11:00 ~ 15:00 O 장소 : 서울 섬유센터 3층 이벤트홀 O 주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O 주관 :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전자문서산업협회 O 사전등록기간 : ~ 22.12.2.(금), 16:00 까지 O 행사 및 등록 문의 : 051-902-9004 <2021 전자문서 산업인의 날> 운영사무국 [이벤트] 2022 전자문서 산업인의 날 오픈채팅방과 함께하는 전자명함 네트워킹에 참여해주신 분들 중 추첨을 통해 경품을 드립니다 :) - 오프채팅방 입장 패스워드는 현장에서 공개되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사전등록 바로가기] https://event-us.kr/ConventionSOOP/event/50765
  • 282022. 11
    No. 467 View. 31224

    2022 미래연구정보포럼 개최(12.1(목))

    <2022 미래연구정보포럼>  KISTI에서는 '오픈 사이언스와 데이터 플랫폼'을 주제로 2022 미래연구정보포럼을 개최합니다. 국내외 전문가들의 발표와 토론을 통해 오픈 사이언스와 데이터 플랫폼에 대한 혜안을 넓히는 시간을 마련했사오니,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o 행사명 : 2022 미래연구정보포럼 o 일시 : 2022년 12월 1일(목) 09:30~18:00 o 장소     - 한국과학기술회관(서울) 국제회의장      - (온라인) KISTI 유튜브 o  참여 방법   :  사전 등록   ( https://frif2022.kr )    ※ 온라인 참여시 행사 당일 홈페이지 및 KISTI 유튜브 채널에서 참여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22 미래연구정보포럼 Future Research Information Forum OPIEn SCIENCE DATA PLATFORM 오픈 사이언스와 데이터 플랫폼 일시 : 2022년 12월 1일(목) 09:30 ~ 18:00 장소 :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 국제회의장 대회의실, 중회의실 온라인 : https://www.frif2022.kr 2022 미래연구정보포럼에 귀하를 초대합니다. 유네스코는 2021년 11월 23일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개최된 제 41차 총회에서 [오픈 사이언스 권고] 안을 193개 회원국 만장일치로 채택하였습니다. 팬데믹과 기후변화 등 더 이상은 혼자만의 연구로 해결하기 어려운 글로벌 난제의 등장 속에서 '모두를 위한 과학지식의 개방과 공유'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과학기술 선도국인 우리나도 오픈 사이언스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최근 디지털 기술이 기존의 산업, 데이터와 결합하면서 비용 절감과 동시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비즈니스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디지털 생태계는 누구에게나 개방되고, 누구나 디지털 데이터에 공정하게 접근해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정부의 데이터와 과학기술 데이터, 민간의 서비스 결합해서 새로운 가치가 창출될 수 있어야 합니다. 윤석열 정부는 지난 9월 인공지능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연계 및 분석하는 디지털 플랫폼을 기반으로 국민·기업 및 정부가 함께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정부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플랫폼정부위원회를 출범하였습니다. '스마트하고 지혜로운' 디지털 정부와 '모든 국민에게 고르게 혜택이 돌아가고 사용하기 쉬운' 플랫폼 정부를 성공적으로 구축한다고 선언한 것입니다. 본 포럼에서는 '디지털플랫폼정부 추진방향' 기조연설에 이어,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의 첨단기술이 만들어내고 잇는 새로운 생활공간, 새로운 인류, 새로운 시장, 새로운 정부형태 등 모든것을 아우르고 서로 상생하는 데이터 플랫폼에 대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발표가 있습니다. 또한 국가 디지털 플랫폼 활성화 전략과 데이터 기본법 제정에 맞추어 과학기술정보와 연구데이터의 생산, 거래 및 활용 촉진을 통해 데이터 경제 활성화 방안과 디지털 대전환을 통한 오픈사이언스 생태계 실현 방안 등 새로운 R&D문화의 정착과 R&D혁신 생태계를 구축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있을 예정입니다. 산·학·연·정 여러분들이 많이 참석하셔서 전문가들의 발표와 토론을 통해 오픈 사이언스와 데이터 플랫폼에 대한 혜안을 넓히시는 기회가 되시길 바랍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김 재 수 행사일정 행사일정을 설명 시간 내용 09:30 ~ 10:00 등록 10:00 ~ 10:30 개회식 개회사(김재수 우너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축사(김영식 국회의원, 이상민 국회의원, 정필모 국회의원, 조승래 국회의원) 환영사(이우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한국과학기술단체총합연회장. 김복철 이사장,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명우 관장, 국회도서관. 오대현 성과평가정책국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0:30 ~ 11:10 기조 강연 디지털플랫폼정부 추진 방향(고진 위원장,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11:10 ~ 11:30 지식공유대상 선정기준과 의의(이혜진 디지털큐레이션센터장, KISTI), 시상식 및 사진촬영(오대현 성과평가정책국장), 수상자 소감 발표 11:30 ~ 11:50 지연구데이터 활용 경진대회 선정기준과 의의(서동민 연구데이터공유센터장, KISTI), 시상식 및 사진촬영(오대현 성과평가정책 국장, 김복철 이사장, 김재수 원장) 11:50 ~ 12:10 과학기술·공공 AI 데이터 분석활용 경진대회 선정기준과 의의(최명석 기계학습데이터연구단장, KISTI), 시상식 및 사진촬영(이명우 관장, 오대현 성과평가정책국장, 김복철 이사장, 김재수 원장) 12:10 ~ 13:30 점심 식사 25분 발표 05분 질의 Track 1(데이터기술1) 좌장 : 이혜진(디지털큐레이션센터장, KISTI) Track 2(데이터플랫폼1) 좌장 : 서동민(연구데이터공유센터장, KISTI) 13:30 ~ 14:00 플랫폼 시대의 프라이버시(심석규 회장, 한국정보과학회) 스마트 농업으로 이끄는 농업의 미래(성제훈 디지털농업추진단장, 농촌진흥청) 14:00 ~ 14:30 마이데이터 시대, 금융의 미래와 데이터-플랫폼-AI 경쟁력(김상윤 교수, 중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김형숙 교수, 한양대학교 한양디지털헬스케어센터장) 14:30 ~ 15:00 메타버스와 공간자산(이상근 교수, 서강대 경영학부, 게임&평생교육원 원장) 휴먼 디지털 트윈(한상호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15:00 ~ 15:30 데이터 기반 Digital Transformation 방향(황상호 Principal Consultant, 삼성 SDS 데이터컨설팅팀) IP데이터 기반 디지털 혁신 전략과 과제(노한성 팀장, 한국특허정보원) 15:30 ~ 16:00 Coffe Break 25분 발표 05분 질의 Track 3(데이터기술2) 좌장 : 김혜선(오픈엑세스센터장, KISTI) Track 4(데이터플랫폼3) 좌장 : 신동구(NTS센터장, KISTI) 16:00 ~ 16:30 글로벌 오픈사이언스 동향과 시사점(이범훔 교수, 서강대학교) 과학기술분야 데이터 플랫폼(최광남 본부장, KISTI 국가과학기술데이터본부) 16:30 ~ 17:00 Business of AI : A Global Perspective(데이비드전 CEO, DMLab) 21세기의 원유 데이터! 국방도 예외일수 없다!(유경열 실장, KAI) 17:00 ~ 17:30 데이터 시대 플랫폼 기술의 역할(김동욱 전무 LG전자) 푸드테크 혁명과 사업기회(정제호 부회장, 한국푸드테크협회) Location Gide 일시 : 2022 12우러 1일(목) 09:30 ~ 18:00 장소 :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 국제회의장 대회의실, 중회의실 문의 : 042-869-1794, 1869, 0910 이메일 : jhpark@kisti.re.kr ※ 정부의 감염병 병역수칙을 준수하면서 집합행사가 가능한 거리두기(잠정)를 기준으로 온·오프라인을 동시에 진행하는 Hybrid Conference 형식으로 개최됩니다. 주관 : 한구과학기술정보연구원 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국회도서관, 한국정보과학회, 한국정보처리학회, KOCON, 한국문헌정보학회
  • 212022. 11
    No. 466 View. 30433

    2022년 온라인 수학·과학 가상실험 VlabON 활용 수기 공모전

    2022년 온라인 수학·과학 가상실험 활용 수기 공모전 접수기간 : 11월 16일(수) ~ 12월 7일(수) 18:00까지 공모주제 VlabON 사이트(Vlabon.re.kr)에서 제공하는 가상실험 활용을 통한 교사 또는 학생의 긍정적인 경험과 변화 사례 참가부문 및 참가자격 참가부문 및 참가자격 부문 참가자격 교사 및 예비교원 전국 중·고등학교 교사(가간제 교사 포함) 전국 사범대학 및 교육대학(원) 재학생(휴학생 포함) 중고등학생 전국 중학생 및 고등학생 참가부문별 세부 주제 교사 VlabON 가상실험을 통한 본인 또는 학교 구성원의 긍정적 변화사례 VlabON 가상실험을 활용한 교육·적용 사례 예시 1) 가상실험을 활용한 온·오프라인 수학·과학 수업 개발 사례 2) 가상실험을 활용하여 수업 3) 가상실험 활용 지도를 통한 학생들의 창의력 및 탐구력 증진 사례 4) 수학·과학 교수학습을 위한 가상실험 활용 노하우 5) 교사연구회 등에서 가상실험 활용방안을 연구·공유한 사례 예비교원 VlabON 가상실험을 통해 본인의 역량 향상 등 긍정적 변화 사례 예시 1) 가상실험을 활용한 온·오프라인 수업 개발사례 2) 봉사활동, 실습, 프로젝트 등에 가상실험을 활용한 사례 3) 가상실험 활용 교육과 관련하여 강의, 학회, 동아리 등에서 조사, 발표한 사례 중·고등학생 VlabON 가상실험을 활용한 수업 경험 또는 스스로 가상실험을 이용해 본 경험을 통해 긍정적 자기 변화가 일어난 사례 예시 1) 수학·과학 학습을 위해 가상실험을 활용한 사례 2) 가상실험을 통해 실생활 속 수학·과학의 원리를 탐구한 사례 3) 가상실험을 통해 관련 연구·산업 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공계 진로 탐색에 도움을 얻은 사례 4) 가상실험을 통해 수학·과학에 대한 흥미 또는 자신감이 증진된 사례 시상내용 총 11명,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 및 상금 수여 시상내용을 부문별, 등급별, 규모별로 설명 부문 등급 규모 시상내용 교사 및 예비교원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 1 2 3 100만원 각 50만원 각 20만원 중고등학생 탐구상 5 각 20만원 접수방법 한국과학창의재단 온라인 접수시스템(survey.kofac.re.kr) 교사 및 예비 교원 부문 https://bit.ly305S7T QR코드 바로가기 중·고등학생 부문 https://bit.ly/3zXSpK0 QR 코드 바로가기 일정안내 공고 및 접수 : 11월 16일(수) ~ 12월 7일(수) 18시까지 적격성 검토 : ~ 12월 2주 서류 심사 : ~ 12월 3주 결과발표 및 시상 : 12월 말 예정 유의사항 제출서류, 심사기준 등 자세한 내용은 반드시 접수페이지에 접숙하여 공고문 확인 응모마감일 18시까지 점수된 건에 한하여 심사하며, 이후 제출된 서류는 불안정 응모자 1인당 1건만 응모 가능 제출서류 누락 또는 양식 및 규격 미준수 시 심사에서 제외될 수 있음 응모작의 저작권, 초상권 등에 대한 사전 조치 필요 수상작은 우수사례 확산을 위하여 재단 사업에 활용될 수 있음 문의처 한국창의재단 과기앤재양성팀 E : kej@kofac.re.kr / T :02-559-394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창의재단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22 온라인 수학·과학 가상실험 활용 수기 공모전> ○ 공고 보기 : https://vlabon.re.kr/community/notice/post/157 ○ 공모 기간 : 2022.11.16.(수) ~ 12.7.(수)  ○ 공모 주제 :  VlabON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가상실험 활용을 통한 교사 또는 학생의 긍정적인 경험과 변화 사례 ○ 접수 링크       - 교사 및 예비교원 부문 ( https://bit.ly/3O5sS7T )      - 중고등학생 부문 ( https://bit.ly/3zXSpK0 ) ○ 결과 발표 : 2022.12월 말 예정 (개별연락 및 VlabON 홈페이지 공지) ○ 문의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과기인재양성팀 02-559-3949 / kje@kofac.re.kr 
  • 162022. 11
    No. 465 View. 31251

    2022 산학연 연계 벤처기술 사업화(연구장비 지원 및 기술상담) 시행계획 공고

    2022년 산학연 연계 벤처기술 사업화(연구장비 지원 및 기술상담) 시행계획 공고   경상북도가 지원하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주관하는 경북소재 중소․벤처기업의 연구개발 역량강화를 위한 “2022년 연구장비 지원 및 기술상담 (STEP 1)”시행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22년 11월 14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사업내용     - 사업규모 : 100백만원(20개사), 기업부담금은 지원금액의 10% 이상(현금)    - 사업내용 : 기업의 연구개발 진행 과정에서 필요한 연구장비 활용 및 전문인력을 통한 기술상담에 필요한 비용 지원 □ 신청안내    - 신청자격 : 경상북도 소재 창업 7년이하 중소기업 또는 벤처기업(3년 평균 매출액 300억원 이하)    - 신청기간 : 2022. 11. 28(월) 18:00 까지    - 접수처 : 이메일 접수 (daegu@kisti.re.kr)    - 제출서류 :       1. 신청서(참여확약 및 청렴이행서약서,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서 포함)      2. 연구장비 사용 견적서      3. 사업자등록증(필요시 공장등록증 등 경북 소재 기업임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추가제출)      4. 벤처기업인증서(해당시)      5. 재무제표(최근 3년) □ 접수 및 문의    - 주관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대구경북지원    - 연락처 : 053-601-5205, 5206  2022 산학연 연계 벤처기술 사업화(연구장비 지원 및 기술상담)공고 경상북도가 지원하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주관하는 경북소재 중소, 벤처기업의 연구개발 역량강화를 위한 "2022년 연구장비 지원 및 기술상담(STPEP1)" 시행게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사업내용 사업규모 : 100백만원(20개사), 기업부담금은 지원금액의 10%이상(현금) 사업내용 : 기업의 연구개발 진행 과정에서 필요한 연구장비 활용 및 전문인력을 통한 기술상담에 필요한 비용 지원 신청안내 신청자격 : 경상북도 소재 창업 7년이하 중소기업 또는 벤처기업(3년 평균 매출액 300억 이하) 신청기간 : 2022.11.28일(월) 18:00까지 접수처 : 이메일 접수(daegu@kisti.re.kr) 제출서류 : 신청서(참여확약 및 첨령이행서약서,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서 포함) 연구장비 사용 견적서 사업자등록증(필요시 공장등록증 등 경북 소재 기업임을 확인 할 수 있는 서류 추가제출) 벤처기업인증서(해당시) 재무제표(최근3년) 접수 및 문의 주관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대구경북지원 연락처 : 053-601-5205,5206 ※ 삿에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082022. 11
    No. 464 View. 31661

    2022년 안전대전환 집중안전점검 결과

    2022년 안전대전환 집중안전점검 결과를 다음과 같이 공개합니다.
  • 262022. 10
    No. 463 View. 31893

    제17회 미래유망기술 컨퍼런스 개최(10.27(목))

    <2022 미래유망기술 컨퍼런스> 디지털 전환, 이제 'Why'가 아닌 'How'를 논해야 할 때 2022 미래유망기술 컨퍼런스에서는 빅데이터, 메타버스, AI 등 모든 측면에서 디지털 기술을 통합하는 디지털 혁신 동향을 공유하고, 변화하는 디지털 경제 요구에 적응할 수 있는 디지털 전환 방향을 제시합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행사명 : 제17회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2022 Emerging Tech Conference) ○ 일 시 : 2022년 10월 27일(목) 13:30~17:20 ○ 장 소 : 삼성동 COEX 그랜드 컨퍼런스룸 401호 ○ 홈페이지 : https://emergingtech.re.kr/ ○ 프로그램 : - Session I. [14:00 - 15:15] 디지털 전환 시대의 미래유망기술 전망 - Session II. [15:30 - 17:10] 디지털 전환 시대의 기술사업화 전략 2022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 EMERGING TECH CONFERENCE 2022년 10월 27일(목) 13:00~18:00 @ 삼성동 COEX 그랜드 컨퍼런스룸 401호 유튜브 라이브로 동시 송출됩니다. "디지털 전환시대의 미래유망기술" SHAPING THE DIGITAL FURURE 디지털 전환, 이제'why'가 아닌 'How'를 논해야 할 때 2022 미래유망기술 컨퍼런스에서는 빅데이터, 메타버스, AI 등 모든 측면에서 디지털 기술을 통합하는 디지털 혁신 동항을 공유하고, 변화하는 디지털 경제 요구에 적응할 수 있는 디지털 전환 방향을 제시합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행사명 제17회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2022 Emerging Tech Conference) 일시 2022년 10월 27일(목) 13:30~17:20 장 삼성동 COEX 그랜드 컨퍼런스룸 401호 온라인 유튜브 라이브 송출 홈페이지 https://emergingtech.re.kr/ 추첨경품 노트북(1명) 고프로 액션캡(1명) 네스프레소 커피머신(2대) 미니빔 프로젝터(3명) 참가자 기념품 온라인참가자 기념품 커피기프티콘1000명 Q&A기념품 편의점 상품권 30명 현장 참가자 KIT(에코백+64G USB+텀블러)사전등록 및 현장 참가 선착순 500명 개회식 개회식의 개회사,축사,환영사 일정을 설명하는 표입니다. 일시 일정 인물 13:00-14:00 개회사 KISTI 김재수 원장 축사 국회 정청래 의원(과방위 위원장) 박성중 의원(과방위 간사) 조승래 의원(과방위 간사) 김영식 의원,이상민 의원,안철수 의원(영상) 축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김성수 국장 환영사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김복철 이사장 환사 전국ASTI 형기우 회장 Session1 : 미래유망기술 전망 미래유망기술 전망 강연 일정을 설명하는 표입니다. 일시 일정 주제,강사 14:00-14:25 강연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우리는 어떻게 무엇을 얻었나 SK mySUNI 김지현 부사 14:25-14:50 강연2 데이터분석의 미래:일상속으로 KISTI 전홍우 센터장 14:50-15:15 강연3 보이는 소리로 만드는 디지털 혁신 에스엠인스트루먼트 김영기 대표 15:15-15:30 휴식시간 Session2 : 사업화 미래유망 아이템 사업화 미래유망 아이템 강연 일정을 설명하는 표입니다. 일시 일정 주제,강사 15:30-15:50 강연4 메타버스와 디지털 특이점 경희대 김상균 교수 16:20-16:45 강연5 복합위기 대응을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 위기대응 사업화 아이템 KISTI 최윤정 센터장 16:45-17:10 강연6 디지털 전화! 메타버스 기업으로의 진화 야나두 김정수 대표 17:10-17:20 폐회식 및 경품추천
  • 122022. 10
    No. 462 View. 36037

    지식재산&메타버스 국제포럼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지식재산과 메타버스 국제포럼 개요> 11월 3일, 대통령소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가 주최하는 "지식재산과 메타버스 국제 포럼"이 개최됩니다. ❍ 행 사 명 : 지식재산과 메타버스 국제포럼(Global Forum oon IP&Metaverse) ❍ 일 시 : 2022. 11. 03.(목) 10:00 ~ 17:30 ❍ 장 소 : JW 메리어트 호텔 서울 ❍ 주 최 :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특허청 ❍ 주 제 : 메타버스에서의 지식재산 정책과 이슈 (IP Policy and Issues in the Metaverse) ❍ 참석대상 : 주요 내빈, 관계 정부부처, 지식재산위원회 위원, 기업, 유관기관, 일반 국민 등 ❍ 프로그램 지식재산과 메타버스 국제포럼 프로그램 일정 시간 내용 10:00~10:10 10′ 개회사 10:10~10:20 10′ 환영사 10:20~10:30 10′ 축사 10:30~11:00 30′ [기조연설] 메타버스에서의 경제활동과 지식재산 11:00~12:00 60′ [세션1] 국내외 메타버스 산업 동향 및 지식재산 이슈 12:00~13:00 60′ 점심 13:00~15:40 160′ [세션 2] 메타버스 내 지식재산 이슈 대응 방향 15:40~16:00 20′ Coffee Break 16:00~17:00 60′ [세션 3] 메타버스 지식재산 이슈에 관한 국가 간 협력 방향 17:00~17:30 30′ 메타버스 관련 이슈에 대한 종합 토론 ※본 포럼에 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 참고 바랍니다. 메타버스에서의 지식재산 정책과 이슈 IP Policy and lssues in the Metaverse 지식재산&메타버스 국제포럼 Global Forum on IP & Metaverse 2022.11.03(목)10:00 10:00,Noverber3rd(Thu),2022 JW메리어트 호텔 서울 JW Marriott Hotel Seoul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