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KISTI 창립 60주년 김재수 원장 기념사
60주년 기념사 안녕하십니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김재수입니다. 만물이 푸르른 이 아름다운 계절에 내외 귀빈 여러분을 모시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60주년 기념식을 개최하게 되어 더없이 영광스럽습니다. KISTI의 창립 60주년을 축하해 주기 위해 참석해 주신 존경하는 이상민 의원님, 조승래 의원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오태석 차관님,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김복철 이사장님, 대전광역시 김명수 부시장님, 유성구 정용래 구청장님,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 및 대덕연구개발특구기관장협의회 기관장님들, 도서관 협의회 회장님들 감사합니다. 또한, 형기우 회장님을 비롯한 전국과학기술정보협의회 회장단과 KISTI 정책 자문위원님들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KISTI 60년 역사의 기틀을 마련해주신 자랑스러운 선배 원장님들께서 함께 자리해주셨습니다. 이영세 원장님, 김진형 원장님, 조영화 원장님, 양병태 원장님, 한선화 원장님, 최희윤 원장님 그리고 여러 선배님과 후배님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KISTI 60주년 행사를 준비하면서 우리의 처음, 그 시작은 어떠했나에 대해 많이 공부하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던 중 KORSTIC 10년사에 남아있던 박정희 대통령의 휘호를 발견했습니다. 1967년 남겼다는 친필 휘호에는 ‘기술혁신’이라는 네 글자가 힘 있게 적혀 있었습니다. 가슴이 뭉클했습니다. 긴 세월이 흘렀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KISTI의 궁극적인 목표는 단 하나, 과학기술 혁신을 통해 세계적인 강국 대한민국을 만드는 일이라는 것을 다시금 확인했습니다. 당시 정부는 국민소득 120불의 가난한 우리나라가 부국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 진흥밖에 길이 없다고 판단했고, 그중에서도 연구개발의 뿌리인 ‘정보’의 중요성에 방점을 찍었습니다. 그리하여 1962년,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시행과 함께 유네스코의 도움을 받아 KISTI의 전신인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KORSTIC)를 설립했던 것입니다. 이는, 기술혁신을 위한 정보연구의 KORSTIC, 산업화와 생산력 증대를 위한 전초기지로서의 울산공단, 그리고 공장에서 생산한 우리 제품들의 세계 수출과 판매를 위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TRA의 삼각체제가 마련되었습니다. 이때부터 KISTI 60년의 도도한 역사가 시작됐습니다. 시대와 국가 정책에 따라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 산업연구원, 산업기술정보원, 연구개발정보센터 등 이름도 여럿이었고, 파란과 우여곡절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한순간도 멈추지 않고 끊임없이 혁신의 길을 걸었습니다. 1962년 기관 설립과 함께 국내 최초로 해외학술저널에 대한 문헌복사 서비스를 개시하여 국내 연구자들이 신속하게 선진국 기술을 도입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었고 1978년에는 국내 최초로 컴퓨터를 이용한 온라인 DB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또한, 1980년대 이후에는 기업의 홈닥터 역할을 맡아 중소기업과 대기업에 산업·시장·기술 관련 정보와 정보분석을 지원하는 데 집중했으며, 1988년에는 국내 최초로 슈퍼컴퓨터 1호기 크레이 2S를 도입하고 국가과학기술연구망 KREONET을 구축하여 과학기술 첨단화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아울러, 1997년에는 국내 최초로 오픈소스 기반의 한글정보 검색시스템 KRISTAL을 개발하였고, 기업의 기술정보관리시스템인 TIMS를 개발하였으며, 같은 해부터 기업 맞춤형 유망사업아이템 발굴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2001년 통합 KISTI가 출범하고, 「과학기술기본법」을 통해 국가로부터 과학기술 정보에 관한 종합적인 임무를 부여받으면서 비로소 KISTI는 명실상부한 과학기술 정보 분야 대표기관으로 우뚝 서게 됐습니다. KISTI의 임무와 역할은 헌법 127조 1항의 정보 부문, 과학기술기본법 26조에 국가과학기술정보유통 전담기관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만큼 과학기술 혁신에 없어서는 안 될, 핵심적 기관이라는 의미입니다. 이후로, 2008년에는 세계 최초로 범부처 국가 R&D정보 서비스인 NTIS를 개시하여 2012년 UN공공행정상 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2009년 전국과학기술정보협의회(ASTI)를 창립하여 전국 12,000 회원들의 산학연 교류·협력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이어 2011년에는 미국에 이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슈퍼컴퓨팅 육성법 제정도 이뤄냈습니다. 2012년 창립 50주년을 맞이한 KISTI는 2014년부터는 COMPAS·TOD·KMAPS 등 다양한 지능형 데이터 분석시스템을 개발해 정부 및 연구계, 산업계에 확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 세계 과학기술 데이터를 구축·연계하고, 국가오픈액세스플랫폼 AccessON, 연구데이터플랫폼인 DataON, 과학기술지식인프라 ScienceON을 구축하여 오픈사이언스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2018년 국가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을 도입하여 전 세계 최상급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국민들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60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지혜를 모으고 열정을 불사르며 지금의 KISTI를 만들어주신 존경하는 선배님들, 그리고 임직원 여러분께 다시 한 번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지금 세계는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습니다. 데이터가 가치를 결정하고 과학기술과 경제를 움직이며 삶의 방식을 좌우하는 대전환의 시대가 펼쳐진 것입니다. 이러한 패러다임을 선도하기 위해 KISTI는 수년 전부터 정보연구기관을 넘어, 데이터 연구기관으로의 진화를 시작했습니다. 데이터로 세상을 바꾸는 ‘과학기술 데이터 종합 연구기관 KISTI’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데이터를 지원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데이터를 가지고 식량안보, 재난재해, 글로벌공급망 등 국가적 이슈에 대한 해결책도 만들고자 합니다. 데이터만이 풀 수 있는 문제를, 데이터를 가장 잘 알고 잘 쓰는 KISTI가 직접 나서서 해결함으로써 국민의 이익과 안전, 그리고 행복을 더욱 효과적으로 담보하겠습니다. 이는 KISTI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입니다. 기존의 인프라 지원연구와 새로운 직접 연구의 비중을 어떻게 조율할 것인지, 또 어떤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는 애자일(agile)하게, 즉 유연하고 민첩하게 움직이며 찾아내겠습니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지난 60년간 언제나 그래왔듯, 정체하지 않고 혁신하는 KISTI, 시대의 흐름을 누구보다 먼저 읽고 최선의 방향을 찾아 인도하는 KISTI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지금껏 말씀드린 다짐과 결의를 담아 뜻깊은 이 자리에서 ‘KISTI 60주년 미래 데이터 선언’을 발표하고자 합니다. 첫째, KISTI는 국가 과학기술 데이터의 총본산으로서 데이터 기반 오픈사이언스 시대를 열어 가겠습니다. 둘째, KISTI는 국가 초고성능컴퓨팅 생태계를 혁신하여 글로벌 초격차 과학기술개발을 선도하겠습니다. 셋째, KISTI는 데이터 기반 지능형 미래분석체계 구축을 통해 산학연정에 최고의 인사이트를 제공하겠습니다. 넷째, KISTI는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역량을 결집하여 국가 과학기술 디지털 전환을 견인하겠습니다. 다섯째, KISTI는 데이터 R&D를 통해 국민의 요구를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해결하여 국민 행복사회 실현에 기여하겠습니다. KISTI는 앞으로 이 다섯 문장에 담은 결의를 충실하게 실천하고, 또 실현해 나갈 것입니다. 때론 민첩하고 때론 우직하게 한발 한발 KISTI 미래 100주년을 향해 전진하겠습니다. 끝으로, 사랑하는 KISTI인 여러분께 전하고픈 말이 있습니다. 지금 우리는 데이터기술경제 사회를 이끄는 핵심 연구기관으로서 그 어느 때보다 큰 관심과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지난 60년간 풍랑을 헤치고 노를 저어 거대한 바다의 중심에까지 도달한 것입니다. 이제 앞으로는 배의 엔진에 디지털 전환이라는 강력한 추력을 더해 세계 최고의 데이터 연구기관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이를 위해 KISTI인 모두 마음을 모아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임직원 여러분은, 올해 60주년을 맞는 유서 깊은 출연(연)에 몸담고 있다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기며 미래로 달려가고, 선배님들은, 당신이 땀 흘려 개척하신 KISTI가 순항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십시오. 저 역시 선후배가 KISTI라는 하나의 키워드로 똘똘 뭉쳐 더 강력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장을 만들겠습니다. KISTI 100년을 향해, 과학기술 초강국을 향해, 함께 노를 저어 나갑시다. 다시 한 번, 귀한 걸음을 해주신 내외 귀빈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함께 해주신 모든 분의 건강과 행운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22.6.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김재수이공계 여성 재직자를 위한 커리어 성장 플랫폼 'W브릿지' 안내(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이공계 여성 재직자를 위한 커리어 성장 플랫폼 W브릿지 경력 개발부터 커리어 고민 해결까지, 여성 과학기술인을 위한 모든 것! 이공계 분야에서 일하고 계시다면 지금 W브릿지에서 시작해보세요. 신기술 교육을 통한 역량강화로 커리어 업그레이드 업계 선배가 털어놓는 고민과 해답, 온라인 멘토링 최신 이공계 정보로 산업 동향 파악! 과학 기술커리어트렌드 전문 컨설턴트 경력 단계 별 커리어 컨설팅 이공계 여성이라면 모두무료! www.wbridge.or.kr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WISET)에서는 이공계 여성의 진학, 취업, 경력 개발 등 모든 생애주기의 경력 성장을 지원하는 여성과학기술인 생애주기 성장 플랫폼 「W브릿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W브릿지」를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 플랫폼명 : 국문) W브릿지, 영문) W-Bridge ○ 주소 : www.wbridge.or.kr ○ 주요서비스 : 여성과학기술인 전 생애주기에 걸친 진로탐색, 신기술 교육, 취업연계, 역량진단, 취업․경력성장 컨설팅, 멘토링, 네트워킹 등의 통합 성장지원 서비스국민행복증진 철도 대중교통 아이디어 공모(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IDEA "국민 이동 불편을 행복기술로 해결한다!" 국민행복증진 철도·대중교통 아이디어 공모 공모기간 2022년 5월 16일 ~ 6월 3일 공모주제 안전한 교통더 안전한 교통 서비스를 위한 아이디어 또는 기술 제안 편리한 교통더 편리하 교통 서비스를 위한 아이디어 또는 기술 제안 미래 지향적 교통미래 사회 교통시스템에 맞는 아이디어 또는 기술 제안 공모대상 철도 및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있는 국민 누구 공모일정 아이디어 접수 5월 16일 ~ 6월 3일 1차 심사 6월 중순 2차 심사 6월 하순 시상 7월 중 접수 방법 온라인 폼을 통한 제출 : https://bit.ly/krri_idea*제출서식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홈페이지(www.krri.re.kr) → KRRI 소식 → 연구원 공지사항에서 다운로드 결과 발표 및 시상 내역 결과 발표 : 6월 말 개별 통보 및 홈페이지 공지 국민행복증진 철도 대중교통 아이디어 공모의 시상 내역 구분 시상수 상품 최우수상 1팀 100만원 문화상품권 우수상 2팀 50만원 문화상품권 장려상 5팀 20만원 문화상품권 ※ 참가신청서를 충실히 작성한 공모전 참가자에게 커피 모바일 상품권 지급 문의 KRRI 아이디어 공모 운영 사무국 044-862-7962 krri.idea@gmail.com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는 가정의 달 5월을 맞이하여 교통기술을 통한 국민행복 증진을 위한 철도·대중교통 아이디어 발굴 및 관련 기술개발을 위한 국민 제안 아이디어 공모(`22. 5.16. ~ 6.3.)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1. 공모전 개요 가. 공모 주제 - 안전한 교통 : 더 안전한 교통 서비스를 위한 아이디어 또는 기술 제안 - 편리한 교통 : 더 편리한 교통 서비스를 위한 아이디어 또는 기술 제안 - 미래 지향적 교통 : 미래 사회 교통시스템에 맞는 아이디어 또는 기술 제안 나. 공모 기간 : 2022.5.16.(월) ~ 6.3.(금) 18:00까지 - 공모 대상 : 철도 및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있는 국민 누구나 다. 참여 방법 : 온라인 응모(https://bit.ly/krri_idea) 2. 시상 내역 : 최우수상 1명(표창장 및 100만원 문화상품권) 우수상 2명(표창장 및 50만원 문화상품권) 장려상 5명(상장 및 20만원 문화상품권) 3. 문의처 : 아이디어 공모 운영 사무국 044-862-7962 / krri.idea@gmail.com 붙임. 1. KRRI 국민행복증진 철도 대중교통 아이디어 공모 공고문.2022 융합과학 교원직무연수 모집 안내(6/2부터 선착순 모집)
2022 융합과학 교원직무연수 모집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이 공동으로 교원직무연수를 개최합니다. 최근 융합창의체험이 강조됨에 따라 핵융합, 항공우주, 과학기술 인프라에 대한 융합과학 교원직무연수를 아래와 같이 개설하여 학교 교육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자료 활용법, 체험, 실습위주의 교원직무연수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교원들의 과학분야 전문성 제고 및 청소년들의 과학수업 학업성취도 신장에 기여하고자 하오니 관심있는 교원 여러분들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아 래 - 1. 연수명 : 2022 융합과학 교원직무연수 가. 과정구분 : 전문성향상 과정 나. 연수종별 : 직무연수(1학점, 15시간) 다. 지정번호 : 대전-과직정-2022-8 라. 연수내용 : 붙임 내용 참조 2. 연수기간 : 2022년 8월 2일(화) 09:30 ~ 4일(목) 16:00, 3일간 3. 연수대상 : 전국 초.중 교원 40명 내외 4. 연수방법 : 온라인 비대면 실시간 화상시스템(WebEX, Zoom 등) 활용 5. 연수비 : 무료 (연수기간 내 교재 및 과학실험교구 제공. 단, 숙소는 제공하지 않음) 6. 신청방법 : 6월 2일(목) 09:00부터 E-mail 선착순 접수이며, 기타 자세한 사항은 붙임 참조 - 제출 및 문의처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고미상 msko@kfe.re.kr / 042-879-6222 7. 각 기관 교원직무연수담당자 연락처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 042-869-0964, lmj6881@kisti.re.kr -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 042-870-3656, garden@kari.re.kr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 042-879-6222, msko@kfe.re.kr 붙임 1. 2022 융합과학 교원직무연수 운영안내 1부 붙임 2. 2022 융합과학 교원직무연수 참가신청서 1부 붙임 3. 2022 융합과학 교원직무연수 초상권 및 개인정보동의서 1부. 끝.「제 2차 규제자유특구 챌린지」 모집 안내(중소벤처기업부)
제 2차 규제자유특구 챌린지 참가자 모집공고 국제자유특구의 실증과제를 활용한 혁신적인 사업 아이템 및 규제혁신 아이디어 경진대회인 규제자유특구 챌린지!제 2차 규제자유특구 챌린지를 통해 중소기업 및 예비창업자의 '신발 속 돌멩이' 같은 규제를 빼낼 수 있드록 지원합니다! 접수기간 : 2022.4.27.(수) ~ 5.27.(금) 17:00 접수 및 문의처 : 규제자유특구 홈페이지 참조(rfz.go.kr) 주최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사업목적 규제자유특구 71개 실증과제를 활용한 혁신적인 사업 아이템 발굴 및 신기술·심사업의 시장진입을 가로막는 규제 발굴 신청자격 중소기업, 예비창업자 대학, 연구기관, 협·단체 등 신청 부문 1. 규제특구 사업화 챌린지 2. 실증특례 규제 발굴 챌린지 선정규모 규제특구 사업화 챌린지 10개 과제, 실증특례 규제 발굴 챌린지 5개 과제 선정 → 상장 및 상금 수여 우수 사례 표창 제 2차 규제자유특구 챌린지 우수사례 표창 표창 규제특구 사업화 챌린지 실종특례 규제 발굴 챌린지 표창대상 대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1점+1,000만원 1점+500만원 챌린지 본선 진출자 최우수상 2점+700만원 1점+300만원 우수상 3점+500만원 1점+200만원 장려상 KIAT·중진공 기관장 4점+300만원 2점+100만원 지원 및 혜택 사항 과제 기획 멘토링, 발표 스킬업 교육, 정책자금 투자지원(기업당 최대 5억원 이내) 등 신청절차* 일정 및 평가방식 등은 대·내외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 참가자 모집공고 구제자유특구 홈페이지(rfz.go.kr) 및 각 부문별 접수처 홈페이지 공고4.27. ~ 5.27. 예선 발표평가6월 발표평가 종합평가7월 발표평가결과 및 서면검토를 통한 예선통과자 선발 과제기획 고도화 예선통과자 대상 과제기획 멘토링7~9월 본선진출자 선발 및 멘토링 전문가(서면)평가 및 투자심사, 발표스킬업 교육 등9월 본선 순위평가 통해 순위 및 상격 결정10월 중소벤처기업부에서 기존 규제자유특구 실증과제를 활용한 혁신적인 사업 아이템을 발굴하여 특구 성과를 제고하고, 신기술·신사업의 시장진입을 가로막는 규제를 발굴하여 특구 기획에 활용할 수 있도록「제2차 규제자유특구 챌린지」를 아래와 같이 개최합니다. □ 행사 개요 ○ 모집 부문 : ① 규제특구 사업화 챌린지, ② 실증특례 규제 발굴 챌린지 ○ 참가 자격 : ① 중소기업 및 예비창업자, ② 중소기업 및 예비창업자, 대학, 연구기관, 협·단체 등 ○ 신청 기간 : 2022.4.27.(수) ~ 2022. 5. 27.(금) 17:00 ○ 신청 방법 : 각 부문별 신청지역에 해당하는 접수처 담당자에게 이메일로 제출서류 송부 ○ 진행 절차 : 예선(발표평가 및 종합평가) → 멘토링 및 심사(서면) → 본선(발표평가) ○ 문 의 처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권후 055-751-9277 / leegwonhoo@kosmes.or.krIDW(International Data Week) 2022 개최 안내(사전등록 마감일: 5/31)
국제과학위원회의 데이터 위원회(CODATA: Committee on Data)와 세계데이터시스템(WDS: World Data System), 그리고 국제연구데이터연맹(RDA: Research Data Alliance)가 공동 주최하는 ‘International Data Week 2022 (IDW 2022)’가 2022년 6월 20일(월)부터 6월 24일(금)까지 서울에서 개최됩니다. 글로벌기술패권시대, 과학기술 경쟁력을 넘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인 데이터 활용과 글로벌 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개최되는 본 행사에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 행사주제 :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이터 (Data to improve our World) ○ 행 사 명 : International Data Week 2022 (IDW 2022) ○ 홈페이지 : www.idw2022.org ○ 행 사 장 : 서울드래곤시티 ○ 주 최 : CODATA, RDA, WDS ○ 공동주최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립중앙도서관, 성균관대학교(이상 6개 기관) ○ 문의처 1. IDW 2022 운영사무국 박현경 매니저 : Tel. 02-744-0811 E-Mail. hk.park@bebold.kr 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최성배 책임연구원 : Tel. 042-869-0673 E-Mail. sbchoi@kisti.re.kr영세·중소기업 원격 보안점검 서비스 '내서버 돌모비' 서비스 모집 안내(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
영세·중소기업 원격 보안점검 서비스 [내서버]돌보미 내서버 돌보미 서비스란? 예산, 인력 등의 부족으로 보안위협에 대한 선제적 대응의 한계가 있는 영세·중소기업의 보안수준 향상과 보안 면연력 강화를 위하여 기업의 주요서버를 대상으로 보안점검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주요 서버의 원격 보안점검 서버(Windows, Unix)의 계정관리, 파일 권한관리 등 보안설정 점검 Apache Log4j, SMB 등 소프트웨어 취약점 유무 점검 웹쉘 등 침해사고 흔적 유무 점 자가진단도구 제 기업 자체 서버 보안점검 및 위약점 관리를 위한 자가진단도구 제공 Windows, Unix 서버의 보안점검 도구 서버 별 보안점검 결과 통합관리 01.신청/접수 보호나라 홈페이지 접수 -URL:www.bogo.or.kr 02.신청서 검토 지원대상 기업 여부 검토(중소기업 확인증 등 확인) 03.사전협의 점검대상 선정 점검일정 및 점검방안 협의 04.보안점검 원격보안점검 진행(필요시 현장방문 점검) 05.개선지원 취약점 개선 지원 보안교육 제공 서비스 지원 대상 기업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 제1항에 의거한 중소기업 모집기간 및 규모 모집기간:'22.04.01~22.11.20' 모집규모:영세·중소기업 300개 점검대상 기업의 주서버 - WEB/WAS 서버,DB 서버 등 헬프데스크 운영시간:평일 9:00~18:00 연락처 02-6715-2332 / 02-6715-2333 servercheck.or.kr <'내서버돌보미 서비스' 안내> 내서버돌보미 서비스는 예산, 인력 등의 부족으로 보안 위협에 대한 선제 대응의 한계가 있는 영세·중소기업의 보안 수준 향상과 보안 면역력 강화를 위하여 기업의 주요 서버를 대상으로 보안점검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내서버돌보미 서비스 지원 대상 기업을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모집기간 : '22.04.01. ~ '22.11.30 ○모집규모 : 영세·중소기업 300개 사 ○지원방법 : 보호나라 홈페이지 접수(www.boho.or.kr) ○문의처 : 02-6715-2332, 02-6715-2333 / serverchek@krcert.or.kr ○주관기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접수기한 연장) 2022년 부산광역시 기업기술정보 지원사업
KISTI 부산울산경남지원에서 진행하는 '2022년 부산광역시 기업기술정보 지원사업'을 안내드립니다. 1. 지원대상 및 신청안내 ○ 지원대상 : 부산광역시 소재 기업(중소/중견/벤처/창업기업 등) ○ 신청기간 : 2022. 04. 18.(월) - 2022. 06. 17.(금) *접수기간 3주 연장 ○ 신청절차 : 신청서(첨부) 작성 후 이메일 접수, pmj@kisti.re.kr 2. 지원내역 ○ 기술특허 정보조사(필수 항목) : 개별 기업의 현안 애로기술에 대한 핵심 및 주변 기술 관련 기술특허 정보조사 - 신청기술과제 및 주변 기술에 대한 논문, 특허, 보고서 등의 기술자료 및 원문(text) 지원 ○ 특허 산업시장 관련 R&D 컨설팅(추후 추가접수 예정) : R&D 전략기획 및 사업화를 위한 컨설팅 지원 - 전문가 연계를 통한 기업 수요 대응 맞춤형 특허 및 시장동향 심층분석 지원 ○ 해외시장보고서 지원(추가 지원 항목) : 기업의 기술특허 정보조사 수요 주제와 관련된 해외시장보고서 요약본 추가 지원 ○ 번역지원 : 기업의 기술사업화 해외자료 번역(한국어 → 외국어, 외국어 → 한국어 로 번역 지원) 3. 기술 지원기간 및 참고사항 ○ 기술 지원기간 : 2022. 06. 13.(월) - 2022. 11. 30.(수) ○ 참고사항 : 동 사업 지원을 통한 성과가 있는 경우, 추후 만족도 설문조사를 통해 증빙자료를 제출해야 합니다. ○ 문의처 : KISTI 부산울산경남지원 박민지 연구원 051-831-6417 / pmj@kisti.re.kr 2022년 부산광역시 기업기술정보 지원사업 지원대상 및 신청안내 지원대상 부산광역시 소재기업(중소/중견/벤처/창업기업 등) 신청절차 astinet.kr ASTI소식 - 공지사항 - 부산시사업 게시물 - 파일다운로드 - 파일작성 - 이메일 접수 신청기간 2022.04.18(월)-06.17(금)(추가 접수 3주 연장) 지원내역 기술특허 정보조사(필수항목) 개별 기업의 현안 애로기술에 대한 핵심 및 주변 기술관련 기술특허 정보조사 신청기술과제 및 주변 기술에 대한 논문,특허,보고서 등의 기술자료 및 원문(text) 지원 특허 산업시장관련 R&D컨설팅(추후 추가접수 예정) R&D 전략기획 및 사업화를 위한 컨설팅 지원 전문가 연계를 통한 기업 수요 대응 맞춤형 특허 및 시장동향 심층분석 지원 해외시장보고서(추가지원 항목) 기업의 기술특허 정보조사 수요 주제와 관련된 해외시장보고서 요약본 추가 지원 번역지원 기업의 기술사업화 해외자료 번역 한국어-외국어,외국어-한국어로 번역지원 기술 지원기간 및 참고사항 기술지원기간 2022.07.04(월)-11.20(수) 참고사항 동 사업 지원을 통한 성과가 있는 경우, 추후 만족도 수요설문을 통해 증빙자료를 제출하여야 함을 안내드립니다. 동 사업과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좌측 문의처로 연락바랍니다. 부산울산경남지원 박민지연구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동로 41, 센텀벤처타운 501-A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부산울산경남지원 T.051-831-6617 F. 051-831-0762 pmj@kisti.re.kr astinet.kr KISTI 이메일/팩스 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