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총 게시글 571 RSS
  • 092022. 06
    No. 441 View. 35743

    2022년 KISTI 창립 60주년 김재수 원장 기념사

    60주년 기념사   안녕하십니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김재수입니다.   만물이 푸르른 이 아름다운 계절에 내외 귀빈 여러분을 모시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60주년 기념식을 개최하게 되어 더없이 영광스럽습니다.   KISTI의 창립 60주년을 축하해 주기 위해 참석해 주신 존경하는 이상민 의원님, 조승래 의원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오태석 차관님,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김복철 이사장님, 대전광역시 김명수 부시장님, 유성구 정용래 구청장님,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 및 대덕연구개발특구기관장협의회 기관장님들, 도서관 협의회 회장님들 감사합니다. 또한, 형기우 회장님을 비롯한 전국과학기술정보협의회 회장단과 KISTI 정책 자문위원님들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KISTI 60년 역사의 기틀을 마련해주신 자랑스러운 선배 원장님들께서 함께 자리해주셨습니다. 이영세 원장님, 김진형 원장님, 조영화 원장님, 양병태 원장님, 한선화 원장님, 최희윤 원장님 그리고 여러 선배님과 후배님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KISTI 60주년 행사를 준비하면서 우리의 처음, 그 시작은 어떠했나에 대해 많이 공부하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던 중 KORSTIC 10년사에 남아있던 박정희 대통령의 휘호를 발견했습니다.   1967년 남겼다는 친필 휘호에는 ‘기술혁신’이라는 네 글자가 힘 있게 적혀 있었습니다.   가슴이 뭉클했습니다. 긴 세월이 흘렀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KISTI의 궁극적인 목표는 단 하나, 과학기술 혁신을 통해 세계적인 강국 대한민국을 만드는 일이라는 것을 다시금 확인했습니다.   당시 정부는 국민소득 120불의 가난한 우리나라가 부국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 진흥밖에 길이 없다고 판단했고, 그중에서도 연구개발의 뿌리인 ‘정보’의 중요성에 방점을 찍었습니다.   그리하여 1962년,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시행과 함께 유네스코의 도움을 받아 KISTI의 전신인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KORSTIC)를 설립했던 것입니다.   이는, 기술혁신을 위한 정보연구의 KORSTIC, 산업화와 생산력 증대를 위한 전초기지로서의 울산공단, 그리고 공장에서 생산한 우리 제품들의 세계 수출과 판매를 위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TRA의 삼각체제가 마련되었습니다.   이때부터 KISTI 60년의 도도한 역사가 시작됐습니다. 시대와 국가 정책에 따라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 산업연구원, 산업기술정보원, 연구개발정보센터 등 이름도 여럿이었고, 파란과 우여곡절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한순간도 멈추지 않고 끊임없이 혁신의 길을 걸었습니다.   1962년 기관 설립과 함께 국내 최초로 해외학술저널에 대한 문헌복사 서비스를 개시하여 국내 연구자들이 신속하게 선진국 기술을 도입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었고 1978년에는 국내 최초로 컴퓨터를 이용한 온라인 DB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또한, 1980년대 이후에는 기업의 홈닥터 역할을 맡아 중소기업과 대기업에 산업·시장·기술 관련 정보와 정보분석을 지원하는 데 집중했으며, 1988년에는 국내 최초로 슈퍼컴퓨터 1호기 크레이 2S를 도입하고 국가과학기술연구망 KREONET을 구축하여 과학기술 첨단화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아울러, 1997년에는 국내 최초로 오픈소스 기반의 한글정보 검색시스템 KRISTAL을 개발하였고, 기업의 기술정보관리시스템인 TIMS를 개발하였으며, 같은 해부터 기업 맞춤형 유망사업아이템 발굴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2001년 통합 KISTI가 출범하고, 「과학기술기본법」을 통해 국가로부터 과학기술 정보에 관한 종합적인 임무를 부여받으면서 비로소 KISTI는 명실상부한 과학기술 정보 분야 대표기관으로 우뚝 서게 됐습니다.   KISTI의 임무와 역할은 헌법 127조 1항의 정보 부문, 과학기술기본법 26조에 국가과학기술정보유통 전담기관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만큼 과학기술 혁신에 없어서는 안 될, 핵심적 기관이라는 의미입니다.   이후로, 2008년에는 세계 최초로 범부처 국가 R&D정보 서비스인 NTIS를 개시하여 2012년 UN공공행정상 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2009년 전국과학기술정보협의회(ASTI)를 창립하여 전국 12,000 회원들의 산학연 교류·협력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이어 2011년에는 미국에 이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슈퍼컴퓨팅 육성법 제정도 이뤄냈습니다.   2012년 창립 50주년을 맞이한 KISTI는 2014년부터는 COMPAS·TOD·KMAPS 등 다양한 지능형 데이터 분석시스템을 개발해 정부 및 연구계, 산업계에 확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 세계 과학기술 데이터를 구축·연계하고, 국가오픈액세스플랫폼 AccessON, 연구데이터플랫폼인 DataON, 과학기술지식인프라 ScienceON을 구축하여 오픈사이언스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2018년 국가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을 도입하여 전 세계 최상급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국민들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60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지혜를 모으고 열정을 불사르며 지금의 KISTI를 만들어주신 존경하는 선배님들, 그리고 임직원 여러분께 다시 한 번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지금 세계는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습니다. 데이터가 가치를 결정하고 과학기술과 경제를 움직이며 삶의 방식을 좌우하는 대전환의 시대가 펼쳐진 것입니다.   이러한 패러다임을 선도하기 위해 KISTI는 수년 전부터 정보연구기관을 넘어, 데이터 연구기관으로의 진화를 시작했습니다. 데이터로 세상을 바꾸는 ‘과학기술 데이터 종합 연구기관 KISTI’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데이터를 지원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데이터를 가지고 식량안보, 재난재해, 글로벌공급망 등 국가적 이슈에 대한 해결책도 만들고자 합니다. 데이터만이 풀 수 있는 문제를, 데이터를 가장 잘 알고 잘 쓰는 KISTI가 직접 나서서 해결함으로써 국민의 이익과 안전, 그리고 행복을 더욱 효과적으로 담보하겠습니다.   이는 KISTI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입니다. 기존의 인프라 지원연구와 새로운 직접 연구의 비중을 어떻게 조율할 것인지, 또 어떤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는 애자일(agile)하게, 즉 유연하고 민첩하게 움직이며 찾아내겠습니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지난 60년간 언제나 그래왔듯, 정체하지 않고 혁신하는 KISTI,   시대의 흐름을 누구보다 먼저 읽고 최선의 방향을 찾아 인도하는 KISTI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지금껏 말씀드린 다짐과 결의를 담아 뜻깊은 이 자리에서 ‘KISTI 60주년 미래 데이터 선언’을 발표하고자 합니다.   첫째, KISTI는 국가 과학기술 데이터의 총본산으로서 데이터 기반 오픈사이언스 시대를 열어 가겠습니다. 둘째, KISTI는 국가 초고성능컴퓨팅 생태계를 혁신하여 글로벌 초격차 과학기술개발을 선도하겠습니다. 셋째, KISTI는 데이터 기반 지능형 미래분석체계 구축을 통해 산학연정에 최고의 인사이트를 제공하겠습니다. 넷째, KISTI는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역량을 결집하여 국가 과학기술 디지털 전환을 견인하겠습니다. 다섯째, KISTI는 데이터 R&D를 통해 국민의 요구를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해결하여 국민 행복사회 실현에 기여하겠습니다. KISTI는 앞으로 이 다섯 문장에 담은 결의를 충실하게 실천하고, 또 실현해 나갈 것입니다. 때론 민첩하고 때론 우직하게 한발 한발 KISTI 미래 100주년을 향해 전진하겠습니다.   끝으로, 사랑하는 KISTI인 여러분께 전하고픈 말이 있습니다.   지금 우리는 데이터기술경제 사회를 이끄는 핵심 연구기관으로서 그 어느 때보다 큰 관심과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지난 60년간 풍랑을 헤치고 노를 저어 거대한 바다의 중심에까지 도달한 것입니다.   이제 앞으로는 배의 엔진에 디지털 전환이라는 강력한 추력을 더해 세계 최고의 데이터 연구기관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이를 위해 KISTI인 모두 마음을 모아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임직원 여러분은, 올해 60주년을 맞는 유서 깊은 출연(연)에 몸담고 있다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기며 미래로 달려가고, 선배님들은, 당신이 땀 흘려 개척하신 KISTI가 순항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십시오.    저 역시 선후배가 KISTI라는 하나의 키워드로 똘똘 뭉쳐 더 강력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장을 만들겠습니다. KISTI 100년을 향해, 과학기술 초강국을 향해, 함께 노를 저어 나갑시다. 다시 한 번, 귀한 걸음을 해주신 내외 귀빈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함께 해주신 모든 분의 건강과 행운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22.6.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김재수
  • 022022. 06
    No. 440 View. 36054

    코리아 인터넷 컨퍼런스 KRnet 2022 개최 안내

    <코리아 인터넷 컨퍼런스 'KRnet 2022' 개최 안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한국컴퓨터통신연구회가 주관하는 'KRnet 2022' 행사를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행사제목 : KRnet 2022 (6/27~28, 온라인 콘퍼런스) 행사개요 행사명 : KRnet 2022 (The 30th Korea Internet Conference) 일  자 : 2022. 6. 27(월) ~ 28(화) 장  소 : 온라인 콘퍼런스 주  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  관 : TTA, ETRI, KCA, KISA, KISDI, KISTI, NIA, NIPA, OSIA KRnet 2022 The 30th Korea Internet Conference 202.6.27(월)~6.28.(화) 온라인 콘퍼런스 40 years od the Internet, 30years of KRnet:Leading the Future digital platform society 주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TTA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nipa정보통신산업진흥원 KISDI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TI한국화학기술정보연구원 KCA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KISA한국인터넷진흥원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NIA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사)한국컴퓨터통신연구회 후원 HUAWEI Ciena KT NV연구회 SK broadband SK telecom Netvision KT engieering NAONWORKS VTECH sysmate SNETICT woorknet ESTseurity 코모텍(주) COWEVER CUUVA COONTEC CEVERLOGIC 인사말 1993년부터 '한국 학술전산망 워크숍'이라는 이름으로 행사가 시작된 이래 국내 최대 규모로 성장한 ICT 콘퍼런스인 KRnet(Korea Internet Cofernce)이 어느덧 서른 번째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2년 넘게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 팬테믹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국가, 사회, 경제의 산업 전 분야와 국민의 일상생활도 새로운 경험과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심화되고 있는 기술 패권 경쟁은 물론, 탄소중립 선언과 함께 부상한 ESG의 중요성, 블록체인과 NFT를 통한 디지털자산 및 콘텐츠 혁명, 메타버스와 인공지능의 발달과 이에 따른 윤리문제 등 이전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다양한 사회적인 이슈들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KRnet 2022는 행사 30주년을 기념해 "40years of the Internet, 30 years of KRnet:Leading the future digital platform society"라는 주제로 Data/Cloud Computing, Network,AI,Untact, SOC Digital Transfomation, 사회안전, 탄소중립, 메타버스, 스마트이동체, 양자기술, 표준화/오픈소스 등 최근 이번 KRnet 2022를 통해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견인할 혁신적인 ICT기술과 다양한 융합 서비스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미래 기술 및 서비스 수요 예측을 통해 ICT 기술을 접목한 산업 및 경제 성장의 기반을 마련허눈 소통의 장(場)이 되기를 기대하며 많은 관심과 적극적이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KRnet 2022대회장/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 최영 Keynote Speech Keynote Speech1 인터넷과 공연예술(Distributed Performing Arts on the Internet 6월 27일(월) 11:20~12:00 김영대 교수 2021 Intenet HAll of Fame Inductee Keynote Speech2 cyberattacks, Hybrid War and our collective responsibility 6월 28일(화) 11:20~11:40 Tom burt, Corporate VP Microsoft Tutorial [G1-1]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검증도구 정윤환 변호사/삼성전자 [G1-2]오픈소스 관리 서비스'OLIVE platform' 황은경 파트장/카카오 [G1-3]오픈소스로 관리하는 오픈소스 'FOSSlight' 김경애 파트장/LG전자 Program 프로그램 첫째날 일정을 설명하는 표입니다. 첫째낫(6월 27일, 일요일) Track [Track A] DNA Eoosystem [Track B] New MEdia Services over Intemet [Track D] AI: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Track E] Untact Soceiety [Track F] Digital Transformation [Session A1] Datasets AI 좌장: 주성순 박사/ETRI [Session B1] New Media Services over Internet 좌장:이남경 실장/ETRI [Session D1] AI for Networks 좌장:김중헌 교수/고려대 [Session E1] Untact Service Enabling Technoliges 좌장:강신각 본부장/ETRI [Session F1] Infrastructure Digital Twins 좌장:이정구 전문위원/TTA [A1-1]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개방 혀황과 성과 유효진 팀장/NIA [B1-1] NentWork Media Technology:Past, Present, and Future 정광수 교수/광운대 [D1-1] 6G 이동통신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 심병효 교수/서울대 [E1-1] AI x 5G 시대의 주요 기술 및 서비스 이종민 그룹장/SKT [F1-1] 디지털 트윈 기술 K-로드맵 정득영 책임/IITP [A1-2] 자연재해 지진 피해 예측용 인공지능 데이터셋 실증 소개 강태규 박사/KISTI/ETRI [B1-2] 메타버스 디지털미디어의 변화, R&D 추진방향 이준우 PM/IITP [D1-2] 우주 초연결을 위한 온보드 컴퓨팅 기술 최지환 교수/KAIST [E1-2] 가상세계 디지털 경제 기반 기술 NFT의 역할 허원호 이사/코인플러그 [F1-2] 한국판 뉴딜과 디지털 트윈 곽병용 차장/LX한국국토정보공사 [A1-3] 언어처리 및 텍스트 분석 데이터셋과 AI기술 트렌드 김동환 대표/42MARU [B1-3] 새로운 MPEG 2D 영상 압축 표준을 위한 기술 개발 동향 임성창 박사/ETRI [D1-3] Telecom DX를 가속화하는 Network AI기술 이광국 박사/KT [E1-3] 비대면 혼합현실 환경에서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 전승헌 박사/ETRI [F1-3] 디지털 트윈을 이용한 지하 인프라 관리 정우석 센터장/ETRI [B1-4] k-OTT 미디어 서비스 전망 허승 이사/왓챠 11:00-11:20 Break 11:20-12:00 [KRnet 30주년 기념 Keynote Speech1] 인터넷과 공연예술(Distributed Performing Aris on the Internet) -김영대 교수/2021 Intemet Hall of Fame Inductee 11:00-11:20 Break Track [Track A] DNA Eoosystem [Track C] 5G-Advanced/6G [Track D] AI: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Track E] Untact Society [Track F] Digital Transformation 13:00-14:50 [Session A2] HPC/Cloud Computing & Networking 좌장:조부승 센터장/KISTI [Session C1] Architecture evolution towards 5G-Advancend and 6G 좌장:신명기 박사/ETRI [Session D2] AI for Mobility 좌장:고한얼 교수/고려대 [Session E2] Digital Education and Collaboration 좌장:구덕회 교수/서울교대 [Session F2] Digital Twin Standards, Platforoms, and Services 좌장:김원태 교수/한국기술교육 [A2-1]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PaaS-TA)개발 현황 및 고도화 윤희근 박사/NIA [C1-1] 6G Network/system aspects 김동명 프로/삼성전자 삼성리서치 [D2-1] ARCVERSE와 이를 위한 로봇 버전 기술 연수용 박사/NAEVER LABS [E2-1] 메타버스 기술 진화가 가져 올 일과교육의 미래 최형욱 대표/퓨처디자이너스 [F2-1] 디지털 트윈 기술, 표준 및 활용 김용운 책임/ETRI [A2-2] KPC와 클라우드에서 고성능 이더넷 네트워킹 윤희근 박사/NIA [C2-2] Architecture towards 5G-Advanced and 6G-Verticak aspects 김현숙 책임/LG전자 [D2-2] 자율주행 시뮬레이션을 위한 에이전트 학습 김대우 박사/Asleep [E2-2] 디지털교육플랫폼과 교육서비스 정책방향 장사준 본부장/KERIS [F2-2] 메타버스에서의 자율형 디지털 트윈 김재호 교수/세종 [A2-3] 초대형 AI모델 학습 플랫폼 NSML 이홍섭 리더/NAVER [C2-3] 질의응답 및 토 [D2-3] 인공지능 기반 미래 모빌리티 시스템 기술 정소이 교수/한림대 [E2-3] 뉴노멀 시대에 주목해야 할 에듀테크 트렌드 조용상 부사장/아이스크림에듀 [F2-3] 디지털 트윈의 산업적 응용 서비스 최정호 책임/현대자동차 14:50-15:10 Break 15:10-17:00 [Session A3] AI and MLOps in cloud 좌장:우홍욱 교수/성균관대 [Session C2] New 5G ecosystem and opportunities through open-sources & de-facto standards 좌장:백상헌 교수/고려대 [Session D3] AI for Emeging Applications 좌장:이주현 교수/한양대 [Session E3] Digital Healthcare and Wellness 좌장:박수준 단장/ETRI [Session F3] Smart Manufacturing and Finance 좌장:박동주 실장/LG-Ericsson [A3-1] Data-centric MLOps 이현동 이사/Superb AI [C1-1] 5G Core Network from Perspective of Standardization and Development 이재욱 박사/ETRI [D2-1] Federated learning in AI for Net:Efficiency and Privacy 옥정슬 교수/POSTECH [E2-1] 인공지능 주치의(Dr.AI)기술 김승환 박사/ETRI [F2-1] 모바일 기술이 견인ㅅ하는 전통산업의 디지털 변혁 이현우 교수/단국대 [A3-2] AI Computing in Private Cloud 이상우 프로/삼성전자 삼성리서치 [C2-2] Open5GS 소개 이석찬 대표/Open5GS [D3-2] 뉴로모픽 학습기법 소개와 활용사례 장혜령 교수/단국대 [E3-2] ICT 기반 스마트 질병진단 기술 김형우 대표/블루타일랩 [F3-2] 무선 AI공장을 위한 엽합/분할 학습 기법 실증 김성륜 교수/연세대 [A3-3] Cloud Robotics 김영재 연구위원/LG전자 로봇선행연구소 [C2-3] 이음5G 서비스 해외 동향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이상윤 팀장/KCA [D3-3] 초거대 언어모델과 엑스브레인 한국어 AI기술 임준호 박사/ETRI [E3-3] 디지털 치료제 최신 동향 및 기술 전망 신재용 교수/연세대 [F3-3] 핀테크 데이터와 AI 기술을 통한 생활금융 플랫폼 전략 김홍수 실장/카카오페이 [A3-4] MLOps for Multiole GPUs 이경준 부장/아크릴 질의응답 및 토론 [E3-4] 스마트의료 산업 활성화 방안 김영성 그룹장/산업통상자원 R&D전략기획 18:00-20:00 [KRnet 30주년 기념 리셉션]off-Line 인터컨티넨탈서울 코엑스호텔 다이아몬드룸 축사:Vint Cert/Google,jun Murai/Keio Univ,Kilnam Chon/KAIST 프로그램 둘째날 일정을 설명하는 표입니다. 둘째날(6월 28일, 화요일) Track [Track G] Tutorial [Track I] Beyond Metaverse Technlogy & Serivece [Track J] Mobility for new hyper-connected industries [Track K] State-of-the-art Quantum Technology [Track L] Ecosystem for Standards and Open Sources 9:00-10:50 Open Source 좌장:박수홍 그룹장/삼성전자 [Session I1] Core Tehnologies for Realization of True Metaverse 좌장:박상준 박사/ETRI [Session J1] Connected Automated Vehicle 좌장:이재관 본부장/한국자동차연구원 [Session K1] Technology devebloment for building quantum networks 좌장:이원혁 박사/KISTI [Session L1] Overview on ICT Standard technology competiton trend for global supremacy 좌장:김대중 단장/TTA [G1-1]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와 검증도구 정윤환 변호사/삼성전자 [I1-1] On- Device vs. Cloud offloading? Enabling Highly Interactive Mixed Reality Systems 이영기 교수/서울 [J1-1] Automated Vehicle Safety, Cybersecurity Principal and Strategy-Implementation Concept 김정기 부사장/씨엔비스 [K1-1] 출연(연) 양자암호통신망 적용연구 및 서비스 손일권 박사/KISTI [L1-1] 기술패권경쟁 표준이슈 이희진 교수/연세대 [G1-2] 오픈소스로 관리하는 서비스'OLIVE Platform' 황은경 파트장/카카오 [I1-2] Photo-realistic 김영민 교수/서울 [J1-2] 레벨4이상 자율 주행 서비스를 위한 5G-NR V2X통신 기술 남승현 전무/라닉스 [K1-2] KT양자암호통신 서비스 진행 현황 김형수 박사/KT [L1-2] 6G/OpenRAN 표준현황 및 대응 방향 정용준 팀장/TTA [G1-3] 오픈소스로 관리하는 오픈소스 'FOSSLight' 김경애 파트장/LG전자 [I1-3] AR/VR을 위한 Display Soultion 양준영 상무/LG Display [J1-3] 정밀도로지도 기반 Lv4/4+ 시뮬레이터 소개 정지원 대표/모라이 [K1-3] SKT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구축현황과 기술동향 김민형 매니저/SKT [L1-2] 양자 표준 현황 및 대응 방향 윤춘석 선임/KT [J1-4] 자율주행 실도로 실증 데이터 수집사례 유병용 본부장/오토노머스에이투지 10:50 Break 11:00-11:40 [Keynote Speech2] Cyberattaacks,Hybrid War and our collective responsilbility - Tom Burt, Corporate VP/Micrsoft 11:40-13:00 Break Track [Track H] Approach Spcial Protection and Carbon Neutality [Track I] Beyond Metaverse Technlogy & Serivece [Track J] Mobility for new hyper-connected industries [Track K] State-of-the-art Quantum Technology [Track L] Ecosystem for Standards and Open Sources 13:00-14:50 [Session H1] Public and Social Protection Service and System 좌장:이상운 교수/남서울대 [Session I2] Spatial Computing Technology for Ultra-reakistic Metaverse Services 이현우 책임/ETRI [Session J2] Future 3D mobility, UAM 좌장:홍용근 교수/대전 [Session K2] QKD aided quantum secure networks 좌장:이은주 박사/KISTI [Session L2] AloT, Computing, Data Standard Trend for Digital Transformation 좌장:윤주상 교수/동의대 [H1-1] 재난 예경보시스템의 이해 김경희 과장/행정안전부 [I2-1] 볼류메트릭 비디오 처리 및 스트리밍 시스템 류은석 교수/성균관대 [J2-1] UAM운용개념 및 CNS 안재영 단장/ETRI [K2-1] 장거리 양자통신 연구 동향 한상욱 책임/KIST [L2-1] 인공지능 표준화 추진현황 최미란 박사/ETRI [H1-2] 국가위기관리와 긴급재난경보 이연 교수/선문대 [I2-2] 메타버스 플랫폼과 콘텐츠 관점에서 초실감 3D 콘텐츠 렌더링 기술 박기주 이사/위지웍스튜디오 [J2-2] 버티포트 인프라 시스템 정민철 부장/한국공항공사 [K2-2] 원자앙상블 기반 양자 네트워크 기술개발 및 연구동향 조영욱 교수/연세대 [L2-2] 분산 엣지 컴퓨팅을 위한 네트워킹 기술 표준화 현황 선경재 박사/ETRI [H1-3] 지상파 재난경보 서비스 현황 이만규 수석/KBS 기술연구소 [I2-3] 실가상 공간에서의 휴먼 인터페이스를 위한 휴먼 복원 기술 장주용 교수/광운대 [J2-3] UAM 산업화:기업차원 경쟁이 아닌 국가차원 경쟁-선도국과 차별화된 고유의 대전략 가능성 안오성 박사/항공우주연구원 [K2-3] 양자 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양자 리피터 기술 문한섭 교수/부산대 [L2-3] 고품질 AI서비스르 위한 데이터 품질 표준화 동향 정의현 교수/안양대 [H1-4] 지원이 필요한 지역밀착형 재난방송 윤경민 보도국장/LG헬로비전 14:50-15:10 Break 15:10-17:00 [Session H2] ICT Technology for Carbon Neutrality 좌장:박완기 실장/ETRI [Session I3] Emerging Metaverse Service Technology 좌장:범원택 팀장/NIPA [Session J3] Blue ocean for Robot/Ship industries 좌장:이재학 교수/서울 [Session K3] Security for the forthcoming quantum era 좌장:최두호 교수/고려대 [Session L3] Future Open Source as a game changer 좌장:이승윤 박사/ETRI [H2-1] 기후위기를 막기 위한 에너지 AI 김홍석 교수/서강대 [I3-1] 스마트한 도시의 메타버스 기술 활용 방안 조기웅 팀장/인천시청 [J3-1] 자율운항을 위한 선박 기술 개발 하태범 부단장/한국선급 [K3-1] 양자내성암호 동향과 적용사례 진재환 팀장/LG U+ [L3-1] Matter Open Source:Platfrom-Oriented Interoperable Framework for Home loT 홍문기 박사/삼성전자 삼성리서치 [H2-2] Digital Agenda for Sustainable Carbon Neutrality 이일우 단장/ETRI [I3-2] 건설 메타버스로 구현되는 긍정의 건설세상 정태원 부사장/한맥기술 [J3-2] 자율운항선박에 적용가능한 5G-Advanced 국제표준 동향 구현희 대표/싱크테크노 [K3-2] 암호연산의 양자계산을 위한 양자회로 이석준 교수/가천대 [L3-2] 안전한 오픈소스 사용을 위한 취약점 탐지 및 대응기술 이희조 교수/고려대 [H2-3] AI플랫폼 기반 생산소비거래 최적화 한자경 상무/KT [I3-3] 5G,확장현실 메타버스 기반 현실가상융합기술로 도시공간 안전사고 예반과 관리효율화 실현 노진송 대표/익스트리플 [J3-3] 클라우드 로봇 지능-열린 세계와 지속 성장 패러다임 장민수 책임/ETRI [K3-3] 양지컴퓨터를 이용한 암호분석 서화정 교수/한성대 [L3-3] 오픈소스로 만들어가는 멀티클라우드생태계-Cloud-Barista 강동재 실장/ETRI [I3-4] 안전한 메타버스 환경을 위한 디지털 인증 수단 이재성 팀장/KISA 조직 대회장 최영해(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공동대회장 권호열(정보통신정책연구원) 김기천(한국컴퓨터통신연구회) 김명준(한국전자통신연구원) 김재수(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문용식(한국외국어대학교) 이원태(한국인터넷진흥원) 정한근(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허성욱(정보통신산업진흥원) 조직위원장 정성호(한국외국어대학) 운영위원장 김선미(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프로그램위원장 김평수(한국공항대학교) 30주년기념사업위원장 정광수(광운대학) 등록안내 등록마감:~6월 10일(금) 등록비 및 입금계좌 일반:25만원 학생:10만 예금주:(사)한국컴퓨터통신연구회 신한은행:100-019-796860 등록방법 KRnet 2022홈페이지(http:www.krnet.or.kr) "등록/행사안내 - 등록 및 확인" (은행송금 또는 신용카드 중 선택하여 온라인 결제 진행) 계산서는 온라인 입금자에 한하여 발급가능(신용카드 결제 건은 거래명세서로 발급가능) 입금인과 등록자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등록비 입금 확인이 불가하므로 등록자명으로 입금 요망 자세한 사항은 KRnet 홈페이지 참고 참고사항 참석확인증은 행사 종료 후 "KRnet 홈페이지 - 등록하기"에서 출력 가능 발표자료(PDF)는 행사 개최 전에 홈페이지에 업로드 예 KRnet 홈페이지 로그인 후 프로그램 메뉴에서 'Zoom/YouTube'아이콘 클릭하여 해사 당일 온라인 참가 모든 등록자에게 기념품(모바일 상품권 1매)이 제공됩니다. (행사 종료 후 1주일내 문자 발) 등록 및 계산서 문의 KRnet 2022 사무국/Tel:03-562-7041, E-mail:sec@asia.or.kr ※본 콘퍼런스와 관련한 모든 자료에 대해 무단 복제 및 촬영, 도용, 2차 수정, 재배포 및 상업적 사용을 금지합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민·형사상 책임을 부담할 수 있습니다 등록 신청하기
  • 262022. 05
    No. 439 View. 30678

    이공계 여성 재직자를 위한 커리어 성장 플랫폼 'W브릿지' 안내(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이공계 여성 재직자를 위한 커리어 성장 플랫폼 W브릿지 경력 개발부터 커리어 고민 해결까지, 여성 과학기술인을 위한 모든 것! 이공계 분야에서 일하고 계시다면 지금 W브릿지에서 시작해보세요. 신기술 교육을 통한 역량강화로 커리어 업그레이드 업계 선배가 털어놓는 고민과 해답, 온라인 멘토링 최신 이공계 정보로 산업 동향 파악! 과학 기술커리어트렌드 전문 컨설턴트 경력 단계 별 커리어 컨설팅 이공계 여성이라면 모두무료! www.wbridge.or.kr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WISET)에서는 이공계 여성의 진학, 취업, 경력 개발 등 모든 생애주기의 경력 성장을 지원하는 여성과학기술인 생애주기 성장 플랫폼 「W브릿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W브릿지」를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 플랫폼명 : 국문) W브릿지, 영문) W-Bridge  ○ 주소 : www.wbridge.or.kr  ○ 주요서비스 : 여성과학기술인 전 생애주기에 걸친 진로탐색, 신기술 교육, 취업연계, 역량진단, 취업․경력성장 컨설팅, 멘토링, 네트워킹 등의 통합 성장지원 서비스
  • 262022. 05
    No. 438 View. 30517

    제3차 데이터기술경제포럼 개최 안내

    <제3차 KISTI 데이터기술경제포럼> 디지털 대전환을 맞이하며 전 세계 데이터의 약 90%가 최근 2년 동안 생성되었습니다. 데이터의 폭발적인 성장만큼 데이터는 고령화, 환경오염 등의 오래된 이슈부터 기후변화, 감염병, 기술패권에의 대응과 같은 최신 이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국가·사회가 직면한 시급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 기술을 혁신의 근간으로 삼아 사회적·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범지구적 패러다임 전환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新정부 또한 디지털 플랫폼 정책을 제시하며 본격적인 데이터 경제 시대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제3차 데이터기술경제포럼에서는 "新 정부 데이터 정책 방향과 데이터 중심 과학기술 혁신"이라는 주제로 데이터 기반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한 핵심적인 정책에 대해 생생한 정보를 제공하고, 과학기술 혁신에 대해 각계 전문가를 모시고 함께 지혜를 모으고 논의하는 시간을 가지고자 하며, 아래와 같이 개최합니다. 주제 : 새 정부 데이터 정책 방향과 데이터 중심 과학기술 혁신 일시 : 2022년 5월 30일(월) 15:30~17:00 참여방법 : KISTI 유튜브 채널 실시간 스트리밍 시청, 스트리밍URL ☞ https://youtu.be/U6EALdYrAGU 제3차 데이터기술경제포럼 DATA TECHNOLOGY ECOONOMY FORUM 제3차 데이터 기술 경제 포럼에 귀하를 초대합니다. 디지털 대전환을 맞이하며 전 세계 데이터의 약 90%가 최근 2년동안 생성되었습니다. 데이터의 폭발적인 성장만큼 데이터는 고령화, 환경오염 등의 오래된 이슈부터 기후변화, 감염병, 기술패권에의 대응과 같은 최신 이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국가·사회가 직면한 시급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 기술을 혁신의 근간으로 삼아 사회적·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범지구적 패러다임 전환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정부 또한 디지털 플랫폼 정책을 제시하며 본격적인 데이터 경제 시대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제3차 데이터기술경제포럼에서는 "정부 데이터 정책 방향과 데이터 중심 과학기술 혁신"이라는 주제로 데이터 기반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한 정부의 핵심적인 정책에 대해 생생한 정보를 제공하고, 과학기술 혁신에 대해 각계 전문가를 모시고 함께 지혜를 모으고 논의하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인)김재수 본 포럼은 유튜브에서 생중계됩니다. 유튜브(www.yotube.com)에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을 검색하세요. 일시:2022.5.30(월) 15:30-17:30 장소:KISTI 서울 분원 별관 3층 대회의실 주최:데이터기술경제포럼 / 주관: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데이터 기술 경제 포럼 일정을 설명하는 표입니다. 일정 주요내용 비고 15:00-15:30 30분 등록 및 안내 사회자 15:30-15:40 10분 개회사 및 안내 데이터기술경제포럼 공동위원장 KAIST 이광형 총장 KISTI 김재수 원장 15:40-16:00 20분 [주제발표1] '디지털 플랫폼 정부 추진방향' 한국모바일산업연합회/ 한국메타버스산업협회 고진 회장 16:00-16:20 20분 [주제발표2] '데이터와 과학기술 거버넌스' 차두원모빌리티연구소 차두원 대표 16:20-17:20 60분 [종합토론] 이장재(좌장,KISTEP 명예전문위원) 구자현(한국개발연구원(KDI)부장) 남영준(중앙대학교 교수) 송정희(한국공학한림원 교수) 현병환(대전대학교 교수) 노성열(문화일보 부장) 최광남(KISTI 국가과학기술데이터본부장) 고 진(한국모바일산업연합회/ 한국메타버스산업협회 회장) 차두원(차두원모빌리티연구소 대표) 전체 17:20-17:30 10분 폐회 및 기념촬영 사회자
  • 182022. 05
    No. 437 View. 29860

    국민행복증진 철도 대중교통 아이디어 공모(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IDEA "국민 이동 불편을 행복기술로 해결한다!" 국민행복증진 철도·대중교통 아이디어 공모 공모기간 2022년 5월 16일 ~ 6월 3일 공모주제 안전한 교통더 안전한 교통 서비스를 위한 아이디어 또는 기술 제안 편리한 교통더 편리하 교통 서비스를 위한 아이디어 또는 기술 제안 미래 지향적 교통미래 사회 교통시스템에 맞는 아이디어 또는 기술 제안 공모대상 철도 및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있는 국민 누구 공모일정 아이디어 접수 5월 16일 ~ 6월 3일 1차 심사 6월 중순 2차 심사 6월 하순 시상 7월 중 접수 방법 온라인 폼을 통한 제출 : https://bit.ly/krri_idea*제출서식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홈페이지(www.krri.re.kr) → KRRI 소식 → 연구원 공지사항에서 다운로드 결과 발표 및 시상 내역 결과 발표 : 6월 말 개별 통보 및 홈페이지 공지 국민행복증진 철도 대중교통 아이디어 공모의 시상 내역 구분 시상수 상품 최우수상 1팀 100만원 문화상품권 우수상 2팀 50만원 문화상품권 장려상 5팀 20만원 문화상품권 ※ 참가신청서를 충실히 작성한 공모전 참가자에게 커피 모바일 상품권 지급 문의 KRRI 아이디어 공모 운영 사무국 044-862-7962 krri.idea@gmail.com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는 가정의 달 5월을 맞이하여 교통기술을 통한 국민행복 증진을 위한  철도·대중교통 아이디어 발굴 및 관련 기술개발을 위한 국민 제안 아이디어 공모(`22. 5.16. ~ 6.3.)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1. 공모전 개요   가. 공모 주제        - 안전한 교통 : 더 안전한 교통 서비스를 위한 아이디어 또는 기술 제안        - 편리한 교통 : 더 편리한 교통 서비스를 위한 아이디어 또는 기술 제안        - 미래 지향적 교통 : 미래 사회 교통시스템에 맞는 아이디어 또는 기술 제안    나. 공모 기간 : 2022.5.16.(월) ~ 6.3.(금) 18:00까지        - 공모 대상 : 철도 및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있는 국민 누구나    다. 참여 방법 : 온라인 응모(https://bit.ly/krri_idea) 2. 시상 내역 : 최우수상 1명(표창장 및 100만원 문화상품권)                 우수상 2명(표창장 및 50만원 문화상품권)                 장려상 5명(상장 및 20만원 문화상품권) 3. 문의처 : 아이디어 공모 운영 사무국 044-862-7962 / krri.idea@gmail.com 붙임. 1. KRRI 국민행복증진 철도 대중교통 아이디어 공모 공고문.  
  • 182022. 05
    No. 436 View. 29078

    2022 융합과학 교원직무연수 모집 안내(6/2부터 선착순 모집)

    2022 융합과학 교원직무연수 모집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이 공동으로 교원직무연수를 개최합니다.   최근 융합창의체험이 강조됨에 따라 핵융합, 항공우주, 과학기술 인프라에 대한 융합과학 교원직무연수를 아래와 같이 개설하여 학교 교육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자료 활용법, 체험, 실습위주의 교원직무연수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교원들의 과학분야 전문성 제고 및 청소년들의 과학수업 학업성취도 신장에 기여하고자 하오니 관심있는 교원 여러분들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아 래 - 1. 연수명 : 2022 융합과학 교원직무연수 가. 과정구분 : 전문성향상 과정 나. 연수종별 : 직무연수(1학점, 15시간) 다. 지정번호 : 대전-과직정-2022-8 라. 연수내용 : 붙임 내용 참조   2. 연수기간 : 2022년 8월 2일(화) 09:30 ~ 4일(목) 16:00, 3일간   3. 연수대상 : 전국 초.중 교원 40명 내외   4. 연수방법 : 온라인 비대면 실시간 화상시스템(WebEX, Zoom 등) 활용   5. 연수비 : 무료 (연수기간 내 교재 및 과학실험교구 제공. 단, 숙소는 제공하지 않음)   6. 신청방법 : 6월 2일(목) 09:00부터 E-mail 선착순 접수이며, 기타 자세한 사항은 붙임 참조 - 제출 및 문의처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고미상 msko@kfe.re.kr / 042-879-6222   7. 각 기관 교원직무연수담당자 연락처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 042-869-0964, lmj6881@kisti.re.kr -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 042-870-3656, garden@kari.re.kr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 042-879-6222, msko@kfe.re.kr   붙임 1. 2022 융합과학 교원직무연수 운영안내 1부 붙임 2. 2022 융합과학 교원직무연수 참가신청서 1부 붙임 3. 2022 융합과학 교원직무연수 초상권 및 개인정보동의서 1부. 끝.
  • 182022. 05
    No. 435 View. 27821

    「제 2차 규제자유특구 챌린지」 모집 안내(중소벤처기업부)

    제 2차 규제자유특구 챌린지 참가자 모집공고 국제자유특구의 실증과제를 활용한 혁신적인 사업 아이템 및 규제혁신 아이디어 경진대회인 규제자유특구 챌린지!제 2차 규제자유특구 챌린지를 통해 중소기업 및 예비창업자의 '신발 속 돌멩이' 같은 규제를 빼낼 수 있드록 지원합니다! 접수기간 : 2022.4.27.(수) ~ 5.27.(금) 17:00 접수 및 문의처 : 규제자유특구 홈페이지 참조(rfz.go.kr) 주최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사업목적 규제자유특구 71개 실증과제를 활용한 혁신적인 사업 아이템 발굴 및 신기술·심사업의 시장진입을 가로막는 규제 발굴 신청자격 중소기업, 예비창업자 대학, 연구기관, 협·단체 등 신청 부문 1. 규제특구 사업화 챌린지 2. 실증특례 규제 발굴 챌린지 선정규모 규제특구 사업화 챌린지 10개 과제, 실증특례 규제 발굴 챌린지 5개 과제 선정 → 상장 및 상금 수여 우수 사례 표창 제 2차 규제자유특구 챌린지 우수사례 표창 표창 규제특구 사업화 챌린지 실종특례 규제 발굴 챌린지 표창대상 대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1점+1,000만원 1점+500만원 챌린지 본선 진출자 최우수상 2점+700만원 1점+300만원 우수상 3점+500만원 1점+200만원 장려상 KIAT·중진공 기관장 4점+300만원 2점+100만원 지원 및 혜택 사항 과제 기획 멘토링, 발표 스킬업 교육, 정책자금 투자지원(기업당 최대 5억원 이내) 등 신청절차* 일정 및 평가방식 등은 대·내외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 참가자 모집공고 구제자유특구 홈페이지(rfz.go.kr) 및 각 부문별 접수처 홈페이지 공고4.27. ~ 5.27. 예선 발표평가6월 발표평가 종합평가7월 발표평가결과 및 서면검토를 통한 예선통과자 선발 과제기획 고도화 예선통과자 대상 과제기획 멘토링7~9월 본선진출자 선발 및 멘토링 전문가(서면)평가 및 투자심사, 발표스킬업 교육 등9월 본선 순위평가 통해 순위 및 상격 결정10월 중소벤처기업부에서 기존 규제자유특구 실증과제를 활용한 혁신적인 사업 아이템을 발굴하여 특구 성과를 제고하고,  신기술·신사업의 시장진입을 가로막는 규제를 발굴하여 특구 기획에 활용할 수 있도록「제2차 규제자유특구 챌린지」를 아래와 같이 개최합니다.   □ 행사 개요     ○ 모집 부문 : ① 규제특구 사업화 챌린지, ② 실증특례 규제 발굴 챌린지     ○ 참가 자격 : ① 중소기업 및 예비창업자, ② 중소기업 및 예비창업자, 대학, 연구기관, 협·단체 등     ○ 신청 기간 : 2022.4.27.(수) ~ 2022. 5. 27.(금) 17:00     ○ 신청 방법 : 각 부문별 신청지역에 해당하는 접수처 담당자에게 이메일로 제출서류 송부     ○ 진행 절차 : 예선(발표평가 및 종합평가) → 멘토링 및 심사(서면) → 본선(발표평가)     ○ 문 의 처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권후 055-751-9277 / leegwonhoo@kosmes.or.kr
  • 092022. 05
    No. 434 View. 27429

    IDW(International Data Week) 2022 개최 안내(사전등록 마감일: 5/31)

    국제과학위원회의 데이터 위원회(CODATA: Committee on Data)와 세계데이터시스템(WDS: World Data System), 그리고 국제연구데이터연맹(RDA: Research Data Alliance)가 공동 주최하는 ‘International Data Week 2022 (IDW 2022)’가 2022년 6월 20일(월)부터 6월 24일(금)까지 서울에서 개최됩니다.  글로벌기술패권시대, 과학기술 경쟁력을 넘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인 데이터 활용과 글로벌 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개최되는 본 행사에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 행사주제 :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이터 (Data to improve our World) ○ 행 사 명 : International Data Week 2022 (IDW 2022) ○ 홈페이지 : www.idw2022.org ○ 행 사 장 : 서울드래곤시티 ○ 주 최 : CODATA, RDA, WDS ○ 공동주최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립중앙도서관, 성균관대학교(이상 6개 기관) ○ 문의처     1. IDW 2022 운영사무국 박현경 매니저 : Tel. 02-744-0811 E-Mail. hk.park@bebold.kr     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최성배 책임연구원 : Tel. 042-869-0673 E-Mail. sbchoi@kisti.re.kr
  • 282022. 04
    No. 433 View. 26927

    영세·중소기업 원격 보안점검 서비스 '내서버 돌모비' 서비스 모집 안내(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

    영세·중소기업 원격 보안점검 서비스 [내서버]돌보미 내서버 돌보미 서비스란? 예산, 인력 등의 부족으로 보안위협에 대한 선제적 대응의 한계가 있는 영세·중소기업의 보안수준 향상과 보안 면연력 강화를 위하여 기업의 주요서버를 대상으로 보안점검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주요 서버의 원격 보안점검 서버(Windows, Unix)의 계정관리, 파일 권한관리 등 보안설정 점검 Apache Log4j, SMB 등 소프트웨어 취약점 유무 점검 웹쉘 등 침해사고 흔적 유무 점 자가진단도구 제 기업 자체 서버 보안점검 및 위약점 관리를 위한 자가진단도구 제공 Windows, Unix 서버의 보안점검 도구 서버 별 보안점검 결과 통합관리 01.신청/접수 보호나라 홈페이지 접수 -URL:www.bogo.or.kr 02.신청서 검토 지원대상 기업 여부 검토(중소기업 확인증 등 확인) 03.사전협의 점검대상 선정 점검일정 및 점검방안 협의 04.보안점검 원격보안점검 진행(필요시 현장방문 점검) 05.개선지원 취약점 개선 지원 보안교육 제공 서비스 지원 대상 기업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 제1항에 의거한 중소기업 모집기간 및 규모 모집기간:'22.04.01~22.11.20' 모집규모:영세·중소기업 300개 점검대상 기업의 주서버 - WEB/WAS 서버,DB 서버 등 헬프데스크 운영시간:평일 9:00~18:00 연락처 02-6715-2332 / 02-6715-2333 servercheck.or.kr <'내서버돌보미 서비스' 안내> 내서버돌보미 서비스는 예산, 인력 등의 부족으로 보안 위협에 대한 선제 대응의 한계가 있는 영세·중소기업의 보안 수준 향상과 보안 면역력 강화를 위하여 기업의 주요 서버를 대상으로 보안점검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내서버돌보미 서비스 지원 대상 기업을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모집기간 : '22.04.01. ~ '22.11.30 ○모집규모 : 영세·중소기업 300개 사 ○지원방법 : 보호나라 홈페이지 접수(www.boho.or.kr) ○문의처 : 02-6715-2332, 02-6715-2333 / serverchek@krcert.or.kr ○주관기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 182022. 04
    No. 432 View. 28630

    (접수기한 연장) 2022년 부산광역시 기업기술정보 지원사업

    KISTI 부산울산경남지원에서 진행하는 '2022년 부산광역시 기업기술정보 지원사업'을 안내드립니다. 1. 지원대상 및 신청안내    ○ 지원대상 : 부산광역시 소재 기업(중소/중견/벤처/창업기업 등)    ○ 신청기간 : 2022. 04. 18.(월) - 2022. 06. 17.(금) *접수기간 3주 연장    ○ 신청절차 : 신청서(첨부) 작성 후 이메일 접수, pmj@kisti.re.kr 2. 지원내역    ○ 기술특허 정보조사(필수 항목) : 개별 기업의 현안 애로기술에 대한 핵심 및 주변 기술 관련 기술특허 정보조사       - 신청기술과제 및 주변 기술에 대한 논문, 특허, 보고서 등의 기술자료 및 원문(text) 지원    ○ 특허 산업시장 관련 R&D 컨설팅(추후 추가접수 예정) : R&D 전략기획 및 사업화를 위한 컨설팅 지원        - 전문가 연계를 통한 기업 수요 대응 맞춤형 특허 및 시장동향 심층분석 지원    ○ 해외시장보고서 지원(추가 지원 항목) : 기업의 기술특허 정보조사 수요 주제와 관련된 해외시장보고서 요약본 추가 지원    ○ 번역지원 : 기업의 기술사업화 해외자료 번역(한국어 → 외국어, 외국어 → 한국어 로 번역 지원) 3. 기술 지원기간 및 참고사항    ○ 기술 지원기간 : 2022. 06. 13.(월) - 2022. 11. 30.(수)    ○ 참고사항 : 동 사업 지원을 통한 성과가 있는 경우, 추후 만족도 설문조사를 통해 증빙자료를 제출해야 합니다.    ○ 문의처 : KISTI 부산울산경남지원 박민지 연구원 051-831-6417 / pmj@kisti.re.kr 2022년 부산광역시 기업기술정보 지원사업 지원대상 및 신청안내 지원대상 부산광역시 소재기업(중소/중견/벤처/창업기업 등) 신청절차 astinet.kr ASTI소식 - 공지사항 - 부산시사업 게시물 - 파일다운로드 - 파일작성 - 이메일 접수 신청기간 2022.04.18(월)-06.17(금)(추가 접수 3주 연장) 지원내역 기술특허 정보조사(필수항목) 개별 기업의 현안 애로기술에 대한 핵심 및 주변 기술관련 기술특허 정보조사 신청기술과제 및 주변 기술에 대한 논문,특허,보고서 등의 기술자료 및 원문(text) 지원 특허 산업시장관련 R&D컨설팅(추후 추가접수 예정) R&D 전략기획 및 사업화를 위한 컨설팅 지원 전문가 연계를 통한 기업 수요 대응 맞춤형 특허 및 시장동향 심층분석 지원 해외시장보고서(추가지원 항목) 기업의 기술특허 정보조사 수요 주제와 관련된 해외시장보고서 요약본 추가 지원 번역지원 기업의 기술사업화 해외자료 번역 한국어-외국어,외국어-한국어로 번역지원 기술 지원기간 및 참고사항 기술지원기간 2022.07.04(월)-11.20(수) 참고사항 동 사업 지원을 통한 성과가 있는 경우, 추후 만족도 수요설문을 통해 증빙자료를 제출하여야 함을 안내드립니다. 동 사업과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좌측 문의처로 연락바랍니다. 부산울산경남지원 박민지연구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동로 41, 센텀벤처타운 501-A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부산울산경남지원 T.051-831-6617 F. 051-831-0762 pmj@kisti.re.kr astinet.kr KISTI 이메일/팩스 접수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