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총 게시글 571 RSS
  • 272021. 10
    No. 411 View. 36228

    KISTI 60주년 기념 표어 공모전 결과발표

    <2021 KISTI 60주년 기념표어 공모전 결과발표> 금년도 7~9월간 개최한 'KISTI 60주년 기념 표어 공모전' 결과를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참여해 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 KISTI 60주년 기념표어 수상작 발표 2022년 60주년을 맞는 KISTI를 기념하기 위해 지난 7월부터 시작된 '기념표어 공모전'이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 속에서 마무리되었습니다. KISTI의 60주년을 빛낼 영예의 표어를 소개합니다. 대상 KISTI 60년, 과학기술과 通하다! 데이터로 秀놓다!김*미(4443) 우상 과학기술발전 60년, 미래를 선도하는 KISTI이*원(0834) 세상을 바꾸는 데이터, 내일을 여는 KISTI김*순(3914) KISTI 60년, 데이터路(로), 세계路(로), 미래路(로)김*학(7076) 세상을 바꾸는 데이터, 미래를 이끄는 KISTI조*동(1160) 선정되신 분들에게는 개별적으로 연락을 취해 상금을 지급해드립니다. KISTI는 국가 과학기술데이터 수집·유통·활용과 국가 초고성능컴퓨팅 운용으로 국가 과학기술 진흥과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60년을 지나온 KISTI, 앞으로의 발전에도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152021. 10
    No. 410 View. 41601

    2021 한국 슈퍼컴퓨팅 컨퍼런스 KSC 개최

    Korea Supercomputing Conference 2021Online STREAMING KSC Moving Forward with Supercomputing 25(Mon)~26(Tue) October, 2021 Register at www.ksc2021.re.kr 주최국가초고성능컴퓨팅센터주관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계산과학공학회후원과학기술정보통신부 INVITATION Greetings 안녕하십니까? 2021년 한국슈퍼컴퓨팅 컨퍼런스(KSC2021) 조직위원장을 맡은 KISIT 원장 김재수입니다. 코로나19라는 전대미문의 감염병이 확산되면서 우리 생활의 모든 것이 크게 바뀌고 있습니다. 이에 18번째 한국슈퍼컴휴팅컨퍼런스는 온라인으로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언더그라운드 시대에 슈퍼컴퓨팅이 무척 중요한 역할을 할 시점에 왔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선진국에서는 백신 개발 및 새로운 기술 개발의 선도적 점위을 위해 슈퍼컴퓨팅 활용을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이에 뒤 떨어질 수 없는 시대를 맞이하여 이번 행사의 주제를 Moving forward with Supercomputing으로 잡았ㅅ브니다. 최근 정부에서도 초고성능컴퓨팅에 대한 관심이 많고 응용활용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외 전문가를 초대하여 초거대 AI 응용 모델 및 HPC 혼잡 제어 전략 등 기조연설을 준비하였습니다. 10월 25~26일 이틀에 걸쳐 개최될 이번 행사는 3개의 기조 강연과 HPC AI 가속기 개발, 코로나로 인해 관심을 많은 바이오 및 의료분야, 양자 암호 기술, HPC 할용, AI 연구를 위한 HPC 인프라 등 최신 정보를 다루는 8개의 워크숍, 한국계산과학공학회와 함께 준비한 8개의 커뮤니티 포럼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본 행사가 기초과학적 응용은 물론이고 코로나19 대응, AI/빅데이터/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관련 슈퍼컴퓨팅활용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고 산학연의 전문가들이 서로 교류할 수 있는 장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 2021년 10월 2021년 한국슈퍼컴퓨팅 컨퍼런스 조직위원장 김재수 Program - 2021/10/25(Mon) REGISTER 기조강연Keynote Speech(09:90~10:10) Byung-Gon Chun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거대 AI 연구 현황 및 컴퓨팅 수요 본 발표에서는 최근 큰 관심을 받고 있는 GPT-3와 같은 초거대 AI를 응용, 모델, 시스템 관점에서 살펴본다. 특히 초거대 AI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시스템 요소기술들에 대해서 논의한다. 개회식Opening Ceremony OPENING CEREMONY (개회식) 10:10~10:20 Welcome Remarks 김재수 원장 (KSC 조직위원장) Congratulatory Remarks 과학기술정보통신부 Congratulatory Remarks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 초고성능컴퓨팅 포럼 발족식Starting Ceremony STARTING CEREMONY (한국 초고성능컴퓨팅 포럼 발족식) 10:20~10:30 포럼 발족식 세레모니 10:30~11:00 국가초고성능컴퓨팅 혁신전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1:00~12:00 패널토의 - 국내 초고성능컴퓨팅 생태계 발전 방안 전문가 5~6명 튜토리얼Tutorial TUTORIALGPU PROGRAMMING 워크숍Workships WORKSHOP 1DFT AND BEYOND FOR SPECTROSCOPIES AND METERIALS DESIGN WORKSHOP 2HPC-AI 가속기 개발동향 및 HPC-AI 자원서비스 소 WORKSHOP 3BIO HEALTECARE SOLUTIONS WITH HPC WORKSHOP 4시뮬레이션 기반 디지털 트윈(SIMULATION BASED DISGITAL TWIN) WORKSHOP 5초고성능 컴퓨팅 기반의 바이오/의료분야 계산과학 연구 동향 WORKSHOP 6END TO END BIG DATA ANALYSIS PLATFORM AND SOLUTION WITH AI WORKSHOP 7양자암호기술을 활용을 위한 표준화 및 진행 현황 Program - 2021/10/26(Tue) REGISTER 기조강연Keynote Speech(10:00~11:40) Jeongkeun Lee Principal Engineer Intel HPC congestiondontrol strategy with P4 Tail latency is a key performance metric in HPC workloads. Network congestion is a major contributing factor on the application tail latency. but existing end-to-end congestion control design has fundamental limitations: 1)congestion information... Nicola Marzari Director NCCR MARVEL The Great Acceleration in the Design and Discovery of Novel Materials 커뮤니티 포럼Community Forum COMMUNTIY 1MACHINE LEARNING FOR HEP COMMUNTIY 2가속기 기반 슈퍼컴퓨터 시스템 기술 COMMUNTIY 3ONOS/CORD 및 P4 기반의 SDN 응용 기술 WORKSHOP 9GPU 컴퓨팅 워크숍 한국계산과학공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계산과학공학회 추계학술대회 13:00~13:35 Topological data analysis with d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time-series data analysis 정재훈 교수(포항공대) 13:35~14:10 딥러닝을 이용한 제어 최적화 및 시계열 비정상 탐지 유환조 교수(포항공대) 14:10~14:45 Nvidia가 바라보는 HPC/AI의 현재와 미래 유웅준 교수(NVIDIA) 14:55~15:30 Deep lernining optical spectros based on experimental database : Potential application to the development of optimal chrompheres and fluorophores 박성남 교수(고려대) 15:30~16:05 Large scale deep lerning to search for new physics at the Large Hadron Collider 고정환 교수(경희대) 16:15~17:40 포스터 세션 및 우수포스터 시상식 17:40~18:40 한국계산과학공학회 총회 경품 안내Event 25일~26일 양일간 선착순으로 ZOOM에 접속하신 100분께 커피 쿠폰을 드립니다. 양일간 전시간 다 들으신 100분을 추첨해서 커피 쿠폰을 드립니다. 행사 문의 장지훈(Jangoq@kisti.re.kr), 042-869-0540 ※본 행사는 참가비가 없는 무료 행사입니다.    행사 참가를 위해서는 반드시 사전등록을 해주셔야 합니다.    사전등록은 본 행사 홈페이지(http://www.ksc2021.re.kr/)에서 가능합니다.
  • 072021. 10
    No. 409 View. 41946

    글로벌 인공지능 포럼 개최 안내(정보통신기획평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하‘IITP’)이 주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서울대학교가 공동주관하는 ‘글로벌 인공지능 포럼’이  오는 10월 21일(목) 오전 9시 30분부터 온라인(Youtube, Zoom)으로 개최됩니다. 글로벌 인공지능 포럼 GLOBAL AI FORUM AI OF A NEW ERA 2021. 10. 21(Tue) 09:30~17:00 온라인 진행 유튜브/ZOOM 신청방법 : 온라인 접수(www.globalaiforum.kr) 문의 : 운영사무국 070-4105-3376 KEYNOTE SPEECH Yoshua Bengio PRESENTATION Joon-Ho Lim Byoung-Tak Zhang Jaesik Choi Jinho D. Choi Leslie Pack Kaebling Klaus-Robert Muller PANEL DISCUSSION Moderator:Sung-Bae Cho Panel : Klaus-Robert Muller, Leslie Pack Daebling, Subbaro Kambhampati, Hyung Jin Chang, Hyeon Kyu Lee POLICY PRESENTATION HYEON KYU LEE 주최:과학기술정보통신부주관:정보통신기획평가원공동주관: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KAIST, 서울대학교
  • 012021. 10
    No. 408 View. 41503

    KISTI 기념표어 공모전 결과발표 관련 안내

    <2021 KISTI 60주년 기념표어 공모전 관련 안내사항>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대외협력실에서 안내드립니다. 지난 7~9월 진행한 'KISTI 기념표어 공모전' 결과발표 일정을 안내드립니다. 현재 공모전 심사 중으로 외부전문기관에서 표절 등 중복 검토, 어문상 오류 등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에, 결과발표는 10월말경으로 예상하며, 지식정보인프라 83호(2021 가을호)가 아닌 84호(2021 겨울호)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본 공모전에 참여하여 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리며, 결과를 기다리고 계신 분들께 양해의 말씀 올립니다. 감사합니다.
  • 272021. 09
    No. 407 View. 42230

    "제39회 미래 정보 기술·산업 전망" iTIP 2021 개최(한국정보과학회)

    제39회 미래 정보 기술·산업 전망 2021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dustry Prospects (iTIP 2021) -뉴노멀시대, 디지털혁신과 공유- 2021년 10월 14일 (목) - 15일 (금), 홀리데이 인 광주&온라인 ·주최 : 한국정보과학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iTIP2021 행사안내 프로그램 조직및위원회 참가등록 리플렛 코로나19 방역수칙을 준수하여 선착순 30명만 오프라인 참석 가능합니다. (참가등록시 사전신청필수) 초대의 말씀 안녕하십니까? 한국저옵과학회(KIS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그리고 스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iTIP 2021 "제39회 미래 정보 기술·산업 전망(iTIP 2021 : 2021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dustry Prospects)" 심포지움에 여러분을 초대합다다다 국내 정보과학 분야 대표 학회인 한국정보과학회에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여구원,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와 공동으로 다가오는 2022년을 준비하면서, 코로나19와 함게하는 사회에서의 ICT 기술의 역할과 기술반전 전망을 조명하고, 미래 사회의 변화를 예측함으로써 선제적·능동적인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하여 "뉴노멀시대, 디지털혁신과 공유"이라는 주제로 심포지움을 준비했습니다. 이번 심포지움에서는 김진형 인천재능대학교총장님의 기조강연과 5개의 세션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오전에는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인공지능 기술', '오픈사이언스 활용화를 위한 연구데이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등 2개의 세션이 준비되어 있고, 오후에는 'AI 신뢰성', 'AR/VR과 메타버스', '인공지능 중심도시 광주' 등 3개의 세션이 편성되어 있습니다. 5개 세션 모두 해당 분야의 최고 전문가 분들을 모시고 관련 분야의 현황과 앞으로 전개될 전망에 대한 강연으로 구성되어 잇습니다. 앞으로 전개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지능정보기술의 중요성과 향후 SW중심의 기술적·사회적 변화를 전망하고 보다 건강한 사뢰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한국정보과학회에서 여러분 iTIP 2021 심포지움에 초대합니다. 2021년 10월 대회 조성배 부회장(한국정보과학회), 최광남 본부장(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이윤근 소장(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임춘성 실장(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조직위원 김수형 교수(전남대), 서동민 센터장(KISTI), 민옥기 본부장(ETRI), 조원영 실장(SPRi) 프로그 10.14(목) 프로그램 09:00~16:00 등록 (온라인only) / 등록데스크 : 홀리데이인광주 3층 컨벤션홀1 09:30~10:30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인공지능 기술] 좌장: 김영실 실장(ETRI) 메타휴먼을 통한 사용자 경험의 진화와 그 응용 / 김성현 수석(솔트룩스) 인간처럼 소통하는 복합대화 기술 / 권오욱 책임연구원(ETRI) 범용지능을 위한 지식 표현 및 학습 기술 / 김강일 교수(GIST) 10:30~10:40 휴식 10:40~11:40 [오픈사이언스 활성화를 위한 연구데이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좌장: 서동민 센터장(KISTI) 오픈 사이언스와 오픈액세스: 현황과 과제 / 차미경 교수(이화여대) 연구데이터 개방·공유 활성화를 위한 국가연구데이터플랫폼(DataON) 소개 / 서동민 센터장(KISTI) 지오사이언스(지질자원) 데이터 허브: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 / 한종규 센터장(한국지질자원연구원) 11:40~13:00 중식 13:00~13:10 [개회식 및 축사] 사회: 조성배 교수(연세대) 환영사 : 나연묵 회장(한국정보과학회) 축사 : 이용섭 광주광역시시장 / 김재수 원장(KISTI) 13:10~14:10 [기조강연] 사회: 조성배 교수(연세대) AI 어깨 위에서 미래 세상을 보라 - AI시대 교육을 생각한다 / 김진형 총장(인천재능대) 14:10~14:20 휴식 14:20~15:20 [AI 신뢰성] 좌장: 임춘성 실장(SPRi) 인공지능의 신뢰제고를 위한 법제도 및 기술개발 동향 / 조원영 팀장(SPRi) AI 윤리의 전개방향과 핵심 원칙 및 과제 / 조장래 전무(MS) 설명가능 인공지능의 연구동향: 딥러닝 내부 분석 및 수정 기술 중심으로 / 최재식 교수(KAIST) 15:20~15:30 휴식 15:30~16:30 [AR/VR, 메타버스] 좌장: 조성배 교수(연세대) 메타버스 시대, 새로운 기회로의 초대 / 한상열 선임연구원(SPRi) 메타버스 연구동향 / 정형성 석좌교수(맨체스터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빌리버는 오픈소스로 메타버스를 만든다 / 양병석 대표(빌리버) 16:30~16:40 휴식 16:40~17:40 [인공지능 중심도시 광주] 좌장: 김수형 교수(전남대) 인공지능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방향 / 임차식 단장(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광주 국가AI센터 소개 / 김주환 이사(NHN) 광주 인공지능사관학교 소개 / 탁용석 원장(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10.15(금) 프로그램 10:00~11:00 광주 AI산업융합사업단 현장방문 11:00~12:00 인공지능 산학연 위크샵 12:00~14:00 iTIP 2022 추진워크샵 (한국정보과학회 회장단) ※ 프로그램은 상황에 다라 변경될 수 있음. 참가등록 등록기간 구분 등록기간 사전등록 ~ 10월 8일(금) 18시 까지 기간중등록 10월 14일(목) 9시~16시 참가비 구분 사전등록 기간중등록 회원 학생회원 100,000원 120,000원 정회원&종신회원 200,000원 240,000원 비회원 학생 150,000원 180,000원 일반 250,000원 300,000원 - 발표자료집과 기념품(기프티콘)이 제공됩니다. iTIP2021 참가등록 바로가기 행사문의 : 문은정 과장 ejmoon@kiise.or.kr, 02-588-4002, 등록문의 : 정가영 대리 gyjeong@kiise.or.kr 02-588-4001
  • 232021. 09
    No. 406 View. 41354

    「2021 온라인 메디컬 해커톤」 개최 공고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2021 온라인 메디컬 해커톤」 개요>     1) 공고제목 : 2021 온라인 메디컬 해커톤     2) 접수기간 : 2021. 9. 1.(수) ~ 9. 30.(목), 18:00까지     3) 모집분야 : 산업현장 안전ㆍ보건에 활용 가능한 신기술을 접목한 제품 및 서비스     4) 모집대상       - 메디컬 분야의 우수 아이디어를 보유하고 있는 창업 7년 이하 스타트업 및 예비창업자       - 메디컬 분야 창업에 관심있는 대학(원)생, 일반인, 의료인(의사, 의료 관련 종사자 등)     5) 시상규모   구 분 시상규모 시상금 훈 격 비 고 계 6팀 12,000만원 -   최우수상 1팀 500만원 울산광역시 시장   우수상 2팀 각 200만원 울산대학교 병원장 울산대학교병원 건강검진권 증정 장려상 3팀 각 100만원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센터장         7) 접수방법 : 이메일 접수(smh@ccei.kr)     8) 문 의 처 :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오픈이노베이션팀(052-222-9121/smh@ccei.kr) 2021 온라인 메디컬 해커톤 모집기간 2021.9.1.(수)~9.30.(목), 18:00까지 모집대상 메디컬 분야의 우수 아이디어를 보유하고있는 창업 7년 이하 스타트업 및 예비창업자 메디컬 분야 창업에 관심있는 대학(원)생, 일반인, 의료인 시상내역 최우수상 : 울산광역시시장상(1팀, 500만원) 우수상 : 울산대학교병원장상(2팀, 각 200만원) *건강검진권 증정 장려상 :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장상(3팀, 각 100만원) 진행과정 01. 예선(서류심사) / 10.7(목) 02. 온라인 오리엔테이션 / 10.13(수) 03. 온라인 멘토링 / 10.13(수)~11.5(금) 04. 최종 결선 / 11.17(수) 신청방법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담당자 이메일 접수 smg@ccei.kr 문의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052-222-9121 주최 : 울산광역시 주관 :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후원 : 울산대학교병원
  • 152021. 09
    No. 405 View. 37551

    국가 고성능 컴퓨팅 산업 실태조사 안내

    2021년 국가 고성능(HPC) 실태조사 안내 안녕하십니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국가초고성능컴퓨터 활용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15조 및 동법 시행령 제14조에 의거하여 아래와 같이 국가 고성능컴퓨팅(HPC)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본 실태조사를 통해 국가차원의 고성능컴퓨팅(HPC) 산업과 활용 현황을 파악하여 실효성 높은 정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HPC 관련 기관과 전문가들의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실태조사개요 조사대상고성능컴퓨터를 운영/활용 중이거나 관련 부품/시스템 등을 개발/제조/판매 중인 국내 정부기관, 공공기관, 연구소, 대학, 기업 등 조사기간2021년 8월 ~ 2021년 10월 주관기관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수행기관(주)한국갤럽조사연구소 조사내용국내 고성능컴퓨터 운영 및 활용 현황, 고성능컴퓨팅 HW/SW 산업 및 연구개발 현황 등 참여문의(주)한국갤럽조사연구소 민준기 선임연구원 Tel : 02-3702-1009 조사참여https://me2.kr/ug2p2 본 실태조사에 끝까지 참여한 경우 응담자에게 백화점 상품권 지급 예정 조사표에 기재된 내용은 통계법 제 33조에 따라 비밀이 보장되며, 통계작성 이외의 목적으로는 절대로 사용하지 않음 조사 참여 희망 시 하단 조사 참여 신청 클릭 또는 조사참여 URL을 부라우저에 삽입하여 참여 가능 조사 참여 신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Gallup
  • 092021. 09
    No. 404 View. 37306

    2021년 연구데이터‧AI 분석활용 경진대회 개최 안내(접수기간 연장)

    <2021 연구데이터-AI 분석활용 경진대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가 주최하고, KISTI가 주관하는 '2021 연구데이터-AI 분석활용 경진대회'를 소개합니다. 제 2회차로 진행되는 이번 경진대회는 1. 연구데이터, 2. 인공지능(AI)의 두 개 부문으로 진행됩니다. 대회 접수는 오는 9월 23일부터 9월 30일까지이며, 자세한 사항은 아래 경진대회 홈페이지로 방문하시어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경진대회 홈페이지 : http://www.dataon-con.kr/ ○ 접수기간 : 2021.09.23. - 2021.10.08. ○ 담당 사무국 : 042-224-7175, contest@dataon-con.kr
  • 062021. 09
    No. 403 View. 36509

    2021년 하반기 김해시 기술사업화 정보지원사업

    2021년 하반기 김해시 기술사업화 정보지원사업 지원 사업 내용 수요대응형 정보지원 신청주제관련 기술/특허 정보조사 정보조사 결과물 요약본 제공 특허전략 상담실 운영 기업 특허기술 애로사항 해소를 위한 특허전략 수립 상담 특허동향 심층분석 지원 해외시장 동향정보 해외 진출 및 신사업 추진 전략 확보 요청주제와 관련된 해외시장보고서 요약본 제공 번역지원 기술사업화를 위한 해외자료 번역 기업 홍보자료 현지어 번역 등 신청기간 및 대상 2021.09.06(월)~10.08(금) 김해지역 중소 중견기업 신청방법 첨부된 사업신청서 작성 후 아래 방법 중 선택하어 신청 이메일 접수 팩스 접수 우편 접수 지원 절차 과제신청 선정통보 결과제공 설문조사 박지민 연구원 전화 : 051-831-6417 팩스 : 051-831-0762 이메일 : pmj@kisti.re.kr 주소 : 부산시 해운대구 센텀동로 41(센텀벤처타운), 5층 501-A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부산울산경남지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김해의생명산업징흥
  • 062021. 09
    No. 402 View. 36117

    산학연 연계 벤처기술 사업화(연구장비 지원 및 기술상담) 추가 공고

    경상북도가 지원하고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주관하는 경상북도 소재 중소, 벤처기업의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위한 "2021년 연구장비 지원 및 기술상담(STEP 1)" 시행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본 공고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께서는 첨부 공고문 및 신청서식, 참고자료를 확인하시어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1년 산학연 연계 벤처기술 사업화 (연구장비 지원 및 기술상담) 추가 공고 경상북도가 지원하고 한국과학기술정보연원이 주관하는 경북소재 중소, 벤처기업의 연구개발 역량강화를 위한 [2021년 연구장비 지원 및 기술상담 (STEP 1)]시행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사업내용 사업규모 : 100백만원(20개사), 기업부담금은 지원금액의 10%이상(현금) 사업내용 : 기업의 연구개발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연구장비 활용 및 전문인력을 통한 기술상담에 필요한 비용 지원 신청안내 신청자격 : 경상북도 소재 창업 7년 이하 중소기업 또는 벤처기업(3년 평균 매출액 300억원 이하) 신청기간 : 20201. 09. 14(화) 18:00까지 접수처 : 이메일 접수 (daegu@kisti.re.kr) 제출서류 : 1. 신청서(참여확약 및 청렴이행서약서,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서 포함) 2. 연구장비 사용 견적서 3. 사업자등록증(필요시 공장등록증 등 경북 소재 기업임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추가제출) 4. 재무제표(최근 3년) 접수 및 문의 주관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대구경북지원 연락처 : 053-601-5205, 5206 상세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경상북도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