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총 게시글 571 RSS
  • 192020. 02
    No. 321 View. 2961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기획평가위원회」 위원 모집 공고(국가과학기술연구회)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기획평가위원회」위원 모집 공고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지원・육성하는 기관입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정관 제27조에 의거, 연구기관간의 기능 조정업무, 기관별 연구분야의 장기발전방향에 대한 자문 및 연구기관에 대한 평가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기획평가위원을 다음과 같이 공개모집하오니 역량 있는 전문가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1. 공모직위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기획평가위원회 위원   (임기: 위촉일로부터 제3기 기획평가위원회 잔여임기(2021.11.15.)까지, 비상근) ∘ 주요업무 : 소관연구기관 간의 기능조정 업무 및 소관연구기관에 대한 평가업무 지원,                        소관연구기관의 장기발전방향에 대한 자문 등 ※ 별도 보수는 미지급, 회의·자문 참여 시 소정의 수당 지급 2. 응모자격 ∘ 과학기술·산업·인력·재정분야 등에 관한 전문지식과 식견이 풍부한 전문가 ∘ 기관 경영혁신에 대한 경륜과 사회적 덕망이 있는 전문가 ∘ 국가과학기술정책 및 출연(연)의 관리 및 운영에 대한 식견이 풍부한 전문가 ∘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에 관한 경륜과 식견을 가진 전문가 ∘ 해당 분야 실무경력 20년 이상, 해당 분야 연구개발경력 15년 이상, 대학 정교수 이상, 해당 분야 기업의 본부장급 이상,    과학기술분야와 관련한 민간단체 활동 5년 이상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거나 상기와 동등한 수준의 경력을 가진 전문가 3. 제출서류 ∘ 응모원서 및 개인정보제공이용동의서 (별첨 참조) ∘ 이력서 1부     4. 응모기간 및 방법 ∘ 기간 : 2020.2.18.(화) ~ 2020.2.27.(목) 18시까지 ∘ 방법 : 전자우편 접수만 가능 ∘ 문의 및 관련 서류 접수처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평가사업부 기관평가팀 송혜리 (hrsong@nst.re.kr, 044-287-7479) 2020. 2. 18.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 172020. 02
    No. 320 View. 25680

    김해시 소재 중소기업 기술사업화 정보지원사업 모집 공고(상반기)(~03.13)

    KISTI에서 김해중소기업비즈니스센터와 함께 김해지역 중소/중견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요맞춤형 기술지원사업'을 수행하며, 아래와 같이 대상 기업을 모집합니다. 김해중소기업비지니스센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중소중견 상반기 기업 애로기술수요 맞춤형 지원을 위한 기술사업ㅎ솨 정보지원사업 김해중소기업비지니스센터와 함께 KISTI에서는 김해지역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요맞춤형 기술지원사업을 수행하오니 많은 신청 바랍니다. 신청기간 : ~ 2020.03.13.(금) 신청대상 : 김해시 소재 중소기업 신청방법 : 첨부된 사업시청서 작성 후 제출(이메일, 팩스, 우편접수) 진행절차 : 과제신청(2-3월), 과제심의(3월), 지원통보(3월), 정보 제공 및 상담(4-6월), 설문조사(7월) 지원내역 해외시장정보분석: 기술과제의 시장 규모 / 업체 등의 동향 분석 핵심원문제공 KISTI가 보유한 국내외 원문자료 제공 기술특허 정보조사 : 신청주제관련 기술 / 특허 정보조사 및 요약본 제공 특허전략상담실 : 기업 특허전략 수립 및 애로사항 해소 번역지원 : 기업의 기술사업화를 위한 해외자료 번역 문의사항 박민지 연구원 TEL)051.831.6417 pmj@kisti.re.kr, Fax)051.831.0762 부산시 해운대구 센텀중앙로 79, 센텀사이언스파크 4층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카카오톡플러스) KISTI 부산울산경남지원 ■ 사업 목적 : 기업의 기술개발 기획 단계부터 제품 생산에 이르기까지 전주기적 활동에 필요한 핵심·애로기술에 대해 선진 과학 기술정보 및 선행특허정보 동향을 조사·제공하여 중복 연구를 방지하고, R&D 투자 방향의 설정과 부가가치가 높은 첨단기술 개발을 유도 ​ ■ 지원 내역 1. 기술 및 특허 정보조사 : 전 세계 기술 및 특허 DB를 통한 신청주제 정보조사 및 요약복 제공(책자, 디지털 파일) 2. 특허정보동향조사 : 유사특허탐색, 핵심경쟁자 탐색 및 프로파일, 특허인용분석 등 3. 원문제공 : 해외기술원문 중 KISTI 보유 원문, 해외 시장 요약 제공 등 4. 번역지원 : 기업의 해외자료 국문화 및 기술사업화를 위한 번역지원 서비스 5. 정보 및 산업재산권 활용 교육 : 산업재산권 제도, 특허 정보 활용 교육 6. 기술개발 활동 심층상담(상담실) 및 기업 현장방문 애로상담 : 분야별 정보전문가, 자문변리사 등을 활용한 상담 ​ ■ 신청 방법 및 절차 ○ 신청 대상 : 김해시 소재 중소기업 ○ 신청 기간 : ~ 2020. 03. 13. (금) ○ 신청 방법 및 절차 : 첨부 '상세안내문' 파일 참고 ■ 문의 - KISTI 부울경지원 박민지 연구원 : 051-831-6417, pmj@kisti.re.kr
  • 032020. 02
    No. 319 View. 2916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신기술분야 연구실무인재 역량강화" 직무훈련생 모집(일정변경)(수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신기술분야 연구실무인재 역량강화" 직무훈련생 모집('20.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신기술분야 연구실무인재 역량강화" 직무훈련생을 모집하며, KISTI 과학데이터스쿨은 '과학기술 빅데이터분석가 양성과정'을 실시하여 본 과정 직무훈련생을 모집할 예정입니다.  이론교육 실무교육 R&D 체험 기업현장교육 신기술 분야 연구실무인재 역량강화 과학기술 출연(연)의 우수 인력과 인프라를 활용하여, 미취업 청년들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핵심인재로 양성 지원대상 밒 선발규모 미취업 학사학위 이상 취득자(만 34세 이하) 직무훈련 프로그램 이수 가능한 자 '20.2월 졸업예정자 포함 재학생/기 참여자 지원 불가 약 530명 신청기간 및 방법 2020.2.5(수)~3.1.(일) 홈페이지에서 출연(연)별,지역별 직무훈련 프로그램 확은 및 신청 training.net.re.kr 우편 및 방문접수 불가 향후일정 ·직무훈련생 합격자 통보(3월중) ·출연(연) 직무훈련 시작(4.1.) 문의 ·국가과학기술연구회 044-287-7079,training@nst.re.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TECH 한국생산기술연구원 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 KICT 한국건설연구원 KRRI한국철도기술연구원 KRISS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FRI 한국식품연구원 KIGAM 한국지질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KIMS 재료연구소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ERI 한국전기연구원 KRICT 한국화학연구원 KIT 안전성평가연구소 한구원자력연구원 o 훈련기간: 2020.4월~2020.9월 약 6개월 운영 o 지원대상: 미취업 학사학위 이상 취득자(만 34세 이하)           - KISTI에서는 '과학기술 빅데이터분석가 과정'을 운영하며, 대전 본원, 서울 분원에서 각각 진행 o 신청기간: 2020.2.5(수)~2020.3.10(화) o 일정:  - 서류전형 발표: 3.11(수)  - 면접일자: 대전본원 신청자 3.16(월), 서울분원 신청자 3.17(화)   o 상세일정 및 참가신청:  http://training.nst.re.kr/ o 문의: 국가과학기술연구회(044-287-7079, training@nst.re.kr)              과학데이터스쿨(02-3299-6119, kacademy@kisti.re.kr) 4차 인재양성 사업 과학기술 빅데이터 분석가 과정 2020.04 ~ 2020.09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우수한 연구인력과 인프라를 활용하여 미취업 청년들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신기술 분야 연구실무인재로의 역략강화를 위해 2020년도 4차인재양성사업 직무훈련생 모집합니다. 만 34세 이하 학사이상 미취업자 (졸업예정자)를 대상(청년고용촉진특별법 시행력 제2조)으로 하며 30~40개 직무훈련 프로그램과 각 과정별 20~30명 교육을 운영합니다. 패밀리 기업에 취업할 의사가 있는 인력을 선발해 정부출연 연구기관에서 집중 교육하고 수료 후 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취업연계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훈련기간 중 연수수당 지급 (최대 100만원/인당)합니다. 시행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총괄부처), 국가과학기술연구회(전담기관) 사업주체: 과학기술분야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데이터스쿨 02-3299-6119 kacademy@kisti.re.kr 바이오, 기상기후, 천문 등 과학기술 빅데이터 분석가 과정 공통교육 RnD 기초소양: 4차산업혁명과 미래사회, 중소기업 이해 및 융합, 창의성 ,문제해결 등 빅데이터 분석 과정 소개: 오리엔테이션, 4차산업과 미래인재 컴퓨터개론: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초 이론, 리눅스 활용 등 취업활동: 취업박람회 및 세미나 참과, 포트폴리오 작성 및 개인발표 기본교육 기술경영: 미래예측방법론과 기술로드맵, 특허법 통계교육: 기초 통계이론 및 엑셀, 과학기술인 통계실습 분석도구 교육: Python이론 및 실습, R 이론 및 실습, DB이론 및 실습 전문교육 딥러닝 케라스 슈퍼컴퓨터 재난재해 데이터 분석 생태환경 데이터 분석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기상기후 데이터 분석 교통 데이터 분석 단백체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및 Kaggle NGS 데이터 분석 천문 데이터 분석 실습교육 개인프로젝트: Kaggle 대회 참여 그룹프로젝트: 빅데이터 분석 팀과제(멘토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과학데이터스쿨
  • 312020. 01
    No. 318 View. 29246

    대전광역시 사회문제해결 아이디어 챌린지 공모전(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대전시 사회문제해결 아이디어 챌린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서는 해결이 필요한 대전지역 사회문제를 발굴하고, 발굴된 사회문제를 과학기술로 해결하기 위한 「대전시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챌린지 공모전」을 진행합니다. ■ 공모 요강 1. 공모명 : 대전시 사회문제발굴 아이디어 공모 2. 공모기간 : 2020.01.20(월) ~ 02.21(금) 3. 공모주제 : 과학기술로 해결할 수 있는 시급한 대전지역 사회문제 *발굴된 아이디어는 전문가 검증을 통해 R&D 과제로 추진 예정 4. 접수방법 : 대전픽 홈페이지(www.djpick.or.kr)로 이동 후 자유양식 업로드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내용을 참고 바랍니다. 대전시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챌린지 "우리 함께 대전의 사회문제를 과학기술로 해결해 나가요" 2020.1.20(월)~2.21(금) 공모주제 대전시 현안의 사회문제를 발굴하고 과학기술을 접목한 해결방법 제안 건강·환경·문화여가·생활안·전재난재해·에너지·주거교통·가족·교육·사회통합 등 분야 응모자격 대전시 사회문제엥 관심 있는 누구나 제출방법 공모전 홈페이지(대전픽-http://djpick.or.kr/)를 통하여 접수양식에 맞추어 작성하고 제출 시상내역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상장 및 시상금(온누리상품권) 수여 최우수 : 1명(50만원) 우수 : 2명(30만원) 장려 : 3명(10만원) 평가심사에 따라 입상 작품 수 및 시상금은 변동될 수 있음 접수내용이 검증된 응모자 300명에게는 시상 후 커피쿠폰 지급예정 문의처 공모전 사무국 (주)윕스 김진하연국원 Tel. 042-862-6016, E-mail, ver95@wips.co.kr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http://djpick.or.kr/)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QR코드 대전광역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대던역구개발특구본부 WIPS
  • 102020. 01
    No. 317 View. 55663

    20년 상반기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 5년차 성과평가 공개 성과발표회(기초과학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 성과발표회 개최 홍보>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세계 최고 수준의 기초과학연구를 수행하고 우수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기초과학연구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오는 1월 29일과 2월 4일, 2월 19일에 기초과학 분야 3개 연구단의 성과를 발표하는 공개 성과 발표회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KISTI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상호발전과 우호협력을 위하여, 많은 참여와 관심 바랍니다. ■ 공개 성과 발표회 일정    1) 분자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연구단장: 조민행)        가) 분야: 화학        나) 일시 및 장소: 2020년 1월 29일(수) 10:30~12:40, 서울 고려대학교 R&D센터 119호    2)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연구단장: 명경재)        가) 분야: 생명과학        나) 일시 및 장소: 2020년 2월 4일(화) 10:30~12:45, 울산 UNIST 103동 113호    3) 복잡계 이론물리 연구단(연구단장: Sergej FLACH)       가) 분야: 물리       나) 일시 및 장소: 2020년 2월 19일(수) 10:30~14:20, 대전 IBS 본원 B336호   ■ 자세한 내용 붙임(안내문) 참고 
  • 082020. 01
    No. 316 View. 58297

    2020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최희윤 원장 신년사

    2020년도 신년사 전문 2020년 새로운 10년을 여는 경자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KISTI 가족 여러분 모두 행복이 가득한 한 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한 해를 맞는 설렘과 함께 새로운 항해를 시작하는 긴장감을 갖고 이 자리에 섰습니다. 사랑하는 KISTI 가족 여러분! 지난 한 해 동안 고생 많으셨습니다. 저희가 함께 한 2019년은 이제 KISTI의 역사가 되었습니다. 여러분 한분 한분의 노고가 있어, 많은 연구 사업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가 창출되었습니다. 2019년은 KISTI의 다양한 노력이 새로운 영역으로 확대되어 국내외로 뻗어나간 원년으로 기억될 것입니다. 먼저, 연구데이터의 공유․활용 체제를 위한 실질적 행보가 현실로 이루어졌습니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 연구데이터 내용이 삽입되었고 2019년 9월 본격 시행되었습니다. 연구관리기관과 출연연구기관의 연구데이터관리 계획이 시행정책으로 도입되기 시작했고, 국가 차원의 연구데이터플랫폼 서비스도 12월 16일 공식 오픈하였습니다. 명실공히 법률-정책-인프라가 연계되어 본격 시행되는 계기가 마련된 원년이 되었습니다. 오픈사이언스 시대의 핵심인 연계 융합의 콘텐츠큐레이션 체계, 국가 OA리포지토리 구축 등 건강한 연구개발 생태계로 나아가는데 KISTI의 역할과 기대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를 확산시키는데 있을 여러 어려운 과정도 함께 풀어 나간다면 연구자 중심의 새로운 연구문화로 정착될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R&D에 필요한 모든 지식자원과 인프라를 하나로 모아 이어주는 연계․융합 정보서비스, ScienceON도 걸음을 내딛었습니다. 개인 맞춤형 지능형 서비스, 선제적 서비스 등 다양한 원스톱 서비스로 연구개발 전 주기를 지원하며, 올해는 NDSL을 통합하여 그 기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NTIS 5.0의 추진과 함께 NTIS도 검색 지능화와 분석 강화 및 기업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가 R&D 효율성 제고에 힘쓰고 있습니다. 올해부터는 연구데이터플랫폼과 연계하여 그 활용 확산을 더욱 촉진할 예정입니다. 데이터 기반의 문제해결도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인천, 대전시 등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지역데이터를 수집하고, 국민생활안전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을 개발해서 적용하고 있습니다. 침수예측과 교통문제, 미세먼지 등 국가와 지자체의 주요 현안에 대한 의사결정이 우리의 데이터 기반 모델을 통해 실행되고 확산될 것입니다.    서비스를 개시한지 이제 1년이 갓 넘은 슈퍼컴5호기 누리온은 지난 1년간 180만 건 이상의 계산 작업을 처리하는 등 누리온 운영의 안정성은 세계 주요 슈퍼컴퓨팅센터들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누리온 활용 측면에서도 KISTI 펠로우, 슈퍼컴퓨팅 활용 자문단 등 커뮤니티와의 긴밀한 협력관계 속에서 초거대 계산과학 문제 발굴 및 기술지원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우수한 연구 결과들을 Nature, Cell 등 탑 저널에 발표하는 등 눈부신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앞으로도 누리온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많은 연구자가 슈퍼컴의 혜택을 고루 누리며, 세계적인 성과를 낼 수 있게 되길 기대합니다. 연구망에서는 출연연 간 대형 연구장비 인프라의 경계를 허물고 ScienceDMZ 연계를 통해 자원 공동활용 구축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국제적으로도 KISTI가 구축한 한국과 미국을 잇는 빅데이터 전용고속도로는 국내 연구진이 참여한 2019년 과학분야 세계 최고 성과 중 하나인 블랙홀 이미지 영상 확보에 기여하였습니다. 연구망 사이버보안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을 보안관제·침해대응 분야에 적용한 ‘AI 자동화 플랫폼’기술이 유관기관들로 기술이전 되어 국가사이버 안전 표준 플랫폼으로서 확고히 자리매김 하였습니다. 또한 대용량 데이터센터 구축·운영 경험과 기술력을 인정받아 국립암센터, 서울대와 함께 아시아 유일의 암유전체 데이터센터를 공동 유치하게 되었습니다. 본 사업을 통해 KISTI의 역량이 우리나라 정밀의료의 연구 수준과 빅데이터 기술력을 한 단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R&D투자 분석 부문에도 국제적 성과가 도출되었습니다. 기술, 인력, 제도, 정책을 종합 지원하는 패키지형 연구개발 투자 플랫폼 R&D PIE가 OECD가 발표한 한국 공공부문 대표혁신 10선에 선정된 것입니다. R&D PIE는 2020년 연구투자 전략 수립 시에도 16개 부처 192개 사업의 예산 배분에 활용된 바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의 과학·기술·산업 분석체제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오랜 시간 축적된 분석과 예측역량을 확산시켜 `미래기술 예측 외에도 국가R&D분석, 산업분석 및 사업화전략, 사회 이슈로 다변화하여 사회적 파급도와 인지도를 높여 나가고 있습니다. 지역조직도 지역특화 빅데이터센터로 발전해 나가고 있습니다. 부울경 지원을 중심으로 지역 특화산업 기반의 지능화 빅데이터 협업센터를 구축하고, 부산지역 현안인 도시재난안전 문제, 울산 산업단지의 고질적인 유해 화학가스 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을 개발, 제공하였습니다. 앞으로도 각 지역별로 산재한 현안을 발굴하여 데이터 기반으로 해결시켜 나갈 방안을 찾겠습니다. 경영부분에 있어서도 여러 어려움이 있었으나, 그만큼 기쁜 소식들이 어느 해 보다 많았던 한 해였습니다. 먼저 여러 부서들간 헌신적인 노력과 협력, 따뜻한 응원으로 255억 규모의 연구회 융합연구사업 주관기관에 저희 연구원이 처음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또 R&R 및 포트폴리오 우수기관으로 선정되어 기관 예산이 증대되는 등 KISTI의 저력을 보여준 자랑스러운 한 해였습니다. 여러 차례 수상의 영예도 안았습니다.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장상과 대한민국봉사대상을 수상하였으며, 고객감동경영대상 및 연구회 우수성과 기관표창을 수상할 예정입니다. 다양한 연구성과에 대한 언론홍보 강화는 연구원 위상 제고에도 큰 힘이 되었습니다. 모두 직원 여러분들의 노력과 헌신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제도적 측면에 있어서도 체감할 수 있는 변화들이 있었습니다. 부서평가제도 개선, 계약절차 및 일상감사 간소화 등 연구에 지장이 되는 걸림돌들을 걷어내고자 노력했습니다. 산학연 고객 및 직원들과 함께 저희가 가는 길에 대한 고민과 의미있는 성과들을 나누고자 ‘KISTI 과학기술정보 포럼과 ‘KISTI Data Day’도 첫발을 내디뎠습니다. 그 동안 직원들이 염원했던 기숙사 완공과 함께 KISTI 동산, 다목적 체육시설 등이 올해 새롭게 선보이게 됩니다. 건강하고 행복한 KISTI 환경을 위해 애써주신 관련 부서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올해 기관 경영은 지난 2년간 추진해 온 함께 하는‘가감승제 경영’을 더욱 확산시켜 나가고자 합니다. 혁신을 위한 새로운 발걸음인, 더하는 ‘가’경영에 있어서는 끊임없이 새로운 도전을 이어나갈 예정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융합연구사업 등 대형 사업에 대한 도전을 통해 우리가 함께 하면 해 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러한 경험과 자신감을 바탕으로 올해에도 광주AI집적단지사업, K-DNA 사업 참여 등 새로운 발걸음을 내딛을 것입니다. 여기에는 늘 저를 비롯한 경영진이 함께 할 것입니다. 언제나 문은 열려 있습니다. 함께 고민하고 함께 움직이겠습니다. 낡은 관행을 혁신하는‘감’경영의 핵심인 업무 간소화는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입니다.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과 제도를 마련하고, 그 과정에서 걸림돌은 직원 여러분들과 힘을 모아 걷어 나갈 것입니다.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낡은 규제와 관성을 내려놓고 늘 새로움을 마주할 준비를 해 주시길 바랍니다. 곱하는 ‘승(乘)’ 경영’은 KISTI 가족 여러분의 역량을 배가시키는 데 초점을 맞춰 추진하겠습니다. 공정채용의 룰 아래에서 우수한 인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인재풀 확충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각 사업 분야의 우수 이용자들이 KISTI의 미래 핵심 인적자원으로 연계 될 수 있도록 협력하는 일도 좋은 대안이 될 것입니다. 과학데이터스쿨의 심화되고 확장된 교육과정을 여러분들에게 제공하고자 합니다. 우리 동료들이 보유하고 있는 전문역량을 함께 나누며 우리 모두가 발전해 나가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끝으로, 나누는 ‘제(除)’ 경영을 통해 동료와 함께 지식과 성과를 나누는 문화를 만들겠습니다. 얼마전‘KISTI Data Day’에서 우리는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하였습니다. 미처 몰랐던 동료들의 뛰어난 성과를 함께 나누는 소중한 자리가 되었습니다. 다양한 행사들에 고객 중심의 의미를 부여하고 효율화하여 KISTI의 가치를 제대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직원들이 가진 전문역량과 성과들을 발굴하고 지식나눔을 장려함으로써 자긍심을 느낄 수 있는 문화도 더욱 확산시켜 나갈 것입니다. 존경하는, KISTI 가족 여러분! 저는 취임한 이후, 우리만의 경쟁력을 발전시키자는 강점혁명을 제안하고 또 강조해 왔습니다. 국내 및 글로벌 연구협력을 위해 저는 취임 이후 국내외 곳곳을 다니며 수많은 산학연관 고객과 연구자들을 만났습니다. 현장에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소통하여 연구 패러다임이 얼마나 변화되었는지 그리고 달라진 연구환경 하에서 우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과 그래서 더욱 고민해야 함을 절감하였습니다. 과학기술정보 및 인프라 서비스 영역도 공공과 민간의 역할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우리의 고유영역으로 여겨졌던 과학기술정보도 슈퍼컴퓨터도 국내에서 우리가 유일하게 구축하던 시대에서, 필요에 따라 타 기관도 구축, 보유하는 시대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민간 IT 인프라 기업에 적정한 비용만 지불하면 슈퍼컴퓨팅 계산 자원이 서비스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연구자와 기업의 데이터 분석 역량도 ICT기술 및 분석도구의 발전에 힘입어 비약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의 강점 혁명은, 외부의 고객이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우리만의 경쟁력을 어디에 두고 발전시켜 나갈 것인지 끊임없이 고민하는데서 출발해야 합니다. 특히 올해는 3년의 연구성과를 마무리하는 것과 동시에 앞으로의 3년, 6년, 10년을 설계하는 청사진을 마련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데이터가 중심이 되는 AI시대, 기존 서비스의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고객을 확장하고 이를 통해 대형 성과를 창출함과 동시에, 우리가 해야 하는 연구, 고객이 가장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설계하여 미래 성장을 위한 대응력을 강화해야 하는 도전적 과제들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기관의 역할은, 우리의 R&R에 따라 과학기술 정보·데이터를 수집, 표준화하고(Collection R&D)‘, 슈퍼컴퓨터를 통해 국가적/과학적/산업적 난제를 해결하고(Computing R&D),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산학연정 의사결정을 지원하고(Analysis R&D), 협업·융합 연구환경을 구축하는(Collaboration R&D) 바로 산학연 공동체와 함께 하는 선순환의 연계 융합 입니다. 기관의 존재 이유인 기본 역할에 충실하면서 대내외 환경을 반영하여 산학연 고객들에게 ‘KISTI 연결인프라’로 대체불가한 융합의 가치를 제공하는 KISTI로 나아가야 합니다. 이것이 강점혁명의 핵심이자 시대적 요구일 것입니다. 부산에서 시작되는 개방형데이터융합연구사업의 성공적인 출범, 국가연구데이터 공유체제 활성화, 학술정보안전센터와 NTIS 5.0의 본격적인 추진, 누리온의 활용도를 더욱 높이고, 엑사스케일 시대의 슈퍼컴 6호기의 구축방향 설계, KREONET 기반 양자암호통신망 구축, R&D PIE, KMAPS 등 지능형 분석플랫폼이 산학연정 의사결정에 효과적으로 활용되도록 고도화하는 작업, 지역수요 기반 산학연 협업체제 활성화 등은 특히 우리가 올해 함께 고민하고 추진해야 할 일들입니다. 사랑하는 KISTI가족 여러분! 지난 해 우리는 동심만리의 마음으로 쉼 없이 달렸습니다. 올해도 우리는 목표로 했던 성과를 달성하는데 한 마음 한 뜻으로 협력해 나아가야 합니다. 이런 의미로 같은 배를 타고 함께 어려움을 헤치며 강을 건너자, 함께 힘을 모아 목표를 이루자는 뜻의 동주공제(同舟共濟)를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우리는 그동안 많은 것을 함께 이루어왔습니다. 우리에게는 과학기술지식인프라 60여년의 역사를 함께 만들어 온 든든한 선후배동료, 그리고 산학연 공동체가 있습니다. 여러분의 뜻을 모아 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처음처럼 정성을 다하겠습니다. 함께 손을 맞잡고 2020년 새해 새날 희망의 강을 건너는 여정을 기쁘게 시작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새해, 소망하시는 일 모두 이루시고 가정에도 늘 건강과 행복이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20. 1. 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원장 최희윤
  • 082020. 01
    No. 315 View. 58360

    2020년 소방청 소방안전기술개발 R&D 사업설명회

        INVITATION 2020 소방청 소방안전기술개발 R&D 사업설명회 일시 : 2020.1.22(수) 14:00 ~ 16:30 장소 :더케이호텔 서울 가야금 B홀 모시는글 소방청에서는 소방안전 R&D 예산의 투자방향과 관련 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양한 정보도 공유하고자 기업, 대학, 출연연구기관 등 각계의 연구자와 전문가들을 모시고 2020년 소방청 소방안전기술개발 사업설명회를 개최합니다. 바쁘시더라도 참석해주셔서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2020년 1월 프로그램 주요 상담 프로그램 별 담당기관, 주요 상담지원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간 소요 내용 13:30~14:00 30분 참석자 등록 및 책자배부 14:00~14:05 5분 국민의례 14:05~14:10 5분 개회사 14:15~14:35 20분 우수성성과 발표 1(15분발표, 5분 질의응답) 14:35~14:55 20분 우수성성과 발표 2(15분발표, 5분 질의응답) 14:55~15:10 15분 Coffee Break 15:10~15:50 40분 '20년 소방청 소관 R&D사업설명(7개 사업) ·현장중심형 소방활동지원 기술개발 ·국민안전감시 및 대응무인항공기 융합시스템 구축 및 운용 ·국민위해인자에 대응한 기체분자 식별분석기술개발 ·소방대응력 향상을 위한 연구개발지원 ·재난현장 긴급대응 기술개발사업 ·실감기반 첨단소방훈련체계 구축연구 ·ESS·수소시설 화재 안전기술 연구개발 15:50~16:20 30분 질의응답 16:20~16:30 10분 페회사 문의 국립소방연구원 대응기술연구실 R&D사업팀 전용태 Tel. 041-599-0565 오시는길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12길70 전철: 3호선 양재역(하차 후 셔틀버스 이용) 신분당선 양재시민의 숲역(하차 후 도보로 약 10분 소요) 주최 : 소방청 주관 : 국립소방연구원, 소방안전기술개발사업단 사업관리기관 : 소반안전기술개발사업단, 한국사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연구재단,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소방청에서 소방안 R&D 예산의 투자방향과 관련 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양한 정보도 공유하고자               기업 , 대학, 출연연구기관 등 각계의 연구자와 전문가들을 모시고「2019년 소방청 소방안전기술개발 R&D 사업설명회」를 개최합니다. 가. 행 사 명: 2020년 소방청 소방안전기술개발 R&D 사업설명회 나. 일 시: 2020. 1. 22.(수) 14:00 ~ 16:30 다. 장 소: 더케이호텔서울 가야금B홀 라. 요청사항: 홈페이지 팝업창 또는 공지사항 등록, 관련 연구기관 및 업체 메일 발송 등
  • 172019. 12
    No. 314 View. 66167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초빙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초빙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국가과학기술을 선도하는 창조적 원천기술을 연구․개발하고 그 성과를 확산함을 목적으로 1966년에 설립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입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우수 연구성과 창출을 위한 전문성과 기관 경영혁신 리더십을 갖춘 최고경영자를 아래와 같이 모시고자 합니다. □ 공모직위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임기: 3년) □ 응모자격 ∘ 해당 분야 연구개발에 관한 전문경력, 탁월한 연구실적, 전공 등을 보유한 사람 ∘ 해당 연구기관의 경영혁신에 대한 정책을 제시하고 적극 추진할 역량을 보유한 사람 ∘ 경영혁신 및 조직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식견을 갖춘 사람 ∘ 연구개발 및 기관경영에 대한 국제감각을 가지고 미래지향적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사람 ∘ 국가공무원법 제33조(결격사유) 각 호의 1에 해당되지 않는 사람 □ 제출서류 ∘ 이력서 1부 ∘ 주요업적 및 경력소개서(A4 5매 이내) 1부 ∘ 당해 연구기관의 경영혁신 및 운영방안에 대한 소견서(A4 5매 이내) 1부 ∘ 연구실적 등 현황 1부 ∘ 개인정보제공동의서 1부 ∘ 최종학력증명서 및 경력(재직)증명서(주요경력) 각 1부 □ 응모방법 ∘ 방문제출 또는 등기우편 접수(등기우편 제출 시 담당자에 사전연락) □ 제출기한 ∘ 2020년 1월 6일(월) 17시까지 제출서류 도착분에 한함 □ 접수 및 문의처 ∘ (우 30147)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연구지원동(A동) 6층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제도기획팀 임원 선임 담당자 앞 (Tel. 044-287-7438) □ 기타 ∘ 제출서류 서식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홈페이지(http://www.nst.re.kr)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홈페이지(http://www.kist.re.kr)에서 다운로드 바랍니다. ∘ 제출서류 기재 착오 및 누락 또는 허위기재, 구비서류 미제출, 제출서류가 허위·위조 ·대필임이 판명될 경우, 이에 대한 책임은 지원자 본인에게 있으며, 임용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 제출된 모든 서류는 심사자료로만 활용되고, 제출된 사항은 필요시 관계기관에 사실여부를 확인 할 수 있으며, 모든 지원자는 조회에 필요한 개인정보제공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 서류의 반환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합니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정관상 원장은 그 직무 외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업무와 정당가입이 금지됩니다. ∘ 원장은 취임 후「공직자 윤리법」및「공직자 등의 병역사항 신고 및 공개에 관한 법률」등 관계법령에서 정하는 해당사항에 대하여 재산등록, 주식백지신탁, 병역사항신고 등의 의무가 있습니다. ∘ 원장은 취임 후 2개월내에 성과지표와 지표별 목표를 포함한 기관의 경영목표를 연구회에 제출해야 합니다. ∘ 상기내용은 추진과정 상 변동될 수 있습니다. 2019. 12. 16.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 172019. 12
    No. 313 View. 65797

    한국기계연구원(KIMM) 원장 초빙

    한국기계연구원(KIMM) 원장 초빙 󰋮 한국기계연구원(KIMM)은 기계분야의 연구개발, 성과확산, 신뢰성평가 등을 통해 국가 및 산업계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1976년에 설립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입니다 한국기계연구원의 우수 연구성과 창출을 위한 전문성과 기관 경영혁신 리더십을 갖춘 최고경영자를 아래와 같이 모시고자 합니다. □ 공모직위 ∘ 한국기계연구원 원장 (임기: 3년) □ 응모자격 ∘ 해당 분야 연구개발에 관한 전문경력, 탁월한 연구실적, 전공 등을 보유한 사람 ∘ 해당 연구기관의 경영혁신에 대한 정책을 제시하고 적극 추진할 역량을 보유한 사람 ∘ 경영혁신 및 조직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식견을 갖춘 사람 ∘ 연구개발 및 기관경영에 대한 국제감각을 가지고 미래지향적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사람 ∘ 국가공무원법 제33조(결격사유) 각 호의 1에 해당되지 않는 사람 □ 제출서류 ∘ 이력서 1부 ∘ 주요업적 및 경력소개서(A4 5매 이내) 1부 ∘ 당해 연구기관의 경영혁신 및 운영방안에 대한 소견서(A4 5매 이내) 1부 ∘ 연구실적 등 현황 1부 ∘ 개인정보제공동의서 1부 ∘ 최종학력증명서 및 경력(재직)증명서(주요경력) 각 1부 □ 응모방법 ∘ 방문제출 또는 등기우편 접수(등기우편 제출 시 담당자에 사전연락) □ 제출기한 ∘ 2020년 1월 6일(월) 17시까지 제출서류 도착분에 한함 □ 접수 및 문의처 ∘ (우 30147)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연구지원동(A동) 6층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제도기획팀 임원 선임 담당자 앞 (Tel. 044-287-7438) □ 기타 ∘ 제출서류 서식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홈페이지(http://www.nst.re.kr)와 한국기계연구원 홈페이지(http://www.kimm.re.kr)에서 다운로드 바랍니다. ∘ 제출서류 기재 착오 및 누락 또는 허위기재, 구비서류 미제출, 제출서류가 허위·위조 ·대필임이 판명될 경우, 이에 대한 책임은 지원자 본인에게 있으며, 임용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 제출된 모든 서류는 심사자료로만 활용되고, 제출된 사항은 필요시 관계기관에 사실여부를 확인 할 수 있으며, 모든 지원자는 조회에 필요한 개인정보제공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 한국기계연구원 정관상 원장은 그 직무 외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업무와 정당가입이 금지됩니다. ∘ 원장은 취임 후「공직자 윤리법」및「공직자 등의 병역사항 신고 및 공개에 관한 법률」등 관계법령에서 정하는 해당사항에 대하여 재산등록, 주식백지신탁, 병역사항신고 등의 의무가 있습니다. ∘ 원장은 취임 후 2개월내에 성과지표와 지표별 목표를 포함한 기관의 경영목표를 연구회에 제출해야 합니다. ∘ 상기내용은 추진과정 상 변동될 수 있습니다. 2019. 12. 16.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 132019. 12
    No. 312 View. 61744

    개인정보 제공 알림 및 고객만족도 조사 실시 안내

    제목: 개인 정보 제공 알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아래와 같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는 매년 시행하고 있으며, 고객만족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공공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함으로써 국민편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고객만족도 조사 실시를 위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의거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 아 래 > ■ 법적근거: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제2항제2호, 「공공기관운영에관한법률」 제13조제2항, 동법시행령 제17조제3항 ■ 제공목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 ■ 제공대상: ㈜리서치랩 ■ 제공내역: 수혜 서비스명(사업명), 고객 이름, 소속기관/부서, 직급/직책, 연락처, 주소 ■ 활용시기: 2019년도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완료시까지 ■ 파기방법: 조사 종료 후 연구책임자 감독 하에 디지털정보, 인쇄물 일괄 파기 제목 :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실시 안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아래와 같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는 매년 시행하고 있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고객만족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공공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함으로써 국민편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본 조사는 면접원이 직접 방문을 통해 조사가 이루어집니다.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고객님께 면접 약속을 잡기 위한 전화를 드릴 수 있다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조사대상: 2018년 9월부터 현재까지 우리기관의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 중 일부 ■  조사방법: 1대1 면접조사(면접원 방문조사)-방문전 사전 전화안내 실시 ■  조사기간: 2019년 12월 ~ 2019년 2월 ■  주간사업자: ㈜리서치랩 ■  조사회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객만족도 조사 공동실사단 본 조사는 2007년 4월 1일 시행된「공공기관운영에관한법률」제 13조 2항 및 동법시행령에 의거하여 실시하고 있고 개인의 비밀에 속하는 사항은 엄격히 보호되며, 고객만족도 조사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을 것을 엄숙히 약속드립니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