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중견기업 혁신 국제컨퍼런스 행사 개최(한국산업기술진흥원)
MME 글로벌 밸류체인, 중견기업의 위기와 기회 2019 중견기업 혁신 국제 컨퍼런스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ddle Market Enterprises Innovation 2019 2019.11.21(목) 10:00~18:30 - 롯데호텔 서울(소공동) 2019년 중견기업 혁신 국제 컨퍼런스는, 중견기업의 소재 부품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혁신 성장 인프라를 마련하기 위한 자리로 컨퍼런스 및 국내-해외 기업 간의 기업상담회 등이 마련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컨퍼런스 이 표는 2019년 중견기업 혁신 국제 컨퍼런스의 시간, 프로그램, 장소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간 프로그램 장소 09:00~10:00 등록 및 네트워킹 로비, 2F 10:00~11:10 개회식 및 기조강연 크리스탈 볼룸, 2F [기조강연] 글로벌 가치 사슬의 시대 속 한국의 산업 전환 로베르타 라벨로티 - 이탈리아 파비아대학교 및 덴마크 올보르대학교 교수 11:10~13:00 스케일업 세션 [발표 1] 글로벌 가치사슬 재편과 국내 소재·부품 중견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방향 장지상 - 산업연구원 원장 [발표 2] 글로벌 밸류체인 진입을 위한 해외 기술협력 및 진출 활성화(독일 소재·부품기업 R&D 사례 중심) 토마토 그리스 - 독일 RWTH 아헨공과대학교 교수 / 섬유기술연구소 소장 [발표 3] 글로벌 밸류체인의 미래와 소재·부품 중견기업의 해외 경쟁력 강화 황철주 - 주성엔지니어링(주) 대표이사 [발표 4] 글로벌 밸류체인 확보를 위한 중견기업의 M&A 전략 및 성공 사례 최재혁 - 파트너원인베스트먼트(주) 대표이사 대담회 (연사 5인 대담 및 자유질의·응답) 13:00~14:00 오찬 14:00~17:40 1. 기업상담회(14:00~17:40) 에메랄드 룸, 2F 2. 중견기업 심포지움(14:30~17:40) 크리스탈 볼룸 III, 2F 17:40~18:30 네트워킹 리셉션 로비, 2F ※상기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선착순으로 등록이 마감되므로, 조기 등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컨퍼런스 사전등록 ~11월 7일(목)까지 기업상담회 참가 해외기업 ※ 해외기업은 지속적으로 추가 예정 Brain Beat : 바이오, 의료기기/ 비침습형(무채혈)포도당 측정기 개발/ 러시아 CML CompMechLab : IT, 소프트웨어/ CAD 및 CAE를 이용한 미래형 공장시스템 엔지니어링 및 응용 개발/ 러시아 LLC StimulGroup : 화학, 소재/ 폴리머 첨가제 및 신소재 개발/ 러시아 MAROMA Technologies : 소재, 부품/ 첨단 서멧(도성합급)소재 및 부품공급, 도재-금속합금(Tic-Me)생산/ 러시아 zyfra : 산업용사물인터넷(IIOT)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데이터 분석을 통한 프로세스 최적화 및 솔루션 제공/ 러시아 autofleet : 스마트 모빌리티/ 지속가능 서비스로 차량(VaaS) 계층 구현/ 이스라엘 security : 스마트 모빌리티/ CAV 구현을 위한 차량 내 사이버보안 전문기술 보유/ 이스라엘 irp systems : 스마트 모빌리티/ 토크-속도의 트레이드 오프를 줄이고 최적 효율성과 주행거리 제공/ 이스라엘 NEWSIGHT IMAGING : 스마트 모빌리티/ "CMOS 레이저 Lidar 이미지 센서소자" 전문업체/ 이스라엘 PREMO Innovatingg in Magnetics : 전기, 전자/ 수신용 안테나, 전자기유도기, 모션추적센서 변압기 등 개발/ 스페인 ※ 기업상담회에 등록하시면 참가 해외기업과 1:1 미팅이 가능하오니 많은 참여 바라며 참가 해외기업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참여방법 : 기업상담회 사전등록 후 1:! 미팅 신청) 기업상담회 등록 & 미팅 신청 ~11월 5일(화)까지2019 헬스케어 이노베이션 포럼 개최(조선비즈, 한국보건산업진흥원)
HEALTHCARE INNOVATION FORUM 2019 HIF HEALTHCARE INNOVATION FORUM 2019 바이오테크놀로지 진화와 패러다임 전환 다니엘 크래프트 Daniel Kraft : 싱귤레리티대학 의과대학 학장 제니퍼 브록던 Jennifer Brogdon : 노바티스 중앙연구소 총괄 글로벌 혁신치료제 "면역항암제" 개발과 전망 손지웅: LG화학 생명과학사업부 부사장 디지털 전환이 신약 개발에 미치는 영향 피터 호크스 Peter Hawkes: 존슨앤존슨 아시아퍼시픽 신사업개발 총괄 아시아 지역 기술개발 현황 및 신기술 동향 이규성: 삼성서울병원 스마트헬스케어 연구소장 의료 현장에서 만나는 스마트헬스케어 혁신 2019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 2019년 11월 14일(목) 웨스틴 조선호텔 그랜트볼룸 healthcare.chosunbiz.com 주최 :ChosunBiz , KKIDI한국보건산업진흥원 QR코드 조선비즈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2019년 11월 14일(목) 웨스틴조선호텔에서 ‘2019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을 개최합니다. ‘바이오테크놀로지 진화와 패러다임 전환’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포럼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기술들이 어떻게 디지털헬스와 스마트헬스 등 헬스케어 산업의 발전을 이끄는지 살펴볼 예정입니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혁신적인 기술들과 치료제들의 기술현황과 전망, 정부 정책과 인프라에 대해 논의하는 본 포럼은 많은 헬스케어 종사자들에게 새로운 지식을 배우고 전문가들과 네트워킹 할 수 있는 소중한 자리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행 사 명 : 2019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 (7회 헬스케어이노베이션 포럼) ● 주 제 : 바이오테크놀로지 진화와 패러다임 전환 ● 일 시 : 2019년 11월 14일(목) 08:30~17:30 ● 장 소 :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 그랜드볼룸 ● 주 최 : 조선비즈,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신기술분야 연구실무인재 역량강화" 직무훈련생 모집('19.8~)(모집기간연장)
이론교육-실무교육-R&D 체험-기업현장교육 신기술 분야 연구실무인재 역량강화 과학기술 출연(연)의 우수 인력과 인프라를 활용하여, 미취업 청년들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핵심인재로 양성 출연(연) 4차인재 양성과정(6개월) 2019년 10월 - 2020년 9월 지원대상 및 선발규모 미취업 학사학위 이상 취득자(만 34세 이하) 직무훈련 프로그램 이수 가능한 자 ※'19. 8월 졸업예정자 포함 약 250명 향후일정 직무훈련생 합격자 통보(9월 중) 출연(연) 직무훈련 운영 (10.1.) 신청기간 및 방법 2019.8.7.(수)~2019.9.1(일) 홈페이지에서 출연(연)별, 지역별 직무훈련 프로그램 확인 및 신청 ▶ training.nst.re.kr ※우편 및 방문접수 불가 문의 국과과학기술연구회 044-287-7079, training@nst.re.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녹색기술센터,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국가핵융합연구소,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가보안기술연구소,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신품연구원, 세계김치연구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재료연구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 한국원자력연구원 o 훈련기간: 2019.10월~2020.3월(하반기) 약 6개월 운영 o 지원대상: 미취업 학사학위 이상 취득자(만 34세 이하) - KISTI는 '과학기술 빅데이터분석가 과정' 운영예정 o 신청기간: 2019.8.7(수)~2019.9.8(일)(연장됨) o 합격발표일 : 2019.9.25.(수) *2지망 심사결과를 포함한 최종 합격자 통보 및 훈련참여시작 안내 o 상세일정 및 참가신청: http://training.nst.re.kr/ o 문의: 국가과학기술연구회(044-287-7079, training@nst.re.kr) KISTI과학데이터스쿨(02-3299-6208, edutech@kisti.re.kr)제 9회 국제과학관심포지엄(International Symposium of Science Museums 2019) 개최
International Symposium of Science Museums 2019 국립중앙과학관에서는 2011년부터 국내 과학관, 과학문화 관련 최대 심포지엄인 '국제 과학관심포지엄'을 매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올해 제 9회 국제과학관심포지엄은 11월 7일(목)부터 8일(금)까지 2일간 개최될 예정입니다. 본 행사 공식홈페이지( www.issm.or.kr ) 오픈 가. 행 사 명 : 제9회 국제과학관심포지엄 (International Symposium of Science Museums 2019) 나. 개최기간 : 2019.11.07.(목) ~ 08.(금), 2일간 다. 개최장소 : 국립중앙과학관 라. 참석대상 : 과학관 종사자 및 관련 산·학·연 전문가 ISSM 2019 I-KOREA 4.0 제9회 국제과학관심포지엄 International Symposium of Science Museums 2019 행사명: 제9회 국제과학관심포지엄 International Symposium of Science Museums 2019 일시: 2019.11.07(목) - 08(금) 장소: (34143)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481(구성동 32-2) 국립중앙과학관 주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국립중앙과학관 후원: 국립과천과학관,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 한국과학창의재단, 대전마케팅공사, 아시아태평양과학관협회(ASPAC) 과학문화의 플랫폼 Science Museums as a Platform of Culture 2019.11.7-8 국립중앙과학관(대전) QR 코드 : ISSM2019 국제과학관심포지엄 International Symposium of Science Museums(ISSM) 2011년부터 국립중앙과학관에서 매년 개최하고 있습니다. 국제과학관심포지엄은 매년 과학관의 핵심 이슈를 발굴하고, 전국 과학관이 모여 함께 해결책을 모색해보는 자리이며 세계 과학관 전문가들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자리입니다. 국제과학관심포지엄 목표 핵심이슈를 도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과학관과 과학센터의 핵심이슈를 도출 문화토론을 촉진: 과학, 기술, 인문, 사회과학, 예술, 문화연구 부문에서의 학제간 토론을 촉진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과학관, 과학센터에 기여하는 사람들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 국제과학관심포지엄에서 나눈 이야기 제1회, 2011년: 과학관과 창의력 제2회, 2012년: 과학과 창의의 새로운 지평 제3회, 2013년: 우리가 바라는 미래의 과학관 제4회, 2014년: 과학, 대중에게 말을 걸다 제5회, 2015년: 상상력과 창의력 기반 과학문화 확산 제6회, 2016년: 과학관의 사회적 책무 제7회, 2017년: 과학관에서 예술을 읽다 제8회, 2018년: 새로운 시대, 새로운 과학관 제9회, 2019년: 과학문화의 플랫폼 국립중앙과학관 참여와 소통으로 과학기술을 탐구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국립중앙과학관 국립중앙과학관은 1990년에 현재의 위치인 대덕연구단지로 이전하였습니다. 이공학, 산업기술, 과학기술사 및 자연에 관한 자료의 수집, 보존, 연구, 전시 및 교육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국가 중심 과학관으로 약 5만평 부지에 (실내면적 49,862m², 전시면적 16,740m²) 상설전시관, 특별전시관, 사이언스홀, 첨단과학관, 과학캠프관, 천체관, 우주체험관, 생물탐구관 등 다양한 전시관과 우주과학공원, 워터사이언스파크, 역사의 광장, 가족캠핑장 등 다양한 과학문화 시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립중앙과학관은 160만점이 넘는 소장품을 소유하고, 74개의 주제 아래 731 전시물을 전시하고 있으며 전시관별로 다양한 주제의 상설 전시와 기획전시, 맞춤형 안내서비스,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청소년과 가족들이 창의력과 상상력을 일깨울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QR코드 제9회 국제과학관심포지엄 2019년, 제9회 국제과학관심포지엄에서는 과학의 대중화를 이야기하던 것을 넘어, 모두가 즐기는 문화로서 과학, 그리고 문화플랫폼으로서 과학관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일정안내 학술대회 논문제출 마감: 2019.09.01(일) ~ 10.08(화) 사전서면심사: 10월 중순 사전등록 마감: 2019.10.31(목) *사전등록자에게는 중식과 기념품이 제공됩니다. *www.issm.or.kr에서 참가자 등록 바랍니다. 현장등록: 2019.11.07(목)~08(금) 프로그램 11.7(목) 1. 기조강연: Guy Labine 발표주제:The role of leadership development in our science museums 장소: 국립중앙과학관 사이언스홀 2.워크샵 세션1 : Pecier Paul Carpena Decierdo 세션2 : Jenny Grace Jopson 3. 학술대회 제9회 국제과학관심포지엄 학술대회 구두발표, 포스터 발표 제9회 국제과학관심포지엄 학술대회 글로벌세션(*동시통역 진행) 4. 국립중앙과학관 큐레이터와 함께 하는 과학관의 구석구석 여행, 숨어 있는 이야기 5. 자연사관에서 함께하는 환영만찬 1.8(금) 1. 초청강연 세션1: Tapio Juhani Koivu, May M. Pagsinohi, Luis Azevedo Rodrigues, Tomonori Hayakawa 세션2: Ryan Jefferies, Scott Paul Mckenzie-Cook, Jenny Grace Jopson 세션3: Myung-Hyun Rhee, llona Anna llowiecka-Tanska, Daniel Hul Siang Loy, Camilla Tara Rossi-Linnemann * 시간과 장소는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2. 제9회 국제과학관심포지엄 학술대회 시상식 및 폐회식 제9회 국제과학관심포지엄 사무국 : E.mail: issmkorea@gmail.com / Homepage: www.issm.or.kr / Kakao플러스친구 : "ISSM2019" 검색 / Facebook 페이지 : "ISSM2019" 검색 기조연사 Guy Labine 사이언스노스(Science North) 센터 CEO, 과학기술센터협회(ASTC)이사장 Guy Labine은 2011년 5월에 사이언스노스의 CEO에 취임했으며 2011년에 사업개발부장으로 출발하여 현재까지 재작하고 있다. Guy Labine은 사이언스노스에서 센터의 해외 매출 신장과 컨설팅사업 개발을 지속적으로 선도했고 센터의 기금 모금 및 연구지원 관리를 담당하기도 했다. 그는 사이언스노스 산하 지구과학관인 다이나믹 어스 (Dynamic Earth)의 성공적인 기금 모금에 큰 역할을 수행한 바 있다. Guy Labine은 2009년 11월에 최고운영책임자(Coo)에 임명되어 사이언스노스의 수익사업, 마케팅, 고객관리, 재무, IT 기술서비스, 사업관리를 총괄했다. Guy Labine은 서드베리 시지역 개발공사(Sudbury Regional Development Corporation)에서 부장으로 재직했으며 현재 전 세계 600개 이상의 과학관 및 박물관이 회원으로 있는 과학기술센터협회(ASTC)의 이사장이다. Guy Labine으 2014-2016년까지 캐나다 과학관협회(CASC)회장이었으며 서드베리 푸드뱅크, 로렌티안 대학(Laurentian university), 그리고 SNOLAB의 이사이기도 했다. 초청연사 Ryan Jefferies 사이언스 갤러리(Science Gallery Melboume)의 프로그램 총괄실장 Ryan Jefferies박사는 멜버른 사이언스 갤러리의 프로그램 총괄실장으로 학제적 활동, 과학 체험, 실험적 큐레이션을 열정적으로 주장한다. 그는 빅토리아 박물관과 멜버른 대학 박물관에서 큐레이터 및 과학홍보(science communication)담당으로 재직했고 해리브룩스알렌 해부병리 박물관(Harry Brookes Allen Museum of Anatomy and Pathology)의 큐레이터이기도 했다. Ryan Jeffeies는 멜버른 사이언스 갤러리 최초의 전시전인 '피와 완벽성(BLOOD and PERFECTION)' 등 다양한 학제적 예술 및 과학 전시, 기타 시민 프로그램들을 큐레이션한 바 있다. Ilona Anna Ilowiecka-Tanska 코페르니쿠스 과학관(Copernicus Science Center) 연구개발실 실장 Ilona Anna Ilowiecka-Tanska박사는 폴란드 바르샤바의 코페르니쿠스 과학관에서 연구개발실 연구실장을 맡고있다. 그녀는 혁신적 아동교육 솔루션을 시험제작 및 개발하기 위한 과학교육 분야의 학제적 연구개발센터인 코페르니쿠스 혁신 랩(Coperinican Revolution Lab)의 연구계획서를 작성했고, 교육학 분야의 최신 지식을 융합하여 STEM 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한 격년제 국제 학술대회인 "러닝 어드밴처(Learning Adventures)"를 최초로 구상했으며 이를 총괄하고 있다. Jenny Grace Jopson 프란시스 크리크 연구소(Francis Crick Institue) 홍보과장(이벤트 프로그램 담당 ) Jenny Grace는 영국 런던의 프란시스 크리크 연구소에서 홍보과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그녀는 방문객과 크리크의 과학정보 및 과학자들을 연결시켜주는 토론회, 오픈랩, 워크숍, 영화 상영회, 페스티벌 등 활발한 대중 이벤트 프로그램을 관리 감독하고 있다. Jenny Grace는 영국 웰컴 트러스트(Wellcom Trust)의 무료 박물관인 웰컴 컬렉션(Wellcome Collection)에서 이벤트 기획을 담당했다. 그녀는 또한 런던과 뉴욕에서 성인들을 위해 과학과 예술, 음악, 놀이를 결합한 맞춤형 공연을 기획사는 게릴라 사이언스(Guerilla Science)의 공동 설립자이다. May M. Pagsinohi 필리핀 과학기술재단(Philippine Foundation for Science and Techonology) 상임이사 May M. Pagsinohi는 현재 필리핀 국내 과학기술 장려를 위해 정부를 지원하는 비상장 비영리 재단으로 필리핀 사이언스센트럼(PSC)과 같은 대표적인 과학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필리핀 과학기술재단의 상임이사를 맡고있다. May M. Pagsinohi는 STEM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설계를 위해 기술적 전문성을 발휘하여 과학 증진에 기여한 공로로 필리핀 과학기술부로부터 수상한 바 있다. 그녀는 평화를 위한 미다나오 과학제작소(Science Works for Peace in Mindanao)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과학기술센터협회(ASTC)가 수여하는 로이셰이퍼 최고상(Roy Shafer Leading EdgeAward)을 수상했다. Tapio Juhani Koivu 허우레카 핀란드 과학센터(Heureka, the Finnish Science Centre) CEO Tapio Koivu는 핀란드 반타(Vantaa)에 위치한 헤우레카 핀란드 과학 센터의 현 CEO이다. 그는 2015년 8월에 부임했으며, 유럽과학관협회 ECSITE의 재무담당 이사이기도 하다. 현재 노르딕 시뮬레이터즈(Nordic Simulators Oy)라는 스타트업의 이사이며, 이전에도 다수의 스타트업 업체들의 이사로 재직했을 뿐만 아니라 스타트업 펀드(SeedCapⅡ)의 투자위원회 회장을 역임한 바 있고, 핀란드 국가기술연구센터(VT-T)의 전무로서 지적재산권의 상용화의 스타트업 창업도 총괄했다. Daniel Hul SlangLoy 퍼포스 말레이시아(PurposSE Malaysia) 혁신역량개발실 부실장 Daniel Loy박사는 잠재성과 성장성이 높은 창업보육을 목적으로 사회적기업 생태계에 중점을 둔 스타트업인 퍼포스 말레이시아의 혁신역량개발실 부실장이다. 혁신업계에 정통한 Daniel Loy박사는 페트로사인스(Petrosains) 과학관의 혁신부서를 총괄했고 말레이시아 혁신청(National Innovation Agencey)의 사회혁신 부본부장을 맡기도 했다. 혁신분야의 주요 업적으로는 말레이시아 최초의 정부민간 사회적 파트너십펀드(Social Public Private Partnership Fund)의 출범을 꼽을 수 있다. 2014년에는 아시아태평양과학관협회(ASPAC) 부회장으로, 2017-2019년 회기에는 운영위의 위원으로 임명된 바 있다. Luis Azevedo Rodrigues 라고스시엔시아비바 사이언스 센터(Lagos Ciencia Viva Science Centre) 상임이사 Luis Azevedo Rodrigues는 리스본 자연사박물관에서 8년간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유럽, 미국, 아르헨티나, 중국 등 전 세계의 15개소 이상의 자연사박물관의 공통 컬렉션을 연구했다. 현재의 주요 관심사와 활동분야는 과학 홍보, 비정규 교육(informal education), 지리관광(geotrouism), 지질 문화유산(geoheritage), 등이다. 지구과학홍보저널(Geoscience Communication journal)에서는 편집자를, 32개국에서의 진화론 보급을 목표로하는 유럽 과학기술협력 연구재단 COST의 유로사이티즌(EuroScitizen)프로젝트에서는 비정규 교육담당 부대표를 맡고 있다. Camilla Tara Rossi-Linnemann 레오나르도 다빈치 국립 과학기술 박물관(National Museum of Science and Technology Leonardo da Vinci) 개발-홍보부 해외파트너십 코디네이터 이탈리아의 레오나르도 다빈치 국립 과학기술 박물관 개발부에서 해외파트너십 코디네이터를 맡고있다. 그녀는 발물관 교육부 소속의 EU프로젝트 매니저를 맡은 바 있으며 샌프란시스코 과학관(Exploratourium)과 런던 과학관(Science Museum)의 객원교수를 겸임하기도 했다. 물리학과 예술사를 전공한 그녀는 관객 및 파트너 개발에 특별히 관심이 많으며 현대 과학의 홍보와 보급(science communication)에서의 예술의 역할에 대해 저술한 바 있다. Scott Paul Mackenzie-Cook 영국 사이언스 박물관(Science Museum, London)문화행사 과장 Scott Mackenzie-Cook은 런던에서 과학박물관에서 문화 행사 관리자이다. 그는 다수의 대중 프로그램 및 이벤트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는데, 여기에는 성인을 위한 'Lates, high profile'행사, 가족들을 위한 행사들, 밤샘파티와 가족 축제를 포함한다. 그는 또한 자폐적 스펙트럼 혹은 시각장애인 또는 부분적으로 볼 수 있는 필요를 가진 청중들을 위한 프로그래밍을 감독하고 있다. Scott은 2004년부터 영국과학박물관에 재직하고 있으며, 박물관에서 디자인, 학습, 부국장실에서 근무했다. Tomonori Hayakawa 일본과학미래관 학습 및 협력개발부 사원 Tomonori Hayakawa는 일본 과학미래관 미라이칸에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훈련을 담당하고 있다. 그는 교토대학교 천문학괄르 졸업한 후 뉴욕주의 버팔로 주립대학에서 발물관학 자격을 획득했다. 지난 4년간 200명으로 구성된 미라이킨의 자우너봉사조직을 운영해 오고 있다. 과학 워크숍을 진행하며 축척한 다양한 분야의 경험을 기반으로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서 "연구자라 대중과 소통하는 법"과 같은 박물관 교육 과목을 강의했다. Tomonori Hayakawa는 2020년 5월에 전게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될 세계시민토론회 "인터넷의 미래"의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이명현 과학책방 갈다 CEO 이명현 박사는 네덜란드 호로닝언 대학교에서 천문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과학저술가로 활동 중이며 METI Internaitonal Advisory Council에서 활동하고 있다. 과학책방 GALDAR의 CEO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이명현의 별 헤는 밤' 등이 있다. Pecier Paul Carpena Decierdo 마인드 박물관(Mind Museum)과학교육총괄 담당 Pecier Paul Carpena Decierdo는 필리핀 마닐라 인근 타기그 시(Taguig City) 마인드 박물관 마이드 무버(과학교육총괄담당)이다. 과학교육담당으로서 그는 박물관 관람객을 위한 교육과정과 기타 활동을 설계하고 그 운영과 지원을 총괄한다. 박물관 전시물의 컨텐츠를 작성하고 디자인을 도와 박물관 전시팀 소속 직원들을 지원하기도 한다. 과학홍보 담당자인 페시에르 데시에르도는 물리학, 천문학, 우주과학 및 환경과학 분야의 전문가이기도 하다. 과학문화의 플랫폼 (Science Museums as a Platform of Culture) ISSM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