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총 게시글 571 RSS
  • 182023. 07
    No. 511 View. 5124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알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 제공일자 : 2023. 7. 17. ○ 제공받는 기관 : 국민권익위원회 ○ 법적 근거 : 「개인정보보호법」제18조제2항제2호,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제12조제6호, 제27조의2, 제29조 ○ 제공받는 기관의 개인정보 이용목적 : 공공기관의 종합청렴도 평가를 위한 민원인, 직원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 ○ 제공하는 개인정보 항목 : 기술이전 및 기업지원, 계약 및 관리(구매, 용역, 공사) 민원인 및 소속 직원의 성명, 전화번호, 이메일 ○ 개인정보 보유기간 : 2023년도 종합청렴도 조사 완료 시까지 ○ 개인정보 파기 절차 및 파기 방법 : 조사 완료 후 국민권익위원회 및 조사위탁업체 시스템 내 정보 일체에 대해 복구 불가능한 방식으로 일괄 영구 파기
  • 282023. 06
    No. 510 View. 52297

    2023 대한민국발명특허대전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에서 개최하는 '2023 대한민국발명특허대전'을 안내드립니다. <2023 대한민국발명특허대전>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에서는 우수 발명과 신기술을 발굴, 시상하고 우수특허 제품의 판로개척 및 우수특허 기술의 사업화 촉진을 위하여 2023 대한민국발명특허대전을 아래와 같이 개최합니다. ○ 대회명칭 : 2023 대한민국발명특허대전(Korea INvention Patent EXhibition 2023) ○ 신청방법 : 한국발명진흥회 홈페이지( www.kipa.org)를 통한 온라인 접수 ○ 신청기간 : 2023. 6. 26.(월) ~ 7. 27.(목) 18:00 ※기한 내 온라인 접수분에 한함 ○ 협조사항 : 기관 홈페이지 공지, 배너 게재와 함께 유관기관, 지역 내 기업 및 회원사 등에 안내(홍보메일 발송 등) Korea Invention Patent Exhibition 2023 대한민국발명특허대전 명칭 2023 대한민국발명특허대전(KINPEX 2023) 장소 코엑스 3층 Hall C 기간 2023. 11 .1(수) ~ 11.4(토) 접수안내 기간 : 2023. 6. 26.(월) ~ 7. 27.(목) 18시 방법 : 한국발명진흥회 사이트(www.kipa.org) 대상 : 내국인으로서 특허, 실용신안을 출원 또는 등록한 권리자 1명 당 발명품 3점 이내 문의처 한국발명진흥회 발명진흥실 02-3459-2794, 2845, 2792 E-mail : 519@kipa.org 수상자 특전사항 발명의 날 기념식 발명유공 포상 신청 시 가점(단, 수상 내역 별 차등 배점) 우수특허기반 혁신제품 지정 사업, 사업화연계 지식재산 평가지원 사업 신청 시 가점 부여 우수발명품 우수구매추천사업 신청 시 은상(특허청장상)이상 수상작 가점 부여 (단, 제품이 양산된 경우에 한함)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 222023. 06
    No. 509 View. 50593

    2023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사업 안내

    <2023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사업 안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랜섬웨어 등 사이버 침해로부터 중소기업을 보호하고,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여 보안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ICT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원 내용 1. 정보보호 컨설팅 및 보안솔루션 2. 클라우드 기반 보안 서비스(SECaaS)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risc.kisa.or.kr)를 통해 안내받으실 수 있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정보보호산업과 김도은 주무관(044-202-6454)으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2023년 랜섬웨어 대응/예방을 위한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 수요기업 모집 '랜섬웨어 감염'을 통함 기업의 '정보자산 손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중소기업 정보보호 지원을 통해 '지켜'드립니다. 1. 모집대항 :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 따른 중소기업 中랜섬웨어 피해기업, 스마트 공장, 스마트 조선·항만, 스마트 헬스케어, 웹호스팅, SW 개발 및 공급업, 기타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업종 2. 신청기간 : 2023.6.26. ~ 2023.8.18. (8주간, 예산 소진시 조기 종료)※ 신청기간 내 신청을 완료하였더라도 예산 소진 및 지역별 지원 대상 마감될 경우 지원 제외될 수 있음 3. 신청방법 : 온라인(https://risc.kisa.or.kr) 4. 지원내용 : 컨설팅/보완솔루션 - 랜섬웨어 대응/예방 정보보호 컨설팅 및 보안설루션 지원(최대 1,040만원) SECaaS - 랜섬웨어 대응/예방 클라우드 기반 보안서비스 지원 (최대 500만원)※ 정부지원 : 민간부담 = 9:1 (부가가치세 별도, 민간 부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인터넷진흥원
  • 202023. 06
    No. 508 View. 49319

    퀀텀코리아(Quantum-Korea) 2023 행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퀀텀코리아 2023 개최 안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우리나라가 반도체, ICT 강국에 이어 양자 혁명의 리더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나가고자 국내외 관련 석학 및 정부대표, 유수기업 등이 참여하여 글로벌 양자생태계 혁신 흐름을 조망하는 '퀀텀코리아2023'을 개최합니다.   ○ 행 사 명: 퀀텀코리아 2023   ○ 행사기간: 2023.6.26.(월) ~ 29.(목), 4일간   ○ 주 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퀀텀코리아2023 조직위원회   ○ 행사내용: 개막식, 국제컨퍼런스(노벨상 수상자 기조강연 등) , 국제연구산업전시회, 대중강연, 토크콘서트, 문화행사 등   ○ 기타사항: 퀀텀코리아2023 홈페이지(Quantum-korea.kr) 참조 QUANTUM KOREA INVITATION QUANTUM KOREA 2023 퀀텀 코리아 2023 미래를 향한 퀀텀 대도약 Quantum Jump into the Future 2023.6.26.(Mon) ~ 6.29.(Thu) Dongdaemun Design plaza(DDP), Art Hall 개막식 Opening Ceremony 6.26(MON) 13:00~13:35 노벨상 수상자 강연 Nobel Iaureate 2022 6.26(MON) 13:50~14:50 국제 컨퍼런스 Conference 6.26(MON) 13:50~19:30 6.28(WED) 08:30~20:00 6.29(THU) 09:00~17:30 국제연구산업전시회 Exhibition 6.26(MON) 13:00~18:00 6.28(WED) 10:00~18:00 6.29(THU) 10:00~17:00 www.quantu-korea.kr QUANTUM KOREA 미래를 향한 퀀텀 대도약 Quantum Jump into the Future 오시는길 : [04566] 서울시 중구 을지로 281 / 281, Eulji-ro, Jung-gu, Seoul, 04566, Republic of Korea 퀀텀 코리아 2023은 무료 행사입니다. You can Enter 'Quantum KOREA 2023' free of charge. ※ 본 행사는 식사 및 주차를 별도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we do not provide parking vouchers and meal coupons. www.quantu-korea.kr
  • 202023. 06
    No. 507 View. 46839

    대전 과학 해설사 양성과정 제1기 교육생 모집 안내(대전관광공사)

    <대전 과학 해설사 양성과정 교육생 모집 안내(대전관광공사)> 대전관광공사는 지역과학문화 역량강화 사업인 '대전 과학해설사 양성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〇 교 육 명: 대전 과학 해설사 양성 프로그램 〇 교육기간: 2023. 7월 시행 / 20시간 집체 교육 〇 신청기간: 2023. 6.12(월) ~ 6.25(일) 〇 신청링크: https://moaform.com/q/Ar3tvZ 〇 교 육 비: 무료(중식제공) 〇 교육해택: 대전 과학현장 탐방 프로그램 해설사 참여 기회 〇 참가자격: 대전 해설가 , 고경력 은퇴 과학자, 이공계 대학(원)생, 과학동호회, 경력단절여성 등 대전 대덕연구단지 및 과학해설사 관심 희망자 모집 DAEJEON SCIENCE COMMENTATEOR TRAINGING PROGRAMS 대전 과학해설사 양성과정 제1기 교육생모집 모집신청하기 대상 : 과학관해설사, 고경력은퇴과학자, 이공계 대학(원)생, 과학 동호회 회원, 이공계 경력단절 여성 등 과학해설사로서 과학문화 분야 취업 희망자(30명) 일시 : 2023년 7월 8일 / 7월 15일 / 7월 22일 (토요일 3일 종일 교육) 형식 : 오프라인 집체 교육 + 실습(팀 프로젝트) + 대전사이언스투어 사전탐방(총20시수) 장소 : IBS 과학문화센터3F 신청 : 2023년 6월 12일부터 6월 25일까지(온라인 접수) 선정 : 2023년 6월 30일 금요일(주요경력 + 참여동기 + 활동계획 기재 사항 평가) [대전 과학해설사 양성 교육]은 왜 필요한가요? 대덕연구단지 50주년을 맞아 정부 출연(연) 릴레이 주말 시민 개방, 과학테마 관광,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대전사이언스투어 등 과학 도시 시민참여 활동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과학 도시 지역의 차별화된 과학소통 활동을 점담하는 과하거해설사가 필요합니다. 대전광역시, 대전관광공사, 과학문화 전문기확사 사이콘, 기초과학연구
  • 142023. 06
    No. 506 View. 51653

    2023 ICT 표준 챌린지 공모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 ICT 표준 챌린지 공모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ICT 표준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대국민 인식 제고를 위하여 「2023 ICT 표준 챌린지 공모전」을 아래와 같이 개최합니다.   ○ 공모명 : 2023 ICT 표준 챌린지 공모전 ○ 공모분야 및 대상 : '활용사례 분야'는 만 19세 미만 초·중·고등학생 대상, '아이디어 분야'는 만 19세 이상 대학(원)생 및 일반인 대상 ○ 시상내역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2점 등 ○ 접수기간 : '23.6.12.~9.15. 18:00 2023 ICT 표준 챌린지 공모전 ~2023.9.15(금) 까지 ICT 표준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대국민 인식제고를 위하여 「2023 ICT 표준 챌린지 공모전」을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ICT 표준 IDEA 우리 아이디어 내고 상금타자!!! 좋아! 우리 팀을 만들어서 같이 도전해보자! 참가자격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개인 및 3인 이내 팀) 공모주제 활용사례 분야 : ICT 표준을 통한 편리함 삶 제고 대상 : 만 19세 미만 초·중·고등학생 형식 : 영상, 포스터, 카드뉴스, 그림 등 생활 속 ICT 표준을 통한 편익 증진 사례, 표준 부재로 불편한 사례 등 아이디어 분야 : 우리 생활에 필요햔 ICT 표준에 대한 기획 대상 : 만 19세 이상 대학(원)생 및 일반인 대상 형식 : A4 5매 내외의 기획서 생활 속 ICT 全 분야(인공지능, 5G, 사물인터넷, 스마트홈, 스마트자동차, 드론, 소프트웨어 등) 신규 표준화 아이디어 제안 시상내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성 2점 등 총 1,100만원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을 구분하여 훈격 및 상금 설명 시상구분 구분 훈격 상금 최우수상 분야별 1점(총 2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200만원(총 400만원) 우수상 분야별 2점(총 4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상 100만원(총 400만원) 장려상 분야별 3점(총 6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회장상 50만원(총 300만원) 제출방법 접수방법 : 이메일 접수 contest@tta.or.kr 제출서류 : 응모신청서 1부, 작품/기획서 1편 ※ 2개 이상의 작품을 응모하는 경우 작품별로 별도 접수 진행 ※ 세부내용은 공고문 참조 일정 접수기간 : ~2023.9.15(금) 18:00까지 발표일자 : 2023.10.13(금) 예정 발표방법 : TTA 홈페이지 게시 및 개별 메일 발송 문의처 TTA 표준진흥단 김영우 선임 010-5112-0262 / contest@tta.or.kr ※ 접수방법, 작품규격, 유의사항 등 자세한 내용은 공고문 참조 주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주관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132023. 06
    No. 505 View. 50025

    제5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 (부산광역시)

    제5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 06월 30일(금) - 07월 02일(일)부산 BEXCO 제 1전시장 및 컨벤션홀 공식행사 개막식 폐막식 전시행사 홍보관 상품관 시민체험존 상담관 부대행사 토크쇼 및 포럼 문화·소셜 관광 프로그램 참여 이벤트 학술행사·정책설명회 BUSAN 사회적 경제 IS GOOD 부산광역시 등이 주최하는 '제 5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는 'Busan 사회적경제 is good’ 이라는 슬로건으로 진행되며, 사회적가치 창출과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을 목표로 사회적경제 분야의 참가자들이 모여 경험을 공유하고, 네트워킹을 통해 협력 기회를 찾는 장을 마련했습니다. 사회적경제와 관련된 300개 부스의 전시행사와 토크쇼를 비롯한 시민 참여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부대행사를 통해 사회적 경제에 대한 역할과 미래 전망 등을 확인하세요! 무료로 진행되는 사회적 경제박람회에 사전등록을 통해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사전등록 바로가기: https://event-us.kr/socialeconomyfair/event/63870 ·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www.socialeconomyfair.kr/ ○ 일시 : 06월 30일(금) - 07월 02일(일) / 3일간 ○ 장소 : 부산 BEXCO 제 1전시장 및 컨벤션홀 ○ 비용 : 무료 * 자세한 내용 홈페이지 참고 ○ 주최 : 부산광역시, 한국사회적경제연대회의,전국협동조합협의회, 한국협동조합협의회,             한국마을기업중앙회, 한국사회적기업중앙협의회, 한국자활기업협회,              임팩트얼라이언스, 한국사회적농업협회 ○ 주관 : 부산지역추진위원회,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 후원 : 기획재정부,고용노동부,농림축산식품부,보건복지부,중소벤처기업부
  • 012023. 06
    No. 504 View. 50263

    2023 DATA·AI 분석 경진대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는 데이터와 AI 기반으로 과학·사회적 문제를 해결하여 국내 연구데이터 및 AI 생태계 저변을 확대하기 위하여 'DATA·AI 분석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 행사명 : 데이터·AI 분석 경진대회 ○ 주최/주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NST, 대전광역시, 국회도서관, KISTI ○ 유형 : 1. 과학기술 문제형, 2. 사회현안 문제형 ○ 참가자격 : DATA·AI 분석 활용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 행사일정 : 2023. 5. 30 ~ 10. 27. / 시상식 11월 30일 예정 ○ 홈페이지 : https://aida.kisti.re.kr/ dataon / 인공지능 데이터 서비스 2023 DATA·AI 분석 경진대회 DATA·AI 기반의 과학·사회적 문제 해결 및 DNA 저변 확대 세부부문 과학기술 문제형 : 연구데이터를 활용한 과학기술 현안 문제 해결 사회현안 문제형 : 인공지능 데이터를 활용한 지역 및 사회 현안 문제 해결 참가자격 DATA·AI 분석활용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과학기술·시회현안 문제발굴 세부내용 : 다양한 과학사회적 문제를 발굴하고 관련 데이터를 공개하여 다양한 연구자의 해결 참여 유도 접수방법 : 경진대회 홈페이지 https://aida.kisti.re.kr/competition 접수기간 : 5.30(화)~6.30(금) 상세일정5.30(화)~10.27(금) 대회공고 5.30(화)~7.28(금) 문제발굴 문제접수 5.30(화)~6.30(금) 채택문제 공개 7.7(금) 문제해결 참가신청 7.10(월)~7.28(금) 대회설명 워크숍 7.13(목) 문제해결 서류평가 결과발표 8.4(금) 문제해결 개발진행 8.7(월)~10.20(금) 문제해결 워크숍 8.10(목) 문제해결 결과제출 10.20(금) 문제해결 발표평가 10.26(목) ~ 27(금) 시상식 11.30(목) 시상내역총 상금 3,500만원 총 23개팀 선발 문제발굴, 문제해결 별 수상자 및 상금내역 설명 부문 구분 수상자(팀) 상금 내역 문제발굴 - 과학기술 : 5명 / 사회현안 : 5명 KISTI 원장상 (각 상금 100만원) 문제해결 대상 통합1팀 국회의장상(상금 500만원) 최우수상 과학기술 : 1팀 / 사회현안 : 1팀 과기부 장관상 (각 상금 300만원) 우수상 과학기술 : 2팀 / 사회현안 : 2팀 연구회 이사장상, 대전광역시장상 (각 상금 200만원) 장려상 과학기술 : 3팀 / 사회현안 : 3팀 KISTI 원장상, 국회도서장관상 (각 상금 100만원) 문의처 과학기술 문제형 E-mail : contenst@dataon-con.kr 사회현안 문제형 E-mail : aidatacon@gmail.com 주최/주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대전광역시, 국회도서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후원 : (사)한국콘텐츠학회
  • 302023. 05
    No. 503 View. 47690

    KRnet 2023 개최 안내

    [행사 바로가기] https://krnet.or.kr/ [사전등록 바로가기] https://krnet.or.kr/registration KRent 2023 - Program Human Internet and Sustainable Future KRnet 2023 - Program 첫째날 (6월 26일, 월요일) 첫째날 (6월 26일, 월요일) 발표장소 하모니I 하모니II 하모니III 비바체 알레그로 Track [Track A] Big Data, Computing and Blockchain [Track B] 5G/6G [Track C] AI [Track D] Digital Transformation Trends and Technologies [Track E] Tutorial I 09:00-10:50 [Session A1] Big Data and Hyperscale AI 좌장: 나성욱 팀장/NIA [Session B1] 5G/6G System & Network Architecture 좌장: 신명기 책임/ETRI [Session C1] AI, The Future 1 좌장: 김중헌 교수/고려대 [Session D1] Infrastructure Digital Twins 좌장: 이정구 소장/제이아이엔시스템 [Session E1] Tutorials for Strategic Technologies 좌장: 이재훈 교수/동국대 [A1-1] 데이터 플랫폼 기술과 표준 김진철 교수/세종대 [B1-1] Network Architecture for AI/ML 신명기 책임/ETRI [C1-1] 그래프 신경망 개요 및 응용 기술 신원용 교수/연세대 [D1-1] 디지털 트윈 기술 K-로드맵 2.0 전광호 수석/IITP [E1-1] ADS 드론 방어 시스템 류지훈 교수/SUNY Korea [A1-2] Hyperscale AI 트렌드와 네이버의 HyperCLOVA 윤영진 리더/네이버클라우드 [B1-2] Network Architecture for Metaverse & XR 최진호 프로/삼성전자 [C1-2] 퀀텀AI와 지능제어 김중헌 교수/고려대 [D1-2] 디지털 트윈국토 개요 및 표준화 현황 홍상기 교수/안양대 [A1-3] 디지털플랫폼정부 허브 (DPG HUB) 개요 및 데이터레이크와 초거대 AI 윤희근 팀장/NIA [B1-3] Network Architecture for V2X & New Mobility 김래영 책임/LG전자 [C1-3] 무선 네트워크에서 제한된 통신 범위, 딜레이, 공격자에 대응하는 연합 학습 최민석 교수/경희대 [D1-3] 디지털 트윈 플랫폼 기술 동향 류수영 본부장/이에이트 [E1-2] IP기반 적응형 스트리밍과 하이브리드 방송기술 김규헌 교수/경희대 10:50-11:00 Break 11:00-11:40 [Keynote Speech I] Falling in Love with AI and ChatGPT (김성훈 대표/업스테이지) 11:40-11:50 Break 11:50-12:30 [Keynote Speech II] ICT가 만드는 미래 헬스케어 (김승환 소장/ETRI) 12:30-14:00 Lunch Track [Track A] Big Data, Computing and Blockchain [Track B] 5G/6G [Track C] AI [Track D] Digital Transformation Trends and Technologies [Track F] Governmental DataㆍService Policy on Digital Platform Society 14:00-15:50 [Session A2] High Performance Computing and Networking 좌장: 조부승 센터장/KISTI [Session B2] 5G/6G Open RAN & Network Softwarization 좌장: 백상헌 교수/고려대 [Session C2] AI, The Future 2 좌장: 고한얼 교수/고려대 [Session D2] Industrial Digital Twin Platform & Service Technologies 좌장: 한연희 교수/한국기술교육대 [Session F1] Digital Inclusion Society & Technologies 좌장: 배영 교수/포항공대 [A2-1] AWS 클라우드 환경의 고성능 컴퓨팅(HPC) 기술 조상만 솔루션즈 아키텍트/AWS KOREA [B2-1] 5G 오픈랜 기술 나지현 실장/ETRI [C2-1] 언어AI 발전 흐름 속 ChatGPT 행간 읽기 임준호 CTO/튜터러스랩스 [D2-1] 대규모 확장성 및 고신뢰성을 지원하는 제조 디지털 트윈 기술 손지연 실장/ETRI [F1-1] 디지털포용을 위한 유니버셜 디자인 김현경 교수/광운대 [A2-2] Network Softwarization Architecture for Edge Cloud 신상호 박사/SKT [B2-2] 통신사업자가 바라보는 Open RAN 조제훈 팀장/LGU+ [C2-2] AI와 생체보안 기술 이윤규 교수/홍익대 [D2-2] 디지털 트윈 기반 자동차 메타버스 팩토리 플랫폼 김원현 대표/슈타겐 [F1-2] 디지털 포용시대 디지털 시민성 구현 방안 김봉섭 연구위원/NIA [A2-3] 국가슈퍼컴퓨터 5호기 운영 현황 및 차세대 시스템 소개 홍태영 센터장/KISTI [B2-3] 공공 분야 개방형 네트워크 시험검증 지원체계 이경주 팀장/NIA [C2-3] 저궤도 위성 엣지컴퓨팅 아키텍처 곽정호 교수/DGIST [D2-3] 이종 산업 도메인 간 융합서비스를 위한 연합 디지털 트윈 기술 김원태 교수/한국기술교육대 [F1-3] 디지털포용 기술 : 저시력과 기술적 편견 조정훈 프로/삼성전자 15:50-16:00 Break 16:00-17:50 [Session A3] Blockchain Technology and Business 좌장: 박상환 단장/KISA [Session B3] Next generation Network of Digital Transformation 좌장: 정갑진 팀장/KISA [Session C3] Network AI 좌장: 정소이 교수/아주대 [Session D3] Standardization in Digital Transformation 좌장: 홍용근 교수/대전대 [Session F2] The Future of Data and Services in Digital Platform Government 좌장: 최진원 교수/대구대 [A3-2] DID와 NFT를 활용한 디지털배지 시스템 이강효 선임/KISA [B3-2]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기반의 클라우드 초연결 시대 최우형 아키텍트/AWS KOREA [C3-2] 지능형 모빌리티 제어 정소이 교수/아주대 [D3-2] ITU-T SG20 디지털 트윈 연합 표준 개발 현황 이창규 선임/ETRI [F2-2] 디지털플랫폼정부에서의 공공마이데이터 추진방안 윤억수 팀장/NIA [A3-1] 국내 CBDC 기술 연구 현황 및 계획 유희준 팀장/한국은행 [B3-1] DT기반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 개선 김진식 매니저/SKT [C3-1] 통신시스템을 위한 AI 임병주 교수/부경대 [D3-1] ISO 23247 제조 디지털 트윈 표준 개발 현황 및 로드맵 선경재 박사/ETRI [F2-1] 공공데이터의 개방과 활용, 앞으로의 방향 이재원 팀장/NIA [A3-3] 디지털지갑 국내외 동향 및 개선방향 김종환 대표/블로코 [B3-3] 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인터넷 네트워크 이한상 수석/KISA [C3-3] Explainable AI 기반 무선랜 기술 및 표준화 개발 동향 박현희 교수/명지대 [D3-3] 디지털 트윈 네트워크 표준 개발 현황 윤주상 교수/동의대 [F2-3] 가명정보를 활용한 데이터 활용사례와 시사점두원식 책임/NIA KRnet 2023 - Program 둘째날 (6월 27일, 화요일) 둘째날 (6월 27일, 화요일) 발표장소 하모니I 하모니II 하모니III 비바체 알레그로 Track [Track G] Quantum [Track H] Metaverse & Service [Track I] Mobility for New Hyper-Connected Industries [Track J] Web 3.0 [Track K] Tutorial II 09:00-10:50 [Session A1] Cryptography Research to prepare for the Quantum Era 좌장: 심경아 본부장/NIMS [Session H1] Essentials for Advanced Metaverse 좌장: 이경한 교수/서울대 [Session I1] CAV (Connected Automated Vehicle) 좌장: 이재관 연구소장/한국자동차연구원 [Session J1] Web3.0 Policy and Business 좌장: 정일영 교수/한국외대 [Session K1] Ambient with IoT 좌장: 김기천 교수/건국대 G1-1] PQC 최신 연구 개발 동향 심경아 본부장/NIMS [H1-1] Towards Efficient and Immersive Mobile Virtual World Design 고정길 교수/연세대 [I1-1] Software Defined Vehicle : Decoupling of HW & SW 김형준 대표/베이리스 [J1-1] Web3.0 생태계 전략 최준균 교수/KAIST [K1-1] 지능형 사물인터넷 (AIOT)와 앰비언트 서비스(AmS) 김학용 소장/IoT 전략연구소 [G1-2] 양자시대 안전한 차세대 암호기술 전환 및 정책 동향 김기문 팀장/KISA [H1-2] Sensing as a Bridge between Physical and Digital Worlds 한준 교수/연세대 [I1-2] 오픈 소스 기반 자율주행 SW의 기술 동향 및 미래 확장 방안 송영기 대표/스프링클라우드 [J1-2] Web3.0 비즈니스 모델 송민정 교수/한세대 [G1-3] 양자내성암호 국가공모전 (KpqC 공모전) 소개 이나리 선임/NSR [H1-3] AI-to-Human Actuations: Boosting Unmodified AI’s Robustness by Mimicking Human Ways 황인석 교수/포항공대 [I1-3] SDV(Software Defined Vehicle) 환경을 위한 차량 사이버보안 대응전략 김의석 대표/아우토크립트 [J1-3] Web3.0 시대의 디지털 자산고혜수 박사 10:50-11:00 Break 11:00-11:50 [Keynote Speech III] 인공지능 기술의 진화와 인간 (함상범 전무/Microsoft) 11:50-13:00 Lunch Track [Track G] Quantum [Track H] Metaverse & Service [Track I] Mobility for New Hyper-Connected Industries [Track J] Web 3.0 [Track L] KR50 Workshop 13:00-14:50 [Session G2] Research Status of Quantum Communication 좌장: 이원혁 단장/KISTI [Session H2] Research Status of Metaverse 좌장: 이소연 박사/ETRI [Session I2] UAM(Urban Air Mobility) 좌장: 홍용근 교수/대전대 [Session J2] Web3.0 Elemental Technologies I 좌장: 이종현 박사/ETRI [Session L1] Formation of the Internet Business Ecosystem 좌장: 전성민 교수/가천대 [G2-1] 양자인터넷 개념 및 연구 개발 동향 허준 교수/고려대 [H2-1] 실감나는 메타버스 응용서비스를 위한 첨단 입체영상 시각화 기술 강민구 선임/KIST [I2-1] 도심항공모빌리티 생태계 김명집 CKO/파블로항공 [J2-1] 미래 조직 구조로서의 DAO 김항진 이사/맥킨리라이스 - 환영사 (김대영 KR50 Chair) - 창업생태계의 역사 (이병헌 광운대 교수 발표) - 인터넷 서비스 개발 커뮤니티의 형성 (배인식 키클롭스 대표, 김도현 국민대 교수 대담)- 인터넷 서비스 (포털 및 커뮤니티) : 다음 (이택경 매쉬업엔젤스 대표,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 대담) 싸이월드 (이동형 경남창조경제 혁신센터 센터장, 정회훈 KAIST 청년창업투자지주 대표 대담) [G2-2] 양자인터넷을 위한 양자중계기술 동향 손영익 교수/KAIST [H2-2] 메타버스 환경에서 실감 디지털 휴먼 기술 이승욱 책임/ETRI [I2-2] 도심항공모빌리티를 위한 도심 국소 기상 예측 이상봉 교수/KAIST [J2-2] Web3.0 트러스트 관리 기술 엄태원 교수/전남대 [G2-3] 양자네트워크 기술 및 표준화 동향 김형수 수석/KT [H2-3] 컨텍스트 인지형 (Contextaware) 메타휴먼 키오스크 사용자 경험의 최적화 김성현 수석/솔트룩스 [I2-3] UAM 안전운항을 위한 감시 및 DAA 안재영 연구전문위원/ETRI [J2-3] Web3.0 표준화 기술 동향 오현택 팀장/KAIST 14:50-15:10 Break 15:10-17:00 [Session G3] Research Status of QKD Network 좌장: 김영희 팀장/NIA [Session H3] Emerging Metaverse Services 좌장: 김민석 본부장/NIPA [Session I3] Mobility Technologies in the Maritime Environment 좌장: 이재학 교수/서울대 [Session J3] Web3.0 Elemental Technologies II 좌장: 이우섭 교수/한밭대 [Session L2] Evolution of Internet Business Models 좌장: 김상순 교수/서울시립대 [G3-1] 양자기술 상용화 기반조성 현황 김영희 팀장/NIA [H3-1] AcroXeR : XR기반 원격 협진 솔루션의 사례로 보는 의료 산업의 미래 김도형 PM/서지컬마인드 [I3-1] IMT 기반 해양통신 관련 국제표준화 동향(3GPP, IALA 중심) 및 실증시험 결과 구현희 대표/싱크테크노 [J3-1] 데이터 가치거래를 위한 Data Federation 기술 김화종 교수/강원대 - 인터넷 상거래 : 옥션 (이금룡 코글로닷컴 회장 발표) 지마켓 (김영덕 은행권청년창업재단 대표, 최항집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센터장 대담) - 디지털 콘텐츠 비즈니스 모델 출현 : 원클릭과 세이클럽 (김상욱 네오위즈 홀딩스 대표, 전성민 가천대 교수 대담)- 온라인 게임 비즈니스 모델의 진화 : 게임 비즈니스 모델의 역사 (박현아 게임정책자율기구 연구원 발표) Connecting the Dots Backward: “바람의 나라”에서 “MIR M”까지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 발표) [G3-2] 양자암호 사업의 현재와 미래 김동우 팀장/SKT [H3-2] M2O기반의 전시/컨벤션 메타버스 비즈니스 상용화 사례 및 적용 기술 김신구 상무이사/에코마이스 [I3-2] 선박해양 디지털 전환 지원을 위한 플랫폼 및 서비스 개발 계획 조득재 박사/KRISO [J3-2] 안전한 DAO 생태계를 위한 보안 요구사항 류재철 교수/충남대 [G3-3] KISTI 양자암호통신망 연구현황 및 출연연 적용 사례 이원혁 단장/KISTI [H3-3] 메타버스 기반의 공군통합교육훈련 시스템 구축 김진원 이사/디투이노베이션 [I3-3] 자율운항 선박기술 하태범 단장/한국선급 [J3-2] Web3.0을 위한 탈중앙화 네트워킹 기술박종대 책임/ETRI ※ 상기 프로그램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182023. 05
    No. 502 View. 46905

    2023년 KISTI 개원 22주년(통산 61주년) 개원기념일 기관장 기념사

    2023년 개원기념일 기념사   안녕하십니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김재수입니다.   우리 KISTI가 오늘로 예순한 번째 생일을 맞았습니다. 이 좋은 날, KISTI 모든 가족 여러분과 함께 축하의 마음을 나눌 수 있게 되어 대단히 기쁩니다. 이번 개원기념일은 조촐한 가족잔치로 열고 싶어, 특별히 외부 인사들을 모시지 않았습니다.   우리 가족만 모였다고 생각하니, 한결 더 편하고 정겹습니다. 현재 KISTI에 몸담고 계신 직원 여러분과 조영화 원장님, 한선화 원장님을 비롯한 선배님들, 모두 반갑습니다.   다 함께 옆과 앞뒤를 돌아보며 축하합니다, 감사합니다, 인사를 나누면 어떨까 싶습니다. 자, 같이 해볼까요. 축하합니다! 감사합니다!   KISTI 가족 여러분, 얼마 전, 유네스코와의 업무협약이 최종 결정됐습니다. 조만간 협약식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결정 소식을 듣고 정말 감회가 깊었습니다. 유네스코는 KISTI의 시작점과 맞닿아 있는 기관입니다. 60여 년 전, 유네스코는 동방의 가난한 나라 대한민국이 경제를 일으키려면 과학기술정보의 보급이 가장 시급하며, 이를 위한 문헌센터가 필요하다고 제안했습니다.   당시 정부는 이 제안을 전격적으로 받아들여 전문가 파견과 재정원조를 요청했고, 1962년 1월 1일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의 한 조직으로 한국과학문헌센터가 발족한 것이 지금 KISTI의 첫발이었습니다. KISTI가 정부출연기관 가운데 두 번째로 이른 시기에 태어난 것도, 과학기술정보의 중요성과 시급성을 강력히 설파한 유네스코의 도움이 컸습니다.   61년이 흐른 지금, 이제 KISTI는 유네스코와 손을 맞잡고 전 세계 과학기술과 교육, 문화 발전을 함께 선도해 나가는 위치에 서게 됐습니다.     모든 나라, 모든 연구자가 데이터 격차 없이 연구할 수 있도록 글로벌 오픈사이언스 환경을 고도화함으로써 과거 한국과 같은 기적적인 경제성장이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도록 견인하는 기관이 된 것입니다. 더없이 자랑스럽고, 뿌듯합니다.   지금의 KISTI가 있기까지 희생과 헌신을 아끼지 않으신 선배님들과 직원 여러분께 깊은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보냅니다.   우리 KISTI는 지난 오랜 시간, 글로벌 과학기술 패러다임 변화와 국가·사회의 요구를 발 빠르게 받아들이며 주저함 없이 혁신을 거듭해 왔습니다.   시작은 국내 최초의 ‘과학기술 정보유통 전문 연구기관’ 이었습니다. 당시 해외 학술저널의 유통 루트는 KISTI가 유일했고, 이를 중심으로 선진국의 첨단기술이 국내 과학기술계와 산업계로 확산 및 재생산되어 국가 성장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이후로는 ‘과학기술 인프라 지원기관’으로 진화했습니다. 정보유통과 함께 정보분석을 통해 산·학·연·정에 날카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슈퍼컴퓨팅과 초고속연구망을 지원하는 연구기관. 대한민국 R&D의 모든 곳에서 핵심 인프라를 지원하는 기관으로 거듭났습니다.   그리고 이제 데이터의 시대, 급변하는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를 맞아 ‘과학기술 데이터 종합연구기관’으로 새롭게 정체성을 확립해가고 있습니다. 데이터와 인프라를 지원만 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사회의 난제를 데이터로 직접 해결함으로써 국민의 이익과 안전, 그리고 행복을 실질적으로 담보하는 기관으로 진화하는 중입니다.   이를 위해 국가·사회 현안 해결을 위한 ‘9대 현안 프로젝트’를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첨단 미래농업을 위한 데이터농업 연구, 소리지능 데이터 플랫폼 연구, 글로벌공급망(GVC) 종합상황판 구축 연구, 무기체계 CBM+ 특화연구, 마이데이터 활용 플랫폼 연구, 교통흐름 최적화와 교통안전을 위한 인공지능기술 연구, 도시재난 솔루션 연구, 감염병 위험 징후 탐지를 위한 인공지능기술 연구, 과학적 정책 결정을 위한 국가전략·정책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연구가 그것입니다.   이 9개 프로젝트는 제가 취임 이후 줄곧 주창해 온 애자일 방법론을 기반으로 수립됐습니다. 불과 며칠 만에 조직구성과 인력배치까지 마친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정부도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을 위해 애자일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고, 올 초에는 대통령께서도 직접 ‘애자일 정부’를 표방하시는 등 KISTI가 선도적으로 시작한 애자일 패러다임이 국가·사회 전 분야로 확산되는 중입니다.   앞으로 KISTI는 더욱 애자일하게 움직일 것입니다. 시대의 변화와 국민의 요구에 발 빠르게 대응하여 해답을 찾겠으며, 혹여 실패가 생겨도 그것을 반면교사 삼아 더 크게 한 걸음 나아가겠습니다. 그리하여 미래에는 ‘한국’이라는 카테고리까지 넘어서고 싶습니다.   구글을 미국의 구글이라 하지 않고 그냥 구글로 인식하듯, KISTI도 한국의 KISTI가 아니라, 그냥 KISTI라는 이름만으로도 어디서든 인정받는 세계적인 기관이 될 수 있도록 도약하려 합니다.   오늘이 그 시작점이 될 것입니다. 개원 61주년을 맞는 이 자리를 기점으로, 전사적으로 KISTI의 세계화에 몰입하겠습니다. 앞서 언급한 유네스코와 최근 급부상 중인 아세안, 그리고 미국 미시건 대학교를 세 개의 핵심 전략 거점으로 삼아 부서별·사업별로 국제화 방안을 수립할 것이며, 예일대학, 콜롬비아 대학, 페르미 연구소 등 세계적 연구기관과 국제공동연구를 추진하고, ODA 사업을 통해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의 개발도상국에 기술과 인력을 원조하는 등 ‘글로벌 톱티어 데이터 연구기관’을 향한 힘찬 도전을 시작하겠습니다.   데이터라는, 영역도 경계도 한계도 없는 막강한 솔루션을 가지고 세계 정상을 향해 도도하게 나아가겠습니다. KISTI 직원 모두 힘을 모아 주시고, 선배님들 역시 든든한 지지와 응원을 보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KISTI 가족 여러분,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12대 국가전략기술’에 KISTI가 연구하는 분야가 3개나 포함됐습니다. 그만큼 KISTI의 역량이 국력 강화에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이 증명된 것입니다. 특히,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을 통해 우리의 삶 속으로 성큼 들어온 인공지능기술은 데이터의 규모와 신뢰성 및 다양성에 절대적으로 의존합니다. 이는 데이터 종합연구기관인 KISTI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막중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국가·사회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직원 여러분 모두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계시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노력의 성과도 괄목할만 합니다. 데이터 기반 오픈 사이언스 체제는 매우 높은 완결성을 보이고 있고, 국가연구데이터플랫폼인 DataON의 중요성이 널리 알려지면서 연구데이터의 체계적 관리와 공유 및 활용을 위한 ‘국가연구데이터 관련 법’ 제정도 활발히 논의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10위권의 성능을 가진 슈퍼컴퓨터 6호기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했으며, 전국 8개의 분야별 슈퍼컴퓨터 전문센터와 공고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국가 전반의 슈퍼컴퓨팅 공동활용 생태계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아울러, 양자컴퓨터 개발에도 뛰어들어 양자기술의 실증과 양자암호통신 등의 분야에서 존재감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 지능형 미래분석 역시 큰 진전을 이루는 중입니다. 우리 분석전문가들이 애자일하게, 시기적으로 꼭 필요한 이슈들을 선정하여 고품질 분석보고서를 다수 생산함으로써 ‘읽히는 보고서’, ‘진짜 도움이 되는 보고서’가 무엇인지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오랫동안 고도화해 온 여러 가치평가 모델을 토대로 국내 최초의 데이터 가치평가기관에 선정되는 쾌거를 이루었으며,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기술사업화 지원 플랫폼의 인기는 날로 높아지는 상황입니다. 아울러, 5.0 단계로 진입한 ASTI는 지속해서 실질적인 성과를 다수 도출하고 있습니다.   급격한 디지털전환으로 사이버 보안의 수요가 급증하고, 글로벌 신냉전 시대의 도래로 사이버 안보에 대한 국가적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국가 과학기술 사이버 보안 콘트롤타워인 KISTI에 거는 기대도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KISTI는 설명가능한 인공지능 즉, XAI 기반의 첨단 보안관제 기술을 고도화하는 한편, 주도적으로 ‘K-사이버 방역체계’를 이끄는 등 전략적 목적에 맞는 최고의 역량을 펼치고 있습니다. 기획행정 파트의 혁신도 무르익었습니다.   12대 국가전략기술, 디지털플랫폼정부 등 정부의 새로운 정책들을 신속하게 받아들여 KISTI의 기획행정 체계에 녹여내고 있으며, 차세대인트라넷 구축도 차근차근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연구원이 연구에만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는 중입니다. 아울러, 기관 발전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늘 상생협력의 마인드로 임해주시는 노동조합 측에도 감사를 드립니다.   KISTI 가족 여러분, 오늘 개원기념사를 준비하며 가장 많이 떠올린 단어는 ‘감사’였습니다. 지금껏 열거한 사업 외에도 모든 사업과 KISTI 가족 여러분 한분 한분께 진심으로 치하의 말씀을 드립니다. 저를 믿고 고단한 혁신의 과정을 묵묵히 따라와 주신 가족 여러분, 정말 고맙습니다.     잠시 후 진행될 시상 순서에 설혹 본인이 호명되지 않더라도, 저의 감사한 마음은 직원 모든 분을 향해 있다는 것을 알아주시면 좋겠습니다.   특히, 다둥이를 둔 특별상 수상자에게는 미리 한 번 더 축하를 드리고자 합니다. 여섯 자녀를 둔 나상호 박사에게 박수 한번 부탁드립니다. KISTI를 믿고 다복한 가정을 꾸려주어 고맙고 자랑스럽습니다. 이분들의 가정처럼 우리 KISTI도 복되고 행복하게, 세계를 향해 품을 넓히고 힘을 키워 쑥쑥 성장해 나가기를 기원합니다.   끝으로 다시 한번, 존경하는 선배님들과 현재의 직원 여러분께 고개 숙여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모두 행복하시기를 바랍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김재수 2023년 5월 18일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