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ISTI DATA INSIGHT 제49호 : 논문 데이터로 본 글로벌 과학기술 국제협력

박여은 69 2025-07-15
권호: 제49호
저자: 안세정, 이철, 이준영, 박진서

• 국제협력은 전 지구적 난제에 공동 대응하고, 국가 간 지식과 기술의 교류를 통해 과학기술 혁신을 가속화하는 핵심수단으로 전 세계 각국은 국제협력을 국가 경쟁력 확보의 전략적 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과학기술의 발전에 많은 관심을 쏟고 있음.

• 이에 따라 각 국가들은 과학기술 국제협력에 대해 자국의 실정에 따라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국제협력을 통한 과학기술 역량 강화에 주목하며 관련 투자와 정책 지원을 확대하고 미-중 간의 기술패권 경쟁 심화, 전략기술 경쟁력 확보 등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음.

• 이러한 과학기술 국제협력에 대한 객관적 분석과 주기적인 모니터링의 필요성에 대한 대내외의 요구에 부응하여,본 보고서에서는 기존 선행 분석 결과(이준영 외, 2021; 이철 외, 2024)를 바탕으로, Web of Science 논문 데이터 베이스의 2024년 1분기(13주차) 기준 데이터를 활용하여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을 살펴 봄.

• Web of Science DB SCIE 에디션에 수록된 1991~2024년 1분기에 출판된 문헌(36,840,818 건)을 대상으로 G7국가 및 한국, 중국을 포함하여 9개 주요 국가에 대한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을 분석함. 주요 지표로는 협력유형별 논문 비율, 양자 간 협력 논문 비율의 시계열 추이를 분석하였으며, 특히, 인용 주제(Citation Topics)의 10대 대분류별로 최근 10년(2015~2024년 1분기)동안 출판된 논문(16,340,194 건)에 대한 주요국의 국제협력 연구 현황을 분석함.

• 협력유형별 비율 시계열 추이에서 주요국 모두에서 단독연구 논문 비율은 감소하고,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의 국제협력 비율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한국은 2023년에 국제협력 비율이 자국내 협력 비율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남.

• 주요국의 양자 간 협력 현황을 살펴본 결과, 모든 국가에서 미국과의 협력이 여전히 가장 높지만, 대체로 비율이 서서히 감소하고 중국과의 협력은 증가하는 추세가 관찰됨. 주요 선진국들은 한국과의 공동연구 비율이 2~4% 수준에 머물러, 한국이 아직까지 주요 협력 파트너국으로 자리잡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한국의 국제협력 연구에 중점을 두어, 전 분야 및 인용 주제(Citation Topics) 10대 분야별 한국-상대국의 양자 협력관계를 분석한 결과, 한국은 전통적으로 미국, 일본 등 선진국과의 협력 비율이 높았으나, 최근에는 인도, 사우디 아라비아, 베트남, 대만 등 신흥국들이 한국의 주요 협력 상대로 급부상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자박여은,윤세연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