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인구 데이터로 미래를 준비하다

곽영 11,943 2024-12-31
권호 제8호
발간일 2024-12-31

최근 한국은 급격한 속도로 출산율이 떨어지고 있다. 저출산 문제는 장기적으로 경제 성장의 둔화를 가져오고, 고령화와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국가 경쟁력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S&T DATA8호는 인구 데이터로 미래를 준비하다를 주제로,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인구 데이터가 인구 문제 해결과 대책 마련에 있어 어떤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S&T DATA의 시작을 여는 Opinion 코너에서는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이 한국의 급격한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에 

    대해 제언한다. 또한 매호 주제와 관련된 인사의 인터뷰를 싣는 Leaders 코너에서는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장을 통해 고령화와 인구 감소가 가져올 사회적·경제적 

    도전, 그리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적·정책적 해결 방안을 함께 들어보았다.


Special Issue에서는 인구 데이터로 본 대한민국의 현실과 대응 전략을 알아보기 위해 저출산 및 고령화 현황과 사회·경제적 위기, 지방소멸 문제와 대응 방안

   장수리스크와 금융 혁신, 소셜 데이터가 말하는 근로자의 인식 변화 등 다양한 주제를 데이터와 과학 기술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특히, 저출산과 고령화라는 이중 위기에 직면한 지금, 인구 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Deep Insight에서는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노동 시장의 과제를 살펴본다.

 

S&T DATA는 데이터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됨에 따라 매호 국내외 데이터 관련 정책 동향을 정리해 전달한다. 이번 호는 인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동향을 

   전한다. 또한 인구 데이터를 활용해 지속가능한 성장과 혁신을 이끌어가는 우리나라 기업 정션메드와 대동의 사례를 소개한다.

목차별 다운로드

  • 번호 제목 저자 다운로드
  • 01 더 긴 호흡으로, 더 근본적인 구조 변화 모색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 02 인구 위기 시대, 데이터와 협력으로 길을 찾다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장
  • 03 데이터로 본 저출생 원인과 사회적 영향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
  • 04 데이터 분석으로 본 초고령사회의 복합위기와 대안 구혜영 한양사이버대학교사회복지학과 교수
  • 05 초고령사회에 따른 사회·경제적 문제 이재성 명지대학교 행정학과 겸임교수
  • 06 지방소멸 위기와 미래 대응 차미숙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07 장수리스크와 금융혁신 강성호 보험연구원 고령화연구센터장
  • 08 소셜 데이터가 말하는 근로자의 인식 변화 이승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09 저출산·고령화 극복할 것인가,대응할 것인가? 김중백 경희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10 인구구조의 변화와 노동 시장의 과제 김승택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11 국내외 인구 데이터 기반 정책 동향 KISTI 정책전략본부 정책연구센터
  • 12 AI 기반 헬스케어로 초고령사회의 건강 관리 선도 - 정션메드 KISTI 정책전략본부 정책연구센터
  • 13 고령화 농촌의 해법, 스마트 농기계와 정밀 농업 - 대동 KISTI 정책전략본부 정책연구센터
  • 14 저출산·고령화의 그림자, 이제는 미래를 준비해야 할 때 KISTI 정책전략본부 정책연구센터
  • 15 KISTI,‘일-생활균형 연구문화 확산 컨설팅’성과 공개 KISTI 정책전략본부 정책연구센터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정책연구센터
  • 담당자곽영
  • 연락처042-869-1626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