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 | 제9호 | ||||
발간일 | 2025-07-07 | ||||
저자 | 곽영 |
□ 양자역학 원리를 기반으로 한 양자기술은 기존의 기술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돌파할 차세대 과학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정보처리와 통신, 센싱, 의료 등 현대 산업과 관련된 거의 모든 분야에서 기존과는 다른 차원의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S&T DATA』 9호는 “양자기술, 다음 세대로 나아가다”를 주제로, 양자기술의 원리부터 이를 기반으로 한 핵심 기술과 관련된 산업과
양자기술이 가져올 사회, 경제, 기술적인 변화화 이에 대한 대응 전략까지 짚어봄으로써 양자기술이 가져올 새로운 시대의 밑그림을 그려보고자 하였다.
□ 『S&T DATA』의 시작을 여는 Opinion과 Leaders 코너에서는 김재완 고등과학원 교수가 양자기술 패권을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래를 바라보며 나아가야 할 도전에 대해 제언한다. 또한 매호 주제와 관련된 화제의 인물 인터뷰를 싣는 Leaders 코너에서는 윤지원 SDT(주) 대표를
통해 양자 산업이라는 망망대해에서 무엇을 선택하고 집중해야할지 들어본다.
□ Special Issue에서는 사회, 경제, 기술의 미래를 바꾸고 있는 양자기술의 현재를 알아보기 위해 양자기술의 기본 원리, 초전도체 양자컴퓨터,
양자기술의 산업화 및 경제적 파급효과, 미래준비를 위한 인력양성, 양자기술의 사회적·윤리적·법률적 파급 효과와 대응 방안, 양자 보안기술의
전략적 가치와 대응방향 등 다양한 주제를 양자 과학기술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 특히, 다양한 분야에서 양자기술의 파급력은 세계 각국이 기술 선점을 위해 각축을 벌이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이에 Deep Insight에서는 양자기술의 글로벌 경쟁력과 국제협력을 분석하고, 국내외 양자기술 생태계 관련
정책 및 전략 이슈를 살펴본다.
□ 『S&T DATA』는 데이터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됨에 따라 매호 국내외 데이터 관련 정책 동향을 정리해 전달한다. BIZ Inside에서는 글로벌
양자기술 기업을 중심으로 한 QPU, QaaS, SW 생태계 경쟁 전략과 사례를 분석한다.
KISTI+에서는 양자 데이터란 무엇인가에 대한 정의와 논의 시점에 대해 제시한다.
통권보기(1)
목차별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