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양자기술, 다음 세대로 나아가다.

곽영 84 2025-07-10
권호 제9호
발간일 2025-07-07
저자 곽영

양자역학 원리를 기반으로 한 양자기술은 기존의 기술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돌파할 차세대 과학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정보처리와 통신, 센싱, 의료 등 현대 산업과 관련된 거의 모든 분야에서 기존과는 다른 차원의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S&T DATA9호는 양자기술, 다음 세대로 나아가다를 주제로, 양자기술의 원리부터 이를 기반으로 한 핵심 기술과 관련된 산업과 

    양자기술이 가져올 사회, 경제, 기술적인 변화화 이에 대한 대응 전략까지 짚어봄으로써 양자기술이 가져올 새로운 시대의 밑그림을 그려보고자 하였다.

 

S&T DATA의 시작을 여는 OpinionLeaders 코너에서는 김재완 고등과학원 교수가 양자기술 패권을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래를 바라보며 나아가야 할 도전에 대해 제언한다. 또한 매호 주제와 관련된 화제의 인물 인터뷰를 싣는 Leaders 코너에서는 윤지원 SDT() 대표를 

     통해 양자 산업이라는 망망대해에서 무엇을 선택하고 집중해야할지 들어본다.

 

Special Issue에서는 사회, 경제, 기술의 미래를 바꾸고 있는 양자기술의 현재를 알아보기 위해 양자기술의 기본 원리, 초전도체 양자컴퓨터

    양자기술의 산업화 및 경제적 파급효과, 미래준비를 위한 인력양성, 양자기술의 사회적·윤리적·법률적 파급 효과와 대응 방안, 양자 보안기술의

    전략적 가치와 대응방향 등 다양한 주제를 양자 과학기술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특히, 다양한 분야에서 양자기술의 파급력은 세계 각국이 기술 선점을 위해 각축을 벌이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이에 Deep Insight에서는 양자기술의 글로벌 경쟁력과 국제협력을 분석하고, 국내외 양자기술 생태계 관련

    정책 및 전략 이슈를 살펴본다.

 

S&T DATA는 데이터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됨에 따라 매호 국내외 데이터 관련 정책 동향을 정리해 전달한다. BIZ Inside에서는 글로벌 

    양자기술 기업을 중심으로 한 QPU, QaaS, SW 생태계 경쟁 전략과 사례를 분석한다

    KISTI+에서는 양자 데이터란 무엇인가에 대한 정의와 논의 시점에 대해 제시한다.

목차별 다운로드

  • 번호 제목 저자 다운로드
  • 01 양자기술, 다음 100년의 도전 김재완 고등과학원 교수, 양자전략위원회 위원
  • 02 양자 산업 분야에서 한국의 폭스콘을 지향하다 윤지원 ㈜SDT 대표
  • 03 양자기술, 미래를 여는 열쇠가 되다 김갑진 KAIST 물리학과 교수
  • 04 초전도체 양자 컴퓨터, 미래 ICT 기술의 판을 바꾸다 김영욱 DGIST 화학물리학과 교수
  • 05 양자기술의 산업화 및 경제적 파급 효과 정재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연세양자사업단장
  • 06 양자기술의 사회적, 윤리적, 법률적 파급 효과와 대응 방안 이재신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 07 미래를 위한 준비, 양자기술 인력양성 심정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인재정책센터 연구위원
  • 08 양자 보안기술의 전략적 가치와 대응 방향 권대성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연구위원
  • 09 양자기술의 글로벌 경쟁력과 국제협력 김진희·박갑동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퀀텀국제협력본부
  • 10 국내외 양자기술 생태계 관련 정책 및 전략 이슈 김효실 미래양자융합센터장
  • 11 국내외 양자기술 정책 동향 KISTI 정책전략본부 정책연구센터
  • 12 양자기술의 미래를 여는 기업들: QPU, QaaS, SW 생태계를 통해 보는 기업들의 경쟁 전략 김동호 메가존클라우드 양자 컴퓨팅 사업 총괄 부사장
  • 13 KISTI가 묻는다: 양자 데이터, 양자 컴퓨팅의 판을 바꾼다 KISTI 정책전략본부 정책연구센터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정책연구센터
  • 담당자곽영
  • 연락처042-869-1626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