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글로벌 사회문제 해결 위한 한국의 대응은?

최나은 2022-10-20 View. 8,451

글로벌 사회문제 해결 위한 한국의 대응은?

한국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세계 27논문기준 15위 -


KISTI 이슈브리프 제47호 설명 포스터

과학기술인프라, 데이터로 세상을 바꾸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 ISSUE BRIEF

[KISTI ISSUE BRIEF]는 국가 과학기술 정보 분야 대표기관이 KISTI가 최근의 과학기술 정보 관련 현안·이슈를 발굴·분석하여 시사점 및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발간합니다.

서주환·박진서·전승표·권태훈·안세정

글로벌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한국의 대응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한국은 어디까지 왔나?

제47호 / 2022.09.13.

목차

  • 1.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배경과 내용
    • SDGs의 배경
    • SDGs의 내용
  • 2.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처하는 글로벌 동향
    • SDGs와 관련된 정보의 제공
    • SDGs와 관련된 분석 도구의 제공
    • SDGs의 모니터링
  • 3.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한국의 대응
    • 정부 및 단체의 대응
    • 한국 과학기술계의 대응
  • 4. 글로벌 사회문제에 대응하는 한국의 현주소

요약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에게 생소한 용어로 다가올 것이다. SDGs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2016년부터 2030년까지 전 세계의 모든 국가가 '미래 시대의 피룡를 충족시킬 수 잇으면서, 오늘날의 필요도 충족시킬 수 있는' 지속가능한 사회와 경제 발전 및 환경보호를 위한 노력의 정도를 목표로 정해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결국 글로벌 사회 문제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한 전 세계적인 대응이라고 보면 된다. 정의만 보면 막연한 접근과 공허한 목표일 수 있기에 UN에서는 SDGs를 사회발전, 경제개발, 환경보호 등의 세 가지 축을 기준으로 17개 목표와 169개의 세부 목표, 그리고 이를 측정 할 수 있는 다수의 측정 지표로 체계화하였다. 이처럼 SDGs는 공동의 실천을 기반으로 하는 목표를 제시하고 잇으며 UN의 주도하에 각 국가가 SDGs의 각 목표를 어느 정도 달성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보고하도록 권고되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우리나라가 SDGs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으며, 현주소는 어떤 사어황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이하 KISTI) 글로벌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한국의 대응 현황에 대해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의 이행현황을 중심으로 한국은 현재 어느 정도의 위치에 있는 지를 분석하고앞으로 나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했다.

국가 과학기술 정보 분야의 대표 연구기관인 KISTI는 최근의 과학기술 정보 관련 현안이슈를 발굴분석하여 시사점 및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하고 있다(https://www.kisti.re.kr/post/issuebrief).


□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는 사람 및 지구 번영을 위한 구체적인 행동계획이며행위의 당사자는 전 국가다.

- 지속가능발전목표가 전 지구적인 문제에 대응하는 첫 번째 행동계획은 아니며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전에 새천년개발목표(MDG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2002년 ~ 2015)가 있었다이는 글로벌한 빈곤을 퇴치하기 위해 UN회원국들이 합의한 첫 번째 목표로 전 지구적인 문제를 다루기 위한 세계적인 첫 번째 약속이다.

- MDGs의 목표 기간이 종료되고새로운 목표 설정의 시기가 다가와 MDGs의 목표의 근본적인 문제였던 일부 국가만이 다루는 문제에서 모든 국가가 다뤄야 하는 문제와 주제로 목표와 내용을 조정해 나온 것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 지속가능발전목표는 사회발전경제발전환경보호 등의 큰 3개의 주제를 축으로 17개 목표와 169개의 세부 목표로 구성돼 있다.

- 17개 목표는 빈곤 퇴치와 경제개발을 넘어 국제사회가 직면한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 해결을 위한 여러 가지 전제조건까지 다룬다.


□ 지속가능발전목표의 달성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이행현황 모니터링관련 정책의 성과 평가자원의 재분배 및 정책 조율 등의 활동이 요구된다이러한 이유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SDGs 모니터링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 SDSN(UN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에서는 SDGs 이행을 위한 전 세계의 활동을 평가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 한국은 27위로 100점 만점에 77.9점이며, SDGs 항목별로는 SDGs 6(Clean Water and Sanitation; 건강하고 안전한 물관리항목은 우수하나 SDGs 10(Reduced Inequalities; 모든 종류의 불평등 해소), SDGs 14(Life Below Water; 해양생태계 보전)와 SDGs 15(Life On Land; 육상생태계 보전등 불평등 감소해양 및 육상 생태계와 관련된 목표에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이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SDGs와 과학기술 분야는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데, SDGs 분야의 연구역량과 인프라를 기반으로 해당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활동들의 성과물은 과학기술문헌으로 산출된다.

- 과학기술문헌을 SDGs 17개 목표별 관련성을 토대로 분류하게 된다면국가별로 어떠한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적 성과들이 어디에 집중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고이를 통해 과학기술적 성과가 글로벌 사회문제 해결에 어떠한 방식으로 기여하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 현재 국내에서는 SDGs와 관련된 과학기술계의 모니터링 활동은 거의 포착되고 있지 않아, Digital Science에서 제공하는 과학기술 DB인 Dimension을 활용해 한국의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SDGs 대응 활동 현황을 분석했다.

- 전 세계의 SDGs 관련 논문 수는 7,310,347(22년 7월 기준)이며한국은 106,530건으로 1.46%의 비중을 차지하고논문 수 기준 세계 15위에 해당한다.

- SDGs관련 논문의 수가 가장 많은 국가는 미국이며중국영국인도독일호주캐나다일본이탈리아프랑스브라질스페인네덜란드러시아한국의 순서로 관련 논문을 많이 발표하고 있다.

- 17개 세부 분야별로 살펴보면, SDGs 1~17까지 비교적 균형 분포를 보인 국가는 미국영국캐나다네덜란드벨기에 등의 국가다.

나머지 국가의 경우특정 분야에 관련 논문이 집중적으로 분포돼 있는데중국과 일본은 SDGs 7과 SDGs 11인도는 SDGs 2, SDGs 6, 그리고 SDGs 12한국은 SDGs 7에 집중돼 있다.


□ 이외에도 KISTI 이슈브리프 제47호는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처하는 글로벌 활동과 한국의 활동을 비교하고과학기술문헌을 중심으로 한국의 현 위치와 개선 방향성에 대한 제언을 담고 있다.

- 또한세부적으로 한국이 집중하고 있는 SDGs 7(에너지의 친환경적 생산과 소비분야에 대한 논문의 연도별 추이주요 기관에너지 분야 공동연구의 특징토픽모델링을 통한 관련 연구의 핵심 키워드 분석 내용을 담고 있다.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
  • 담당자박성욱
  • 연락처042-869-1610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