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탈세계화 시대, 미래 전략기술 주도권 확보의 길 찾는다!

박성욱 2023-11-10 View. 43,580

탈세계화 시대, 미래 전략기술 주도권 확보의 길 찾는다!

- KISTI, 국내 최대의 과학기술·산업 컨퍼런스‘2023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개최 - 

- 국가전략기술(인공지능, 양자기술, 이차전지 등)의 미래 조망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 원장 김재수)은 10월 31일 COEX 4층 그랜드컨퍼런스룸에서 ‘2023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는 미래를 좌우할 핵심 유망기술을 발굴하고 그 기술들의 확보 및 기술사업화 방안을 논의하는 행사로, 매회 2,000명이 넘는 산·학·연·정 관계자가 참석하는 국내 최대의 과학기술·산업 컨퍼런스이다. 


□ 이번 행사의 주제는 「Embracing the future: 국가전략기술이 포용하는 미래」로, 심화되는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속에서 미래 전략기술 주도권을 확보할 방안을 찾는 데 초점을 맞췄다. 

 

  ○ 정부는 지난해부터 초격차, 대체불가 기술 확보를 위한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선정해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지난 9월에는 「국가전략기술육성특별법」도 시행에 들어갔다.


□ 국가전략기술 분야 최고 전문가들의 특강이 이어졌다. 드라마 ‘카이스트’ 속 괴짜 교수의 실제 모델로 알려진 이광형 KAIST 총장은 ‘AI 천하삼분지계(天下三分之計)’라는 기조연설을 통해 AI의 등장으로 인간의 가치와 사회의 의사결정 구조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설명하고, AI시대의 4대 시나리오를 제시함으로써, 구체적인 성공 전략을 발표했다.


  ○ 이건복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상무는 ‘생성형 AI를 통한 생산성의 변화’라는 강연을 통해 챗GPT 등 생성형 AI가 기업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어떻게 끌어올릴 수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설명했다.

  ○ 김동호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 상무보는 ‘Quantum Computing - Around the Corner’라는 강연을 통해 인류의 당면 난제들(에너지, 환경, 식량 등)을 해결할 솔루션으로 주목받는 양자컴퓨팅을 소개하고, 글로벌 양자컴퓨팅 기술·산업생태계 속에서 국내 기업들이 잡아야 할 기회를 제시했다.

  ○ 임우형 LG AI연구원 상무는 ‘AI를 통해 만들어가는 더 나은 세상’이라는 강연을 통해 인공지능이 실제 기업현장에서 R&D와 생산공정 고도화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설명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밝혔다.

  ○ 박재범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원료, 소재 및 폐배터리 재활용 이슈와 대응’이라는 강연을 통해 급변하는 글로벌 이차전지 밸류체인 속에서 국내 기업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생존전략을 제안한다.

  

□ KISTI 미래기술분석센터 김소영 팀장은 ‘AI가 예측한 미래 과학기술의 주요 주제와 글로벌 트렌드 분석’이라는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 KISTI는 선정된 기술들의 트렌드가 ‘특이점(singularity) 시대, 가속과 균형을 위한 기술’이라고 밝혔다. 특이점이란, 인공지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해 인간의 지능을 뛰어넘는 기점을 말한다. 

  ○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를 통해 매년 발표되는 ‘KISTI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에는 인간을 보완하는 소프트로봇 기술, 올-커넥티드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인공지능 반도체의 핵심인 뉴로모픽 소자 기술, 순환경제를 위한 배터리 업사이클링 기술 등이 포함됐다. (전체 목록 ☞ [첨부3]  2023 KISTI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 참조)


□ KISTI 기술사업화연구센터 변정은 팀장은 ‘국가전략기술 분야별 주목해야 할 글로벌 사업화 아이템’이라는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 금번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 주제에 맞춰 기술사업화연구센터가 연구개발한 wikipedia 데이터 기반 분석모델을 통해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별 글로벌 시장 트렌드에 부합하는 사업화 아이템을 발굴하여 발표하였다.

  ○ 전지 소재에서 구조로: 셀투팩,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합성 플랫폼 등 48개 아이템을 도출하고 최종적으로 글로벌 시장성을 평가하여‘국가전략기술 분야별 글로벌 사업화 아이템’12개를 도출하였다. (전체 목록 ☞ [첨부4]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별 글로벌 사업화 아이템 참조)

 

□ KISTI 김재수 원장은 “탈세계화, 전략기술 자국중심주의 확산, 생성형 인공지능의 돌풍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미래예측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국가전략기술 분야 최고 전문가들의 인사이트와 KISTI의 세계적인 미래예측기술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를 통해, 미래 기술주도권 확보의 길을 찾고자 한다.”고 밝혔다.

※ KISTI는 과학기술 데이터 종합연구기관으로써, 데이터와 인공지능에 기반한 ‘지능형 미래분석체계’를 구축하고 과학기술 전 분야에 대한 거시적인 예측에서부터 국가·사회의 다양한 미시적 이슈에 이르는 선도적인 미래예측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또한 ‘과학기술사업화 전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고품질 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의 분석모델 개발 및 적용을 통해 복잡하고 비선형적으로 이뤄지는 사업화 전 과정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있다.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대외협력실
  • 담당자박준수
  • 연락처042-869-0864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