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ISTI, 국내 주요 대학 및 연구기관의 과학기술 스코어보드 발표

박성욱 2023-12-28 View. 7,235

KISTI, 국내 주요 대학 및 연구기관의 과학기술 스코어보드 발표

- KISTI, 네덜란드 라이덴대학교와 공동연구 통한 DATA INSIGHT 제31호, 제32호 발간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글로벌R&D분석센터는 세계 주요 대학의 연구 수준 분석결과인  「라이덴 랭킹(CWTS Leiden Ranking)」을 주관하는 네덜란드 라이덴대학교 과학기술학연구소(CWTS)와 공동으로 국내 주요 2백개 대학 및 연구기관의 「과학기술 스코어보드」 공개

○ 기존 글로벌 랭킹 분석에는 한국의 경우 규모가 큰 50개 정도의 대학만 포함되었으나 이번 과학기술 스코어보드에는 분석 대상 범위를 2백 개 대학과 연구기관으로 대폭 확대하였음. 논문 수준, 국제협력, 오픈액세스, 여성저자 비율 등의 주요 학술데이터 기반 지표를 통해 국내 주요 연구기관들의 전반적 분포와 상대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 향후 관련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한편, G20국가를 대상으로 한 과학기술 스코어보드도 함께 발표. 한국의 경우 2018~2021년 기준, 전체 논문 수는 G20 국가 중 9위를 기록하였으나, 피인용 상위 10% 논문 수는 12위, 피인용 상위 10% 비율은 13위로 나타나 향후 논문의 규모 확대보다는 질적 개선 노력이 필요


□ 발간 배경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국내 주요 대학 및 연구기관의 글로벌 경쟁력에 대한 종합 분석과 G20 국가에서 한국 과학기술의 객관적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 기관의 과학기술 스코어보드」와 「G20 국가의 과학기술 스코어보드」 보고서를 발간하고 관련 정보를 웹사이트에 공개하였다.(첨부 1, 첨부 2)

      ※ 보고서 다운로드: https://www.kisti.re.kr/post/data-insight 

      ※ 스코어보드 웹사이트: http://dap.kisti.re.kr/globalrnd (첨부 3)


  ○ 이번 국내 주요 기관 및 G20 국가의 과학기술 스코어보드는 라이덴랭킹(CWTS Leiden Ranking)을 발표하는 네덜란드 라이덴대학교 과학기술학연구소(CWTS)와 KISTI 글로벌R&D분석센터가 한국의 주요 대학 및 연구기관 표준화 작업에 대한 공동연구를 통해 기존 라이덴랭킹과 동일한 계산 방식을 적용하여 구축하였다.

      ※ 2023년 라이덴랭킹에서 한국 기관은 51개 대학이었으나, 본 스코어보드에서는 국내 122개 대학과 59개 연구소 등 196개 기관으로 확대


  ○ 학술논문의 수준분석 이외에도 국제협력, 산학협력, 오픈액세스, 여성저자 비율 등 다양한 지표를 통해 단순 순위 비교나 서열화를 넘어 학술데이터 기반으로 과학기술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련 기관들의 중장기 전략 수립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 과학기술 스코어보드의 다양한 지표 분석을 통해 개별 기관의 현재 수준 및 상대적 위치를 객관적으로 분석


○ 다음 그림은 스코어보드의 여러 지표를 선택․결합하여 기관들의 분포와 위치를 신속히 파악하는 일부 사례를 보여준다.


□ 과학기술 스코어보드에서는 전체 통합 또는 5대 학문 분야를 구분하여 4대 지표(과학적 영향력, 협력, 오픈액세스, 젠더)와 하위 세부 지표별로 최소 논문 수 30편 이상 기관을 대상으로 자유롭게 기관별 비교 가능


  ○ (예시) 다음 그림은 사용자가 ‘수학 및 컴퓨터과학’ 분야 2018~2021년 500편 이상 기관을 대상으로 여러 지표별로 상위 기관 목록을 출력한 결과임.


□ G20 국가를 대상으로 한 과학기술 스코어보드 분석 결과, 한국은 규모 증가에 대응하여 질적 부문의 지표 개선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 우리나라는 2018~2021년 기준, 전체 논문 수는 G20 국가 중 9위를 기록하였으나, 피인용 상위 10% 논문 수는 12위, 피인용 상위 10% 비율은 13위로 양적 성과보다는 향후 질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2006~2009년 기준과 견주어 논문 수는 11위에서 9위로 상승하였으나 2개의 질적 지표 순위는 변화 없음.


 ○ 한편, 2018~2021년 기준 전체 논문 중에서 국제협력 논문이 차지하는 비율은 한국은 33.4%로 G20 국가 중에서 17위에 머물렀으며, 국제협력 비율 대비 상위 10% 논문 비율의 국가별 분포는 다음 그림과 같음.


□ KISTI-CWTS 과학기술 스코어보드는 국내 주요 200대 대학 및 연구기관, G20 국가들을 대상으로 과학기술 활동의 다양한 측면들을 파악할 수 있는 학술데이터 기반의 지표들을 체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기관들의 현재 위치를 명확히 파악하고 향후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KISTI 글로벌R&D분석센터 서주환 책임연구원은 “그동안 해외 대학 평가에는 국내의 규모가 큰 소수 대학만이 포함되어 있어서 우리나라 대다수의 대학과 연구기관은 자신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며 본 데이터인사이트가 많은 기관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글로벌R&D분석센터 안세정 책임연구원은 “논문의 수준뿐만 아니라 산학협력, 국제협력, 젠더분석 등 다양한 지표 개발과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체계적인 R&D 추진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KISTI는 향후에도 글로벌 선도연구기관과 실질적인 연구협력을 통해 재현가능하고 상시적인 글로벌 R&D 모니터링 분석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
  • 담당자박성욱
  • 연락처042-869-1610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