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이슈대응형 융합서비스 ScienceON TREND 고도화 실시
- 최신 과학기술 트렌드를 더욱 편리하고 폭넓게 파악할 수 있어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ScienceON*(이하, ScienceON)의 11월 전면 개편을 맞아, 이슈 대응형 융합서비스 ScienceON TREND를 고도화해 선보인다고 밝혔다.
*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ScienceON(https://scienceon.kisti.re.kr)은 국내외 논문, 특허, 국가R&D 보고서 등의 과학기술정보와 연구데이터, 정보분석 서비스 및 연구인프라를 연계·융합하여 한 곳에서 제공하는 개방형 협업 연구환경 플랫폼이다.
⭘ ScienceON TREND는 최신 과학기술 트렌드와 토픽에 대해 ScienceON 연관 콘텐츠와 내외부 지식인프라 콘텐츠를 한 번에 패키징 형태로 묶어 볼 수 있는 서비스다. ScienceON을 대표하는 서비스로서 이번 개편을 맞아 핵심 서비스로 재편하며 홈페이지 메인 전면으로 내세웠다.
⭘ ScienceON TREND는 최신 토픽에 대한 키워드 정의와 키워드 클라우드를 시작으로 시간 흐름에 따른 관심도 변화, 요약 정보, 주요 출원인과 연구자, 웹 뉴스 및 학술정보 등 관련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 ScienceON TREND는 과학기술 트렌드 및 이슈 정보에 대한 이용자들의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처음 기획됐다.
⭘ ’21년 서비스 출시를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22년 이슈탐지 기술을 적용해 신뢰성 있는 주제를 발굴하는 서비스를 개발했다. 여기에 올해 자동 패키징 기술, API 및 메일링 서비스를 적용하며 한 단계 더 진화한 서비스로 완성됐다.
⭘ 이번 적용된 자동 패키징 기술은 ScienceON 이용 데이터, ChatGPT, 구글 뉴스 RSS를 활용해 이슈 및 연관 키워드, 뉴스를 추출하고 묶어내는 클러스터링 기능을 구현한다.
⭘ 또한 정책입안자와 부처 담당자가 더 쉽게 과학기술 이슈를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KISTI의 데이터 플랫폼과 구글 트렌드를 연계해 국내외 최신 뉴스 키워드와 검색량 정보를 제공한다.
□ 특히 서비스 활용 확산 및 이용 편의성에 초점을 맞춘 ScienceON 개편 방향에 맞춰 ScienceON Trend 또한 기능성에 편리함까지 더했다.
⭘ 우선, ScienceON TREND를 외부에서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API를 제공하며, 통합검색 시 이용자가 검색한 키워드와 연관성 높은 트렌드와 정보를 자동으로 추천해 준다.
⭘ 나아가, 새로운 ScienceON TREND 키워드 등록 시, 회원 정보에 등록된 이메일로 알림 메일을 수신할 수 있는 기능도 적용했다.
□ 실제로 부산광역시청에서는 하천 및 하수 관련 시설물의 유지 관리 시 홍수 위험 관리 계획 수립 시 ScienceON TREND를 활용했다.
⭘ ScienceON TREND를 이용해 홍수와 관련한 위험 요소, 예방법, 기술 용어를 쉽게 이해하고, 해당 키워드와 연결된 외부 콘텐츠 탐색을 통해 타 기관의 연구자료와 언론 기사를 한 번에 파악하는 데 도움을 받았다고 말했다. 해당 내용은 “2021-2023 활용 사례”에 수록될 예정이다.
□ KISTI 융합서비스센터 유수현 센터장은 “ScienceON TREND는 과학기술 트렌드나 토픽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체계적인 과학기술 정보를 제공해 종합적인 이해까지 도울 수 있다.”며, “ScienceON TREND를 활용해 연구활동, 정책 기획 및 입안 등 이용자들의 활용 목적에 따라 빠른 의사결정과 대응에 도움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