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ISTI, ‘휴먼 디지털 트윈: 인체 연구에 대한 효과적 대체제’이슈브리프 발간

박성욱 2023-12-28 View. 12,105

KISTI, ‘휴먼 디지털 트윈: 인체 연구에 대한 효과적 대체제’이슈브리프 발간

- 의료 분야를 대상으로 국내외 휴먼 디지털 트윈 기술의 현황 및 활용 사례, 발전 방향을 논의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인체 연구를 위한 효과적 대체제로서의 휴먼 디지털 트윈에 대하여 『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하였다.


□휴먼 디지털 트윈은 컴퓨터상의 가상 공간에서 인체 정보를 이용하여 인체를 재현함으로써, 실제 사람을 대상으로 수행할 수 없는 여러 예측, 실습, 평가 등을 안전하고, 저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인체에 대한 효과적 대체제로 인식되고 있다. 


□ 예를 들어 의학 분야에서는 수술 시뮬레이션이나 인공 관절 수술에 있어 사람의 장기와 보다 유사한 모형을 통해 정밀 의료를 실현할 수 있다. 최근 정밀 의료 실현을 위해 의료진의 실습 필요성의 증대 및 치료 결과의 사전 예측성이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에 따라 휴먼 디지털 트윈은 헬스케어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핵심 기술로서 각광받고 있다. 


□ 휴먼 디지털 트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1) 인체를 구성하는 골격, 장기와 같은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형태적 정보, 2) 각 구성요소에 대한 물성등의 속성 정보, 3) 형태와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실세계의 상황이나 과정등을 인체 역학 등을 통해 유효성 있게 재현하기 위한 모사 과정이 필요하다. 


□ 이에 KISTI는 CT, MR과 같은 의료 영상 이미지로부터 자동화된 구획화를 통해 영상으로부터 3D 근골격계를 구축하고, 대학 병원들과의 협업을 통해 시신 및 환자를 대상으로 관절 움직임 정보를 확보하여 인체의 움직임을 모사할 수 있도록 ‘휴먼 디지털 트윈 기술 연구 ·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 KISTI 최광남 국가과학기술데이터본부장은 “KISTI의 슈퍼컴퓨팅 전산 자원과 누적된 데이터 활용 기술을 이용하여 휴먼 디지털 트윈 기술 개발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인체 3D 모형을 제공함과 동시에 의료 정보 자원의 학술적 활용도를 높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한편, KISTI는 2000년부터 비저블 코리안과 디지털 코리안 사업을 통해 한국인 시신에 대한 CT, MR 및 절단면 표본과 같은 인체 기초 데이터와 3차원 평균 모델을 개발, 구축한 바 있으며, 2027년까지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3D 인체 모형을 개발할 계획에 있다.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
  • 담당자박성욱
  • 연락처042-869-1610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