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형 AI 통합검색 서비스, ScienceON AI(SAI) 출시
- AI 기반 대화형 검색으로 연구의 효율성 강화 -
- 1.8억 건의 과학기술 학술정보 기반
-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을 활용해 신뢰성 높은 답변 제공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은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ScienceON*(이하 ScienceON)이 대화형 AI 통합검색 서비스 ScienceON AI(이하 SAI)를 9일 출시했다고 밝혔다.
*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ScienceON(https://scienceon.kisti.re.kr)은 국내외 논문, 특허, 국가R&D 보고서 등의 과학기술정보와 연구데이터, 정보분석 서비스 및 연구인프라를 연계·융합하여 한 곳에서 제공하는 개방형 협업 연구환경 플랫폼이다.
□ SAI는 통합검색 기능에 생성형 AI를 접목해 AI와의 대화를 통해 연구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나가는 서비스다.
○ 이용자가 단어나 문장 형태의 질문을 입력하면, AI가 질문을 이해하고 관련된 논문, 특허, 보고서, 동향 등 ScienceON이 보유하고 있는 과학기술정보를 분석해 적절한 답변을 제공한다.
○ 답변 생성을 위해 참고한 정보를 표기하여 답변의 신뢰성을 한층 높였다.
○ 이용자가 질문한 내용에 대한 답변뿐만 아니라, 추천 질문과 검색어를 제시해 이용자가 더 넓은 범위에서 정보를 탐색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이를 통해 이용자는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 기존 키워드 기반 검색은 검색 결과가 이용자의 목적에 적합한 정보인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해 이용자의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 반면 SAI는 ScienceON이 보유하고 있는 1억 8천만 건의 과학기술정보 속에서 적합한 콘텐츠를 찾고 이를 조합해 종합적인 답변을 제공하여 이용자 수고를 줄이고 연구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인다.
○ 또한, KISTI 자체 개발 생성형 언어 모델 고니(KONI)와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을 적용해 생성형 AI에서 발생하는 환각 현상을 최소화하고 연구의 정확성을 강화한다.
□ KISTI 융합서비스센터 유수현 센터장은 “ScienceON이 보유하고 있는 과학기술정보 기반의 대화형 AI 통합검색으로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고 나아가 연구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라며,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SAI가 이용자들에게 최적화된 연구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