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ISTI, ‘디지털바이오 혁신을 이끄는 AI 기반 바이오 데이터분석 플랫폼’ 이슈브리프 발간

박준수 2025-07-04 View. 84,617 https://www.kisti.re.kr/post/issuebrief/6717

KISTI, ‘디지털바이오 혁신을 이끄는 AI 기반

바이오 데이터분석 플랫폼’ 이슈브리프 발간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은 AI 기반 바이오 데이터분석 플랫폼의 중요성과 발전 방향을 주제로 한 KISTI 이슈브리프 제83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 바이오 분야는 인공지능(AI), 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연구개발의 불확실성, 오랜 연구기간, 고비용이라는 기존 한계를 극복하며, 전 세계적으로 연구 및 산업의 생산성을 크게 높이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바이오는 다양한 산업에 파급력을 지닌 핵심 기술 분야로 부상하고 있다.


□ KISTI는 국가 차원의 바이오 연구 활성화를 위해 인공지능(AI)과 고성능 컴퓨팅(HPC) 기반의 디지털 바이오 전략을 수립하고, 현재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K-BDS) ▲통합 바이오 데이터분석‧활용 시너지 플랫폼 개발 ▲AI 기반 질환 데이터분석 개방형 플랫폼 구축 등 다양한 디지털바이오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 이번 이슈브리프에서는 KISTI가 구축 중인 ‘AI 기반 질환 데이터분석 개방형 플랫폼’을 소개한다. 이 플랫폼은 바이오 데이터와 AI 모델을 기반으로, 질병 예측, 진단, 치료제 개발 등 다양한 기술 개발을 위해 국내외 기관, 연구소, 병원, 개인 연구자들 간 공동연구가 가능한 통합 연구 환경을 제공한다.


□ 본 플랫폼은 대사질환, 난치암, 치매, 천연물 신약 등 주요 바이오 데이터를 중심으로 특화된 AI 모델 개발과 맞춤형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사전 학습된 AI 모델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클라우드 환경에서 누구나 손쉽게 고성능 연산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효율적인 데이터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연구자가 언제든지 접속해 활용할 수 있는 학습 데이터와 AI 모델 저장소를 갖추고 있어, AI 모델 개발의 생산성과 접근성을 높였다.


□ 이를 통해 최적의 분석기술을 개발하고 새로운 연구 및 사업 영역을 발굴할 수 있으며, 희귀‧난치 질환과 같은 난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 다만, 플랫폼의 범용적 활용을 위해서는 연구자 유인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과 이해관계자 간 협업을 지원하는 도구 개발 등 지속 가능한 연구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아울러, 연구 결과물과 원시데이터 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 수립과 함께 플랫폼 구축 이후에도 바이오 데이터의 체계적 관리, 시스템 안정성 확보, 연구 성과 확산을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요구된다.


□ KISTI 이식 원장은 “AI 기반 바이오 데이터분석 플랫폼은 누구나 AI 분석기술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연구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바이오 연구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끄는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KISTI는 바이오 데이터와 AI 기술이 융합된 새로운 연구 생태계를 조성해 바이오 선도 국가로의 도약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이슈브리프 바로가기: https://www.kisti.re.kr/post/issuebrief/6717


KISTI ISSUE BRIEF 제83호(본문참조)

KISTI, AI와 HPC 기반으로 R&D 혁신을 선도하다

한구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 ISSUE BRIEF

『KISTI ISSUE BRIEF』는 국가 과학기술 정보 분야 대표기관인 KISTI가 최근의 과학기술 정보 관련 현안·이슈를 발굴·분석하여 시사점 및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발간합니다.

이상정·김현우·이용호·이준학·유화선·이지민·곽영

디지털바이오 혁신을 이끄는 AI 기반 바이오 데이터분석 플랫폼

제83호 2025.7.4.

  • 목차
    • 1. AI 기반 바이오 데이터붓넉 플랫폼 구축 배경
      • AI-HPC-데이터 기반 디지털바이오 연구
      • 바이오 데이터분석 플랫폼 개요
      • 바이오 데이터분석 플랫폼 구축 필요성
    • 2. 국내외 AI 기반 바이오 분야 플랫폼 구축 사례
      • 해외 바이오 플랫폼 구축 사례
      • 국내 바이오 플랫폼 구축 사례
    • 3. AI 기반 바이오 데이터분석 플랫폼 구축 방향
      • 바이오 데이터분석 플랫폼 특징 및 주요기능
      • 바이오 데이터분석 플랫폼 활용 시나리오
      • 바이오 데이터분석 플랫폼 고도화 계획
    • 4. 시사점 및 제언
      • 디지털 바이오 R&D의 패러다임 전환
      • 정책적 제언
  • 요약
    • AI 기반 바이오 데이터분석 플랫폼은 고품질 바이오 데이터와 AI 모델을 기반으로 질병 에측, 진단, 치료제 개발 등 다양한 기술개발을 위해 국내·외 기관, 연구소, 병원, 개인 연구자들 간 공동 연구 수행이 가능한 연구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전 학습된 AI 모델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클라우드 환경에서 누구나 쉽게 고성능 연산 지원을 활용하여 데이터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사전학습 AI 모델을 활용하여 질병의 감별 진단, 중증도 예측, 약물 반응, 치료제 개발, 합병증 예측 등 다양한 응용 AI 모델 개발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최적의 분석기술을 개발하고 새로운 사업 영역을 발굴하며, 희귀·난치 질환의 난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 해외 주요국들은 첨단 바이오 분야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AI 기반 바이오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첨단바이오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플랫폼 활용 활성화를 위한 연구자 유인책을 마련하고, 이핵돤계자들 간의 협업 연구를 지원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등 지속적인 연구 추진이 가능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연구 결과물과 원시 데이터 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야 하며, 플랫폼 구축 이후에도 체계적인 바이오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안정적 운영 및 연구 성과 확산을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요구된다.

https://www.kisti.re.kr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대외협력실
  • 담당자박준수
  • 연락처042-869-0864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