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ISTI, 데이터기반 디지털 바이오 선도사업 성과교류회 성료

박준수 2025-09-22 View. 37,935

KISTI, 데이터기반 디지털 바이오 선도사업 성과교류회 성료


- 데이터·AI 융합으로 K-BIO 연구 생태계 확산

- 산·학·연·의료계 전문가 150여 명 한자리에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은 9월 19일(금)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강남에서 「데이터기반 디지털 바이오 선도사업 성과교류회」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 이번 교류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최하고, KISTI·연세대학교·서울대학교병원·한국과학기술원이 공동 주관했다. 행사에는 연구계, 의료계, 산업계 관계자 등 150여 명이 참석해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미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 ‘데이터기반 디지털 바이오 선도사업’은 바이오와 디지털 기술을 융합해 난제 해결에 기여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2023년부터 시작해 2027년까지 5년간 추진되고 있다.


□ 교류회 전반부에서는 지난 3년간 추진된 4대 중점 연구 분야(①난치암, ②대사질환, ③치매, ④천연물 신약)의 성과가 발표됐다. 이들 분야에서는 대규모 바이오·임상 빅데이터를 수집·축적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전학습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했으며, 개방형 분석 플랫폼을 구축해 디지털 바이오 분야 연구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체계를 마련해왔다.


□ 교류회 후반부에는 네이버클라우드, 루닛, 고려대학교, 가천대학교, 이노원 소속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한 패널 토론이 이어졌다. 패널들은 ▲AI기반 헬스케어 산업활성화를 위한 제언 ▲의료 현장 적용을 위한 AI바이오 발전 방향 ▲미래 AI바이오 개발 발전 방향 ▲AI바이오 활성화를 위한 바이오 데이터 수집 활용 방안 등을 심도 있게 논의하며 협력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 KISTI 이준학 디지털바이오컴퓨팅연구단장은 “AI와 바이오 데이터의 융합은 K-BIO 혁신의 핵심 동력”이라며, “이번 교류회를 계기로 연구계와 산업계가 힘을 모아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데이터기반 디지털 바이오 연구 생태계 조성(본문참조)

데이터기반 디지털 바이오 연구 생태계 조성

  • 데이터 활용과제 (3개질환 + 천연물 신약) 범 난치암(연새대), 대사질환(서울대학교병원), 치매(한국과학기술원), 천연물신약(한국과학기술원)
    • 고퀄리티의 바이오 데이터 수집 및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 진단/예측/신약 개발을 위한 사전학습 인공지능 모델 구축
    • 진단/예측/신약 개발을 위한 응용 인공지능 모델 구축
    • 구축된 사전학습/응용 인공지능 모델 검증 및 실험 검증
  • 데이터/AI 모델 제공 → / 플랫폼/인프라 지원 ←
  • AI기반 개방형 분석 플랫폼 개발 총괄지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사전/응용 인공지능 모델 구축을 위한 플랫폼 및 인프라 구축
    • 데이터 등록/활용 및 인프라 연계를 통한 지속관리
    • 기술위원회/자문위원회/성과교류회 개최
    • 임상데이터 표준화 및 품질관리 지원, 임상데이터 수집 방안 및 전략 기획

데이터기반 디지털 바이오 선도 기술을 발굴하기 위한 데이터 연구 플랫폼 제공 및 연구 지원

데이터 기반 활용연구로 공유데이터의 부가가치 제고와 데이터 공유 선순환을 선도하고, 가치의 예측, 진단, 치료제 선도 기술 발굴

데이터기반 디지털 바이오 선도사업 성과교류회 단체사진

데이터기반 디지털 바이오 선도사업 성과교류회 현장사진

데이터활용과제-난치암(본문참조)

데이터활용과제-대사질환(본문참조)

데이터활용과제-치매(본문참조)

데이터활용과제-천연물신약(본문참조)

총괄지원(본문참조)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대외협력실
  • 담당자박준수
  • 연락처042-869-0864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