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파일(5)
 2025-48 [붙임-2] ‘제3회 Next Mobility Readiness 교육’ 현장 사진.jpg
							
								
							
							
								  
								
									 바로보기
									2025-48 [붙임-2] ‘제3회 Next Mobility Readiness 교육’ 현장 사진.jpg
							
								
							
							
								  
								
									 바로보기
								
								
							 2025-48 KISTI, UAM-AAV 핵심부품 신뢰성·안전성 확보 위한 CBM  실무 교육 성료.pdf
							
								
							
							
								  
								
									 바로보기
									2025-48 KISTI, UAM-AAV 핵심부품 신뢰성·안전성 확보 위한 CBM  실무 교육 성료.pdf
							
								
							
							
								  
								
									 바로보기
								
								
							 2025-48 [붙임-1] ‘제3회 Next Mobility Readiness 교육’ 현장 사진.jpg
							
								
							
							
								  
								
									 바로보기
									2025-48 [붙임-1] ‘제3회 Next Mobility Readiness 교육’ 현장 사진.jpg
							
								
							
							
								  
								
									 바로보기
								
								
							 2025-48 KISTI, UAM-AAV 핵심부품 신뢰성·안전성 확보 위한 CBM  실무 교육 성료.hwp
							
								
							
							
								  
								
									 바로보기
									2025-48 KISTI, UAM-AAV 핵심부품 신뢰성·안전성 확보 위한 CBM  실무 교육 성료.hwp
							
								
							
							
								  
								
									 바로보기
								
								
							 2025-48 KISTI, UAM-AAV 핵심부품 신뢰성·안전성 확보 위한 CBM  실무 교육 성료.hwpx
									2025-48 KISTI, UAM-AAV 핵심부품 신뢰성·안전성 확보 위한 CBM  실무 교육 성료.hwpx
							
								
							
								
							KISTI, UAM-AAV 핵심부품 신뢰성·안전성 확보 위한 
CBM+ 실무 교육 성료
- 산·학·연 40여 명 한자리에… CBM+ 교육 전략과 실증 사례 논의
- AAM-AI 융합 전략, 실환경 무인기 성능 검증 등 실무 중심 강연 진행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은 10월 31일(금) KISTI 대전본원 컨퍼런스룸에서 ‘제3회 Next Mobility Readiness 교육’을 개최하고, UAM-AAV 분야의 신뢰성·안전성 확보를 위한 CBM+ 데이터 기반 전략과 핵심 기술·사례를 공유했다고 밝혔다.
□ KISTI는 우주항공청이 주관하고, 충청남도와 서산시가 지원하는 ‘그린 UAM-AAV 핵심부품 시험평가 기반구축’ 사업에 한국자동차연구원(주관기관), 충남테크노파크, 한서대학교와 함께 참여 중이며, 동 사업의 일환으로 2028년까지 정기교육을 이어가고 있다.
□ 이번 교육에서는 ▲AAM 현황 및 AI 융합 전략(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임채덕 본부장) ▲CBM+ 기반 실환경 무인 비행체 성능 검증 평가(한화에어로스페이스 김민석 과장) ▲미래 모빌리티의 CBM+ 플랫폼 개발을 위한 PHM 이론 및 연구—사례 중심(건국대학교 김남수 교수) 등 실무 중심 강연이 진행됐다. KISTI는 지난 7월에 열린 제2회 교육의 결과를 공유하며 축적된 인사이트를 소개했다.
□ KISTI는 이번 교육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의 신뢰성·안전성 확보를 위한 CBM+ 데이터 기반 기술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특히 설계 및 개발 초기 단계부터 신뢰성을 확보하는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참가자들과 공유했다.
□ 과제책임자인 KISTI 김진영 선임은 “미래 모빌리티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선 설계 초기 단계부터 데이터 기반 CBM+ 체계를 내재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산·학·연과 함께 표준 기반 데이터플랫폼과 현장검증체계를 고도화해 국내 UAM-AAV 생태계의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 KISTI는 앞으로도 UAM-AAV 핵심부품의 신뢰성·안전성 확보를 위한 데이터 기반 교육·세미나를 정례화해, 국내 산업계와 연구계의 기술역량 강화 및 표준 기반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계획이다.
☞ 용어설명
• UAM(Urban Air Mobility): 도심항공교통
• AAV(Advanced Air Vehicle): 미래항공기체
• CBM+(Condition Based Maintenance Plus): 상태기반예측정비
• AAM(Advanced Air Mobility): 미래항공교통
• PHM(Prognostics and Health Management): 예지 및 건전성 관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