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파일(4)
KISTI, '2025 미래연구정보포럼' 개최…
AI 에이전트 시대 청사진 제시
- 스스로 판단하고 실행하는 AI 에이전트, 과학기술 혁신의 새 파트너로
- 기술 트렌드부터 법·제도까지… AI 선도국 도약 위한 심층 토론장 마련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은 12월 3일(수) 서울 과학기술컨벤션센터 국제회의실에서 '2025 미래연구정보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올해로 14회를 맞는 이번 포럼은 '과학기술 혁신 파트너, AI 에이전트'를 주제로, 글로벌 과학기술·산업의 첨단 패러다임을 심층 논의하고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 AI 에이전트란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한 채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데이터를 분석해 판단하며, 실행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지능형 시스템이다. 마치 비서나 파트너처럼 사용자를 돕는 역할을 한다.
○ 포럼을 주최하는 KISTI는 AI 고도화의 핵심 기반인 슈퍼컴퓨터·양자컴퓨터 등 첨단 컴퓨팅 기술과 AI 학습에 필수적인 데이터 연구를 선도해온 기관이다.
□ 포럼은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4개 트랙에서 총 12개 강연이 이어진다. 트랙별로 연사와 참석자가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는 심층 소통의 장도 마련된다. AI 에이전트 선도국 도약을 위한 과학기술 과제부터 비즈니스 혁신, 윤리와 안전, 법·제도 정비까지 전방위적 의제가 다뤄진다.
○ 기조강연은 한화생명 김준석 AI실장이 맡는다. 국내 최고의 AI 전문가인 김 실장은 '금융 비즈니스 혁신을 통해 보는 AI 에이전트의 역할과 미래'를 주제로, 복잡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AI 에이전트가 어떻게 혁신을 일으키는지 사례와 함께 제시한다.
○ 트랙 1(AI 에이전트 트렌드)에서는 AI 에이전트 기술의 현주소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미래 발전 가능성을 조망한다.
○ 트랙 2(AI 에이전트 × 큐레이션)에서는 AI 에이전트를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게 구축·운영하기 위한 핵심 기술을 다룬다.
○ 트랙 3(AI 에이전트 × 플랫폼)에서는 AI 에이전트 도입과 활용을 위한 법적·기술적·보안적 과제를 논의한다.
○ 트랙 4(AI 에이전트 × 서비스)에서는 AI 에이전트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며 제공하는 경험·서비스의 설계 방향을 제시한다.
□ 포럼에서는 '2025 DATA·AI 분석 경진대회' 시상식도 진행된다. KISTI가 매년 개최하는 DATA·AI 분석 경진대회는 AI와 데이터를 활용해 국가·사회의 도전적 문제를 발굴하고 그 솔루션을 찾는 공모전이다. 고령화, 재난·재해 등 사회 난제를 해결할 실질적인 AI 모델 확보를 목표로 한다.
□ KISTI 이식 원장은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며 실행하는 맞춤형 AI 에이전트 기술이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며, “이번 포럼을 통해 AI 에이전트 관련 핵심 의제를 집중 논의하고, 'AI 3대 강국' 실현을 앞당기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