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부산 지역 산·학·연 “제조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을 위한 업무협력 협약” 체결
KISTI, 부산 지역 산·학·연 “제조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을 위한 업무협력 협약” 체결 - KISTI–㈜코렌스이엠–부경대–팀리부뜨, 16일 오전 협약 체결 - - 지역 제조 산업 분야의 생성형 AI 기술 적용과 혁신 기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 부산울산경남지원, ㈜코렌스이엠, 부경대학교, 팀리부뜨는 제조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을 위한 산학연 협력 MOU를 체결하고 지역 제조 혁신을 선도할 R&D를 공동 수행할 것이라고 16일 밝혔다. - 이번 협약은 제조 산업 분야에서 AI 기술의 적용과 혁신이 필요한 시점에, 해당 기관들의 전문성과 인프라를 결합해 실질적인 AI 기반 제조 솔루션 개발과 적용을 목표로 추진됐으며, 각 기관들은 지역 제조업의 최신 AI 기술 활용 방안에 대해 다각적으로 논의했다. - 본 협약에 참여한 ㈜코렌스이엠은 전기차 모빌리티 전문기업으로 부산 강서구 국제산업물류도시에 약 9만평 규모의 파워트레인 제조공장과 1,450억 규모의 연구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역에서 200여명의 고용을 창출하고 있는 미래자동차부품 제조기업이다. - 팀리부뜨는 부경대학교(이하, 부경대) 교원창업 기업으로 대용량 언어모델 기반의 비즈니스 지원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 KISTI와 부경대는 부산 지역의 대표적인 산학연 DX(디지털전환) 수요-공급 협력 모델을 구축하고 필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위 두 기업과의 협약을 추진했다. □ 협약의 주요 내용은 생성형 AI 및 과학기술정보 분야의 연구자원 활용 및 공동연구 활성화, 지식정보 공유 및 공동 연구개발사업 발굴·추진, 데이터 및 인공지능 분야 전문 인력 양성 등이다. - 조형근 ㈜코렌스이엠 대표이사는 "이번 협력은 제조 분야의 AI혁신을 가속화하고,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이라며 "이번 협력으로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 이번 협약은 2023년 11월부터 2026년 11월까지인 3년간의 AI 산업 분야 협력 프로젝트 발굴 및 공동사업 추진을 기획하고 수행하는 것을 중점으로 한다. - 이날 협약식에 참석한 각 기관의 대표와 관계자들은 지역 제조 산업의 AI 적용 가능성과 발전 방향에 대해 현실적인 의견들을 제시했으며, 이번 협력이 제조업의 디지털 혁신을 위한 새로운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는 의견을 모았다.슈퍼컴퓨터 Top500 발표, 한국 슈퍼컴퓨터 보유대수 기준 세계 7위, 성능 기준 세계 9위
슈퍼컴퓨터 Top500 발표, 한국 슈퍼컴퓨터 보유대수 기준 세계 7위, 성능 기준 세계 9위 -KISTI, SC2023 참가로 세계 최고 연구기관들과 슈퍼컴퓨팅 협력 강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에 위치한 콜로라도 컨벤션센터에서 11월 12일(현지시간)부터 17일까지 개최되는 슈퍼컴퓨팅 컨퍼런스(이하 SC23)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11월 13일(현지시간) 발표된 전 세계 슈퍼컴퓨터 순위인 Top500*에서 미국 오크리지 국립연구소(ORNL,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의 ‘프론티어(Frontier)’가 1위를 차지했다. * 슈퍼컴퓨팅 분야 컨퍼런스는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 각각 독일과 미국에서 두 차례 개최되며 1초에 몇 번 연산하는지를 기준으로 한 Top 500을 선정해 발표한다. 2022년 6월부터 1위를 지키고 있는 프론티어의 실측성능은 1.194엑사플롭스(EF)로 1초에 119.4경번 연산이 가능하다. 2위와 3위 또한 미국으로 올해 새롭게 등장한 아르곤 국립연구소(Argonne National Laboratory)의‘오로라(Aurora)’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의 ‘이글(Eagle)’이 뒤를 이었다. 10위 내에 4대(미국 3대, 스페인 1대)의 새로운 슈퍼컴퓨터가 등장한 가운데 지난 6월 2위와, 3위를 달성한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와 후지쯔(Fujitsu)가 공동 개발한 ‘후가쿠(Fugaku)’, 핀란드 과학IT센터(CSC)의 ‘루미(LUMI)’는 4위와 5위로 각각 두 단계씩 순위가 내려갔다. (첨부 1 참조) Top500 순위 중 성능 면에서는 미국이 53.0%, 일본이 9.5%, 중국이 5.8%를 차지해 이들 국가가 전체 68.3%를 차지했으며, 수량에서는 미국이 161대(32.2%), 중국이 104대(20.8%), 독일이 36대(7.2%)를 기록했다. 우리나라의 슈퍼컴퓨터는 국가별 보유 대수 순위에서 총 12대로 이탈리아와 함께 공동 7위, 성능 기준으로는 총합 151.3페타플롭스(PFlops)로 9위를 기록했다. 우리나라는 이번에 세종(Naver, 22위), DAIDC(-, 126위), CUBOX의 슈퍼컴퓨터 HPE Cray XD6500(CUBOX, 156위), Olaf(IBS, 496위)가 Top500 리스트에 새롭게 등재되었고, 기존 등재되어 있던 삼성종합기술원의 SSC-21(28위)과 SSC-21 Scalable Module(429위), 기상청의 구루(GURU)(47위)와 마루(MARU)(48위), SKT의 타이탄(Titan)(59위), KT의 KT DGX SuperPOD(72위), 광주과학기술원(GIST)의 Dream-AI(244위)의 순위가 각각 변동되었다. KISTI의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의 연산 속도는 25.7페타플롭스(PFlops)로 61위에 기록됐다. KISTI는 이번 SC23에서 전시부스를 운영해 KISTI의 슈퍼컴퓨팅 서비스 및 다양한 연구개발 성과를 발표함으로써 해외 기업 및 연구소 등 세계 최고의 연구기관들과 연구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분야별 초고성능컴퓨팅센터로 지정된 기초과학연구원(IBS), 광주과학기술원(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과 함께 참여하며 국가 초고성능컴퓨팅 차원에서의 인프라, 연구개발, 활용성과 등을 해외에 알리고 있다. KISTI 국가슈퍼컴퓨팅본부 이식 본부장은“KISTI는 앞으로도 세계 정상급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연구자들에게 제공하고, 연구자원의 활용과 관련된 응용연구 확대로 우리나라의 슈퍼컴퓨팅 역량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KISTI, 차세대 논문 투고 시스템(ACOMS+)데이터 이관 완료 및 신규 서비스 시작
KISTI, 차세대 논문 투고 시스템(ACOMS+)데이터 이관 완료 및 신규 서비스 시작 - 오픈사이언스 및 오픈액세스 환경을 고려한 차세대 논문 투고심사시스템 제공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지난 3월 신규 학회 대상으로 서비스를 개시한 차세대 논문 투고심사시스템 (ACOMS+)이 기존 ACOMS 활용 학회에 대해서도 ACOMS+ 시스템으로 이전을 마무리하고 신규 서비스 제공을 시작하였다고 밝혔다. * KISTI 차세대 논문투고심사시스템 ACOMS+(https://acoms.accesson.kr)은 오픈 사이언스 환경을 고려한 개방형 동료심사 체제 도입과 리포지터리 연계 및 데이터 공유 체제 등을 적용하였고 기존 ACOMS 대비 논문 투고 및 심사 프로세스와 학술지 관리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웹기반 전문 Peer Review 시스템이다. ○ ACOMS는 1996년 과기부“국가 과학기술정보 유통체제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정보과학회 포함 4개 학회 대상 요구 분석를 통해 1999년 학회 시범사업으로 데스크탑 기반의 국문 전용 ACOMS (Article COntribution Management, https://acoms.kisti.re.kr) 보급을 시작하여 2001년도에 웹 기반 시스템으로 발전, 2010년도에 One Source 기반의 영문 전용 시스템 개발·운영, 2016년도에 국제 규격 및 품질 수준에 도달한 ACOMS 4.5 버전에 이르렀고 현재 118개 학술지가 활용 중이다. □ ACOMS+는 1999년부터 국내 학술지의 논문 투고심사를 지원해 온 논문 투고심사시스템 ACOMS의 역사와 장점을 계승하되,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최신 기술 적용과 글로벌 출판 및 오픈 사이언스 환경을 고려한 시스템으로, KISTI의 학술단체 지원 역량이 집약된 차세대 논문 투고심사시스템이다. ○ ACOMS+는 국내 최초로 심사위원, 심사보고서 등 심사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되는 개방형 동료심사 기능을 제공하며, 학술지와 저자의 선택에 따라 논문의 실험·분석 데이터를 투고심사 단계에서 제출하고, 출판 시 관련 데이터를 공개하는 기능 등을 지원한다. ○ 또한, ACOMS+는 국가오픈액세스플랫폼 AccessON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와 연계를 통해 논문의 저작부터 투고, 심사, 출판, 확산의 학술출판 전주기 지원이 가능하다. 심사 진행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모바일 메신저(카카오톡) 활용과 투고심사 비용 결제 시스템 도입 등 이용자 편의성을 강화하였으며, 해외 학술 출판 및 등재 관련 DOI, DOAJ, ORCID, SHERPA/RoMEO 등과 연계를 통해 글로벌 학술지로의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한편, 차세대 논문 투고심사시스템 ACOMS+의 본격적인 서비스에 앞서 ACOMS 활용 학술지와 그동안 축적된 ACOMS 데이터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ACOMS+로 마이그레이션을 완료하였으며, 기존 시스템 활용 학술지의 투고심사 업무가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조치했다. ○ 기존 논문 투고심사시스템 ACOMS의 서비스는 2023년 말까지 유지하여 심사 진행 중인 논문에 대해 심사를 완료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그 이후로는 서비스를 중지할 예정이다. 또한, ACOMS에서 금년 12월 말까지 심사/판정이 미완료 논문은 일괄적으로 ACOMS+로 이전하여 ACOMS+에서 심사/판정 업무를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KISTI, 2023 KREONET 워크숍 개최 및 테라급 연구망 시대 개막
KISTI, 2023 KREONET 워크숍 개최 및 테라급 연구망 시대 개막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11월 1일부터 3일까지 사흘 간 제주에서 2023년도 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2023년도 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워크숍의 주제는 “디지털 전환과 Science Discovery를 위한 테라급 국가연구망의 출범(Unveiling)”이다. 테라급 국가연구망의 구축과 핵심기술개발은 KISTI의 국가적인 미션을 달성하기 위한 필수 요소로써, 디지털 전환, 오픈 사이언스 중심의 대규모 데이터 공유, 활용, 촉진을 통한 국가 DNA 인프라 구축, 그리고 데이터와 디지털 기반 R&D 혁신을 선도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테라급 연구망을 중심으로 한 문화예술 기반 미래융합기술, 유럽입자물리연구소 가속기 네트워크, 미래인터넷 아키텍처-SCION(사이언), 첨단광통신, 거대언어모델, AI 및 네트워크 자동화, 5G/6G, 양자센싱,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등 차세대 네트워킹 기술을 포함한 첨단 ICT 기술의 발표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범국가적인 기초 및 응용과학, 교육, 문화예술, 의료, 첨단 ICT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첨단 네트워킹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과학적 발견, 즉 Science Discovery를 가능하게 하고자 다양한 산학연 전문가들의 논의가 진행되었다. 특히 제주특별자치도는 이번 워크숍에 참여하여 국가과학기술혁신을 위해 테라급 연구망을 활용하여 대한민국의 디지털대전환을 촉진할 수 있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제주위성추적소와 국가위성통합운영센터, 한국천문연구원의 탐라전파망원경, 제주대학교의 첨단연구와 한화시스템의 우주센터까지 다양한 첨단과학기술협업연구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조부승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장은 “최근 거대과학분야의 대규모 데이터 전송 요구에 발맞추기 위해서 미래 수요에 대응하는 테라급 네트워킹 인프라 확충과 고도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거대과학연구를 촉진하고, 관련 연구자들과 주요 관측시설 및 실험장비의 연계와 협업 연구를 최적화된 기술과 환경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수 KISTI 원장은 “KISTI는 과학기술정보분야의 과학기술 데이터 최고 책임기관으로서 핵심 과학기술 인프라인 국가연구망을 세계적 수준으로 구축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테라급 연구망 인프라는 앞으로 국가적 미션인 데이터와 디지털 연구개발 혁신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KISTI, 과학기술정보 자동 구축하는‘스마트’AI 기술 개발
KISTI, 과학기술정보 자동 구축하는‘스마트’AI 기술 개발 - 과학기술정보 구축・공유 체제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과학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인공지능(AI) 모델을 적용한 과학기술정보 큐레이션 시스템을 11월부터 정식 운영한다고 밝혔다. KISTI는 2018년부터 과학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동화를 위한 인공지능 모델 개발에 착수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이어왔다. 지난해에는 인공지능 모델을 적용한 과학기술정보 큐레이션 시스템을 처음으로 도입하였고, 현재 운영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면서 과학기술정보 구축・공유 체제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 큐레이션 시스템에 적용된 인공지능 모델은 ▲논문 메타데이터 자동 추출 모델 ▲참고문헌 속성 자동 분리 모델 ▲표/그림 자동 추출 모델 ▲문서 주제 자동 분류 모델 ▲개체 자동 식별 모델로 총 5개의 모델을 적용했다. 이와 같은 모델적용을 통해 학술논문을 검색하거나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메타데이터 구축과 참고문헌 구축 작업의 경우 수작업 대비 14.5%의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구축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연간 약 3,592시간 단축되었다. KISTI가 개발한 인공지능 모델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확인 및 검증(V&V) 시험에서 평균 99%의 정확성을 달성하여 사람을 대체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은 예측 성능이 증명되었으며, 해당 주제로 IT 분야 주요 SCI 저널에 논문 2편을 게재하여 국내외에서 모델 및 기술의 신뢰성을 입증하였다. KISTI는 앞으로도 학술논문 메타데이터 중심의 자동화뿐만 아니라 사회적 이슈와 니즈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대상으로 범위를 확대 적용하여 과학기술 데이터 대표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는 계획이다. KISTI 디지털큐레이션센터 이혜진 센터장은 “인공지능 모델을 도입하여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과학기술정보 구축 업무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겠다”며, “디지털 전환을 통해 지능형 과학기술정보 큐레이션 체제 구축으로 정보 스펙트럼을 확장하고, 다양한 서비스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콘텐츠를 제공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탈세계화 시대, 미래 전략기술 주도권 확보의 길 찾는다!
탈세계화 시대, 미래 전략기술 주도권 확보의 길 찾는다! - KISTI, 국내 최대의 과학기술·산업 컨퍼런스‘2023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개최 - - 국가전략기술(인공지능, 양자기술, 이차전지 등)의 미래 조망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 원장 김재수)은 10월 31일 COEX 4층 그랜드컨퍼런스룸에서 ‘2023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는 미래를 좌우할 핵심 유망기술을 발굴하고 그 기술들의 확보 및 기술사업화 방안을 논의하는 행사로, 매회 2,000명이 넘는 산·학·연·정 관계자가 참석하는 국내 최대의 과학기술·산업 컨퍼런스이다. □ 이번 행사의 주제는 「Embracing the future: 국가전략기술이 포용하는 미래」로, 심화되는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속에서 미래 전략기술 주도권을 확보할 방안을 찾는 데 초점을 맞췄다. ○ 정부는 지난해부터 초격차, 대체불가 기술 확보를 위한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선정해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지난 9월에는 「국가전략기술육성특별법」도 시행에 들어갔다. □ 국가전략기술 분야 최고 전문가들의 특강이 이어졌다. 드라마 ‘카이스트’ 속 괴짜 교수의 실제 모델로 알려진 이광형 KAIST 총장은 ‘AI 천하삼분지계(天下三分之計)’라는 기조연설을 통해 AI의 등장으로 인간의 가치와 사회의 의사결정 구조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설명하고, AI시대의 4대 시나리오를 제시함으로써, 구체적인 성공 전략을 발표했다. ○ 이건복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상무는 ‘생성형 AI를 통한 생산성의 변화’라는 강연을 통해 챗GPT 등 생성형 AI가 기업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어떻게 끌어올릴 수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설명했다. ○ 김동호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 상무보는 ‘Quantum Computing - Around the Corner’라는 강연을 통해 인류의 당면 난제들(에너지, 환경, 식량 등)을 해결할 솔루션으로 주목받는 양자컴퓨팅을 소개하고, 글로벌 양자컴퓨팅 기술·산업생태계 속에서 국내 기업들이 잡아야 할 기회를 제시했다. ○ 임우형 LG AI연구원 상무는 ‘AI를 통해 만들어가는 더 나은 세상’이라는 강연을 통해 인공지능이 실제 기업현장에서 R&D와 생산공정 고도화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설명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밝혔다. ○ 박재범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원료, 소재 및 폐배터리 재활용 이슈와 대응’이라는 강연을 통해 급변하는 글로벌 이차전지 밸류체인 속에서 국내 기업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생존전략을 제안한다. □ KISTI 미래기술분석센터 김소영 팀장은 ‘AI가 예측한 미래 과학기술의 주요 주제와 글로벌 트렌드 분석’이라는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 KISTI는 선정된 기술들의 트렌드가 ‘특이점(singularity) 시대, 가속과 균형을 위한 기술’이라고 밝혔다. 특이점이란, 인공지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해 인간의 지능을 뛰어넘는 기점을 말한다. ○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를 통해 매년 발표되는 ‘KISTI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에는 인간을 보완하는 소프트로봇 기술, 올-커넥티드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인공지능 반도체의 핵심인 뉴로모픽 소자 기술, 순환경제를 위한 배터리 업사이클링 기술 등이 포함됐다. (전체 목록 ☞ [첨부3] 2023 KISTI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 참조) □ KISTI 기술사업화연구센터 변정은 팀장은 ‘국가전략기술 분야별 주목해야 할 글로벌 사업화 아이템’이라는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 금번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 주제에 맞춰 기술사업화연구센터가 연구개발한 wikipedia 데이터 기반 분석모델을 통해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별 글로벌 시장 트렌드에 부합하는 사업화 아이템을 발굴하여 발표하였다. ○ 전지 소재에서 구조로: 셀투팩,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합성 플랫폼 등 48개 아이템을 도출하고 최종적으로 글로벌 시장성을 평가하여‘국가전략기술 분야별 글로벌 사업화 아이템’12개를 도출하였다. (전체 목록 ☞ [첨부4]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별 글로벌 사업화 아이템 참조) □ KISTI 김재수 원장은 “탈세계화, 전략기술 자국중심주의 확산, 생성형 인공지능의 돌풍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미래예측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국가전략기술 분야 최고 전문가들의 인사이트와 KISTI의 세계적인 미래예측기술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미래유망기술컨퍼런스를 통해, 미래 기술주도권 확보의 길을 찾고자 한다.”고 밝혔다. ※ KISTI는 과학기술 데이터 종합연구기관으로써, 데이터와 인공지능에 기반한 ‘지능형 미래분석체계’를 구축하고 과학기술 전 분야에 대한 거시적인 예측에서부터 국가·사회의 다양한 미시적 이슈에 이르는 선도적인 미래예측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또한 ‘과학기술사업화 전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고품질 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의 분석모델 개발 및 적용을 통해 복잡하고 비선형적으로 이뤄지는 사업화 전 과정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있다.KISTI, AI제조혁신플랫폼 MC 기반 스마트제조 데이터융합 지식연구회 공동 개최
KISTI, AI제조혁신플랫폼 MC 기반 스마트제조 데이터융합 지식연구회 공동 개최 -KISTI(부산울산경남지원)·KICOX(부산지역본부)·BuVa(부산벤처기업협회) 공동 개최- -지역 DX혁신을 위한 중소기업-대기업 브릿징 서비스 추진·강화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부산울산경남지원·한국산업단지공단 부산지역본부(본부장 마동철)·부산벤처기업협회(BUVA)과 공동으로‘AI제조혁신플랫폼 MC 기반 스마트제조 데이터융합 지식연구회’를 10월 26일 ~ 27일 양일간 포항 코모도 호텔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 본 연구회는 부산데이터협의체 구성원인 부산벤처기업협회(BUVA)및 부산ASTI회원을 중심으로, 디지털전환(DX) 접근성이 부족한 지역 내 제조기업의 디지털 혁신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 이번 연구회는 다양한 최신 DX 기술과 현장 적용된 사례를 공유하고, 지역 대기업의 DX 현장 방문 및 벤치마킹을 목표로 기업 간의 브릿징을 주도하는 등, 그야말로 ‘DX 실용화’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첫째 날인 26일(목)에는 부산대학교 김동현 교수, 부경대학교 최성철 교수, ㈜아이오티플렉스 박문수 대표가 각각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지능형사물인터넷 기반 제조 데이터 디지털 전환 기술과 응용 사례', '대화형인공지능서비스 기반 비즈니스 실무 활용', 'VR 기반의 3D 오브젝트 자동생성 플랫폼 개발을 통한 제조공정의 디지털 전환 구현' 등을 주제로 열띤 강연을 진행하였다. 27일(금)에는 포스코 현장을 방문하여 스마트 팩토리 담당부서가 직접 인솔하는 DX 적용 현장 견학과 함께 이를 벤치마킹하기 위한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의 네트워크 장이 열렸다. ⭘ 한국산업단지공단 마동철 부산지역본부장은 “부산 제조업의 DX 촉진과 지역산업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고, 부산벤처기업협회의 이사 및 부산ASTI의 부회장을 겸직하고 있는 김대정 부산인터넷방송국 대표는 “이번 연구회 참석자의 대표로써, 대기업-중소기업 간의 브릿징 서비스를 출연(연)이 주도한 것은 상당히 이례적”이라고 언급하면서, 이어서 그는 “R&D 선진기술 및 산업 생태계에 대해 이해도가 높은 KISTI와 한국산업단지공단에게 감사하다”고 말했다. 한편 KISTI 부산울산경남지원 서성호 지원장은 전문을 통해 “우리 KISTI는 DX 성공사례 기반의 벤치마킹 지원 등을 통해 지역 제조업이 생존할 수 있는 DX 지원 프로그램을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언급하였고, 이에 KISTI 최재경 선임은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브릿징 서비스는 본 연구회의 강점이며,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KISTI-Digital Research Alliance of Canada MOU 체결
KISTI-Digital Research Alliance of Canada MOU 체결 - 연구데이터 공유·활용 협력 체계 구축 체결 계기 마련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10월 25일,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International Data Week(IDW) 2023에서 캐나다의 Digital Research Alliance of Canada(이하 The Alliance)와 연구데이터의 공유·활용을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KISTI는 한국의 오픈 사이언스를 선도하고 있으며, 세계적 수준의 슈퍼컴퓨팅과 데이터 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연구 개발을 수행하고 있는 연구기관이다. The Alliance는 캐나다 전역을 대상으로 연구데이터 관리 및 연구 소프트웨어 분야의 활동을 조정하고 자금을 지원하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합체를 운영하는 기관이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은 KISTI가 운영하는 국가연구데이터플랫폼인 DataON과 캐나다의 The Alliance가 운영하는 Federated Research Data Repository(이하 FRDR)과의 데이터 연계를 진행함으로써 양 기관에서 운영하는 플랫폼을 통한 연구데이터의 공유·활용 촉진을 목표로 하며, ▲ 연구데이터 플랫폼 운영을 위한 전문 지식의 공유 ▲ 글로벌 연구 생태계 확장을 위한 협력 체계 구축 ▲ 연구데이터 공유 및 활용 촉진을 위한 데이터 연계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조지 로스(George Ross) The Alliance 대표는 “이번 업무협약 체결은 양 기관에서 운영하는 플랫폼의 연구데이터를 연계 및 제공할 뿐 아니라 글로벌 연구 생태계의 발전을 위한 디지털 연구 인프라의 개발 및 활용 촉진을 위한 두 기관의 전문 지식 및 모범 사례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김재수 KISTI 원장은 “The Alliance는 캐나다 전역의 연구데이터를 관리하는 기관으로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기존 유럽, 호주, 일본 등과 연계하고 있는 연구데이터 공유 생태계를 북미지역으로 연계 확대함으로써, 전 세계의 연구데이터를 공유 검색할 수 있는 글로벌 연구 생태계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인공지능 분야 글로벌 협력을 위한 한인과학기술자 연구 교류
인공지능 분야 글로벌 협력을 위한 한인과학기술자 연구 교류 - KISTI, 「2023 코센브릿지포럼 4차」 인공지능 편 개최 - - 산업 활용·혁신 및 안전·신뢰 AI를 주제로 재외한인과학자 초청 - KOSEN kosen.kr 코센 브릿지 포럼 2023재외한인과학자초청 국가전략분야 인공지능 인공지능(AI) 기술은 이제 산업과 사회 모든 분야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AI는 그 자체로 큰 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이며, 동시에 산업 패러다임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AI의 안전하고 책임감 있는 개발 및 활용이 더욱 중요해지는 시점입니다. 이에 따라, 코센에서는 국가전략분야 중 하나인 인공지능을 주제로 재외한인과학자를 초청하여 산업활용·혁신AI와 안전·신뢰 AI 분야를 중점으로 연구를 소개하고, 국내외 연구자들과의 네트워킹 기회를 드리는 코센브릿지포럼을 개최합니다. 포럼 참여를 통해 인공지능 분야 전문가들과 국제 공동연구, 네트워킹 등 다양한 협업 기회가 가능하오니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일시 10월 27일(금) 한국 10:00(UTC +9) / 북미 서부 18:00(UTC -7) 10월 30일(월) 한국 14:00(UTC +9) / 북미 서부 22:00(UTC -7) / 프랑스 07:00(UTC +2) 장소 온라인 (ZOOM) 주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참가비 무료 프로그램 코센 브릿지 포럼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표입니다. 시간(KST) 내용 발표자 산업 활용·혁신 AI 10월 27일(금요일) 10:00 - 10:05 좌장 인사 및 소개 [한국] 김혜진(좌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05 - 10:45 인공지능과 비즈니스 분석 [캐나다] 이진무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10:45 - 11:25 기계 학습 기반 지식 이전을 통한 적층 제조 디지털화 [미국] 고현웅 Arizona State University 11:25 - 11:40 질문 및 토론 전체 안전·신뢰 AI 10월 30일(월요일) 14:00 - 14:05 좌장 인사 및 소개 [한국] 권현(좌장) 육군사관학교 14:05 - 14:45 연합 학습을 통한 딥러닝에서의 개인 정보 보호 [프랑스] 정강수 Inria 14:45 - 15:25 AI가 자아와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캐나다] 윤동욱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15:25 - 15:40 질문 및 토론 전체 발표초록 다운로드 좌장 및 연사산업활용·혁신 AI (한국) [좌장] 김혜진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책임연구원 연구분야 Anomaly Detection for Semiconductors Anomaly Detection/Prediction for Additive Manufaturing Realistic Data Generation for Training Out-of-Distribution Robot Vistion for Manufacturing 협력니즈 해외우수과학자연구교류사업 참여 국제 공동연구 참여 네트워킹 (캐나다) 이진무 /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Associate Professor 연구분야 AI-based Business Analytics Eononomic and Societal impacts of Ai and IT 협력니즈 국제공동연구과제발굴 해외우수과학자연구교류 사업 참여 (미국) 고현웅 / Arizona State University / Assistant Professor 연구분야 AI, Machine Learning, and Data Analytics for Manufacturing and Design Digitization of Physical Real Entities and Properties Cyber-physical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s 협력니즈 국제공동연구과제발굴 해외우수과학자연구교류 사업 참여 좌장 및 연사안전·신뢰 AI (한국) [좌장] 권현 / 육군사관학교 AI데이터학과 / 부교수(학과장) 연구분야 AI : image classification, Image segmentation, image caption, Audio classification, Text classification, CAPTCHA generation, Generative adversarial net (GAN), Autoencoder, U-Net model AI Security : addversarial example, poisoning attack, backdoor sample System security : intrusion tolerant system 협력니즈 인공지능 보안 관련 한국연구재단 과제 연구 AI 연구개발센터, 화랑대연구소 과제 공동 연구 (프랑스) 정강수 / Inria / 박사후연구원 연구분야 Privacy preserving machine lerning Federated lerning Differential privacy 협력니즈 네트워킹 국제공동연구 참여 (캐나다) 윤동욱 /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Associate Professor 연구분야 Human-Computer Interaction Human-AI Interaction Computer-Supported Cooperative Work and Social Computing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Multimodal interaction 협력니즈 AI 및 HCI 관련 국제 연구 협력 사업 참여 공지사항 KOSEN 로그인 후 참가 신청 하실 수 있습니다. 포럼 시작 1~2일 전 등록된 휴대폰 번호와 이메일로 접속 링크를 보내드립니다. 문의 : frv0906@kisti.re.kr, 042-869-1743 참가신청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는 10월 27일(금)과 10월 30일(월)에「2023 코센 브릿지 포럼」 인공지능 편을 온라인(Zoom)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 본 포럼은 재외한인과학자 초청, 본 포럼은 국가전략 주제로 연구자 간 글로벌 국제협력과 공동연구 발굴,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KOSEN(한인과학기술자네트워크, kosen.kr)에서 주도한다. ○ KOSEN(한인과학기술자네트워크, kosen.kr)은 전 세계 한인 과학기술자들을 위한 네트워크 서비스(2023년 10월 기준, 70여 개국 17만 7천여 명 회원)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고 KISTI가 운영한다. ○ 본 ’코센 브릿지 포럼‘은 재외 한인과학기술자들을 실시간으로 연결하여 국제 공동연구, 네트워킹, 지식교류 등을 활성화하기 위한 행사로, 재외 한인과학기술자와 네트워킹을 원하는 누구나 코센 회원 가입 후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 이번 포럼은 국가전략 분야인 인공지능을 주제로 산업 활용·혁신AI와 안전·신뢰AI 분야를 중점으로 미국, 캐나다, 프랑스에서 연구 중인 재외한인연구자를 초청하여 진행한다. ○ 10월 27일(금)에는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의 이진무 부교수, 애리조나 주립대학의 고현웅 조교수가 발제자로 나서 산업 활용 및 혁신AI 테마를 다룬다. - 이진무 부교수는 ’인공지능과 비즈니스 분석‘, 고현웅 조교수는 ’기계 학습 기반 지식 이전을 통한 적층 제조 디지털화’을 주제로 연구 분야를 소개하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김혜진 책임연구원이 좌장으로 주도한다. ○ 10월 30일(월)에는 육군사관학교 권현 부교수가 좌장으로 나서며, 프랑스 국립정보자동화제어연구소(Inria)의 정강수 박사,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의 윤동욱 부교수가 안전 및 신뢰AI를 주제로 최신 연구 동향과 AI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담론을 나눈다. - 정강수 박사는 ’연합 학습을 통한 딥러닝에서의 개인 정보 보호‘, 윤동욱 부교수는 ’AI가 자아와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발제 후, 질문 및 토론이 진행된다. □ KOSEN 사업의 연구책임자인 KISTI 윤정선 책임연구원은 “산업 패러다임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AI에 대한 전 세계 트렌드를 나눌 기회”라며, “포럼 참여를 통해 인공지능 분야에서 재외한인과학자 간 국제 공동연구, 네트워킹 등 다양한 협업의 기회를 모색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 2023 코센 브릿지 포럼은 온라인(Zoom)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포럼 종료 후에는 코센 홈페이지(kosen.kr/info/vod)를 통해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참가 신청 : https://kosen.kr/know/seminar/38 → 프로그램 공지문 : https://kosen.kr/about/notice/NOT_0000000000176661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