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총 게시글 857 RSS
  • 152023. 09
    No. 727 View. 26977

    KISTI, 2023 전국 ASTI 리더스 포럼 개최

    KISTI, 2023 전국 ASTI 리더스 포럼 개최  - 초격차 AI시대, 기업혁신 성장지원을 위한 KISTI-ASTI 협력성과 도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 원장 김재수)은 9월 12일(화) 대전 ICC호텔에서 ‘초격차 AI시대, 기업혁신 성장지원을 위한 KISTI-ASTI 협력성과 도출’이라는 주제로 ‘2023 전국 ASTI 리더스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내 최대 산·학·연·정 교류형 네트워크인 과학기술정보협의회(이하 ASTI)는 2009년 공식 창립된 이래, 올해 14주년으로 9,000여개의 산업계와 12,000여명의 회원이 참여하고 있는 국내 최대 과학기술분야 협의체이다. 특히 ASTI는 초격차 AI시대에 기업이 나아가야 할 기술적 전략과 수용 가능한 데이터인프라를 가진 KISTI와 함께 기업혁신 성장지원을 위한 협의체로 거듭 발전하고 있다.  패밀리기업/지식연구회 등을 통한 KISTI-ASTI 협력 성과를 공유하고 이를 전략화 할 방안을 논의하는 등의 현장 중심의 포럼으로 개최되었으며, 이번 포럼을 공동 개최하는 KISTI 김재수 원장, 전국 ASTI 형기우 회장, 지역별 ASTI 회장단을 중심으로 지역혁신 주체 등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ASTI의 최대 장점인 ‘개방형 산·학·연·정 디지털 혁신생태계’의 면모를 보여 주었다. 전국 ASTI 형기우 회장은 “ 이번 포럼은 ASTI 회원들 간의 네트워킹 및 사례 공유 뿐 만 아니라 보다 높은 성과창출의 장으로 확대를 위해 초격차 AI 기술을 활용한 ASTI 서비스가 마련될 것이다. 또한 ASTI와 KISTI는 변화에 대응하는 협력 주체로서의 역할을 다할 것이다.” 라고 말했다.  KISTI 김재수 원장은 “KISTI는 2021년부터 기존 ASTI를 디지털 전환에 맞춰 DX-ASTI로 재정비하면서, 지역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위한 ‘DX형 지식연구회’와 ‘맞춤형 D.N.A. 인프라’ 등의 체감적인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본 포럼을 통해 ASTI 회원사들이 함께 일구어낸 기업성과를 공유하고 또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현장 의견이 적극 반영되는 자리이다”라고 언급했다. 또한 “이러한 모습은 오직 ASTI 포럼에서만 가능하다고 생각하며, 이는 KISTI와 ASTI의 다년간 다져진 신뢰가 있었기에 더욱 현실적인 현황과 사례 공유가 가능하다.”라고 밝혔다.  한편 KISTI는 2023년 9월을 기준으로 지난 3년간 ASTI 회원대상 1,500개 이상의 기업을 패밀리기업 지원프로그램 등을 통해 지원하여, ‘고용 창출’, ‘기술/제품 개발’, ‘R&D 과제 수주’ 등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KISTI는 2021년부터 기존 ASTI를 DX(Digital Transformation)-ASTI로 재정비하면서, 지역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위한 ‘DX형 지식연구회’와 ‘맞춤형 D.N.A. 인프라’ 등의 체감적인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타 출연(연) 등 지역혁신 주체들과의 연계를 위한 ASTI 중심의 협의체를 다양하게 구축하여 기업 지원체제를 확고히 다졌다. ASTI의 이러한 폭넓은 서비스는 지역산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지역 현안 R&D 수요발굴 등 지역 산업 정책에 반영될 수 있으므로, 상생협력 기반의 지역혁신 강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302023. 08
    No. 726 View. 30521

    한인연구자 간 소통을 통해 바이오 경제 시대의 협력 논한다

    한인연구자 간 소통을 통해 바이오 경제 시대의 협력 논한다  - KISTI,「2023 코센브릿지포럼 3차」첨단바이오 편 개최 - - 디지털 헬스와 유전자·세포 치료를 주제로 재미한인과학자 초청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재외한인과학자를 초청해 국가전략 주제로 국내외 연구자 간 네트워킹 자리를 마련한다. 글로벌 국제협력 및 공동연구 발굴을 위한 네크워킹 활성화를 위해 기획된 본 포럼은 오는 9월 1일(월)과 9월 15일(금)에「2023 코센 브릿지 포럼」첨단바이오편을 온라인(Zoom)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 KOSEN(한인과학기술자네트워크, kosen.kr)은 전 세계 한인 과학기술자들을 위한 네트워크 서비스(2023년 7월 기준, 70여 개국 17만 5천여 명 회원)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고 KISTI가 운영한다.   ○ 본 ’코센 브릿지 포럼‘은 재외 한인과학자들을 실시간으로 연결하여 전문가들과 국제 공동연구, 네트워킹, 지식교류 등을 활성화하기 위한 행사로, 국가전략분야의 최신 연구동향 파악과 재외 한인과학자와의 네트워킹을 원하는 누구나 코센 회원 가입 후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 이번 포럼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더욱 강조되는 국가전략분야인 첨단바이오를 주제로 미국에서 연구 중인 재외한인과학자를 중심으로 디지털 헬스와 유전자·세포 치료 분야를 소개하고 한국과의 연구 교류 및 국제협력을 위한 소통의 장을 마련한다. □ 9월 1일(금)에는 일리노이대학의 김기범 조교수, 펜실베니아대학의 고진아 조교수가 발제자로 나서 디지털 헬스데이터 분석활용을 주제로 발제를 진행하고 질문 및 토론하는 시간을 갖는다.   ○ 김기범 조교수는 ’의료환경에서 첨단바이오기술을 활용하기에 앞서 데이터과학 및 모델링을 통한 기술가치 평가의 필요성‘, 고진아 조교수는 ’의학 진단을 위한 단일 생체 표지자 프로파일링‘을 주제로 연구 분야를 소개하고, 좌장은 연세대학교 김성우 연구교수가 맡는다. □ 9월 15일(금)에 숙명여자대학교 신민욱 교수가 좌장으로 포럼을 이끌어나가며, MD앤더슨 암센터의 이주석 교수, 오클라호마대학의 윤제현 부교수, 뉴로프스 테라퓨틱스(Neurophth Therapeutics, Inc.) 김수영 책임연구원이 세포 유전자치료를 테마로 최신 연구 동향과 성과를 공유한다.   ○ 이주석 교수의 ’간암의 표적 치료‘에 대해 소개를 시작으로 윤제현 부교수는 미국에서 진행한 ’암 대사 지향적 유전자 치료’연구를 공유하고 김수연 책임연구원은 ‘안과 분야 유전자 치료 연구’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 KOSEN 사업의 연구책임자인 KISTI 윤정선 책임연구원은 “바이오경제 시대를 맞이하는 이 시점에서 전 세계의 첨단 바이오 트렌드를 공유할 중요한 기회”라고 전했다. 또한 “포럼에 참여하는 연사 모두 연구자 교류 및 공동연구에 대한 협력 의지가 무척 강하다”며 “국내외 연구자들 간 협력 파트너를 찾을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했다. □ 2023 코센 브릿지 포럼은 온라인(Zoom)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7월 3월(월)부터 2024년 2월까지 총 8회에 걸쳐 진행된다. 포럼 종료 후에는 코센 홈페이지(kosen.kr/info/vod)를 통해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참가 신청 : https://moaform.com/q/JnN6Vp   → 프로그램 공지문 : https://kosen.kr/about/notice/NOT_0000000000176652
  • 302023. 08
    No. 725 View. 29345

    KISTI, 제조기업 비전공자 대상 데이터 활용 세미나 개최로 지역산업 DX혁신에 앞장서

    KISTI, 제조기업 비전공자 대상 데이터 활용 세미나 개최로 지역산업 DX혁신에 앞장서 - 제조기업 내 비전공자도 응용 가능한 데이터 분석 실무 양성 세미나 개최를 시작으로 DX 진입 장벽을 낮추고 지역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솔루션 마련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 부산울산경남지원은 24일 부산벤처기업협회 대회의실에서 ‘스마트제조 데이터융합 지식연구회 일환 DX(디지털 전환) 실무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지역 내 DX 수요나 디지털 전환이 필요한 제조기업 중 부산데이터협의체*의 핵심 주체 기관 중 하나인 ‘부산벤처기업협회 회원사’를 대상으로 하며, 한국산업단지공단 부산지역본부 내 운영 중인 ‘AI제조혁신플랫폼 MC(미니클러스터)’도 공동 주최 그룹으로 참여하고 있는‘스마트제조 데이터융합 지식연구회’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 부산데이터협의체 : 2021년 12월 21일 KISTI 부산울산경남지원의 주관으로 부산광역시, 부산테크노파크, 부산산업과학혁신원, 동의대학교, 신라대학교, 부산정보기술협회, 부산벤처기업협회, 동남권디자인산업협회 등 8개 기관이 지역 DX 혁신을 위하여 결성된 협력형 협의체 정부와 지자체는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위하여 다양한 DX 지원정책을 이행하였으나, 디지털 전환이 시급하거나 관심 있는 제조기업 대부분은 수집 데이터와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전공자 인력이 부족하여 일회성의 DX 지원정책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이에 KISTI 부산울산경남지원은 부산지역 내 제조기업의 DX혁신을 목표로 한국산업단지공단(부산지사) 및 부산벤처기업협회와 함께 협력형‘스마트제조 데이터융합 지식연구회’를 개최·운영하고 있다.  이번 DX 실무 세미나는 KISTI 부산울산경남지원 주관으로 KISTI 내 과학데이터교육센터와 인공지능플랫폼연구팀이 참여하였고, 기존의 DX에 주로 활용되었던 ‘제조 또는 마케팅 데이터’ 뿐만 아니라, ‘경영 데이터’ 등 기업이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는 GPT 기반의 실습형 세미나인 ‘올 어라운드 데이터 분석 교육’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부산벤처기업협회의 심술진((주)코탁트 대표이사) 회장은 “디지털 전환(DX)을 학술적으로 이해한다고 하더라도 실무에 적용하기까지 진입 장벽이 높기 때문에 본 협의체를 통하여 우리 회원사들로부터 DX 성공사례를 창출해내는 것이 우선적 과제”라고 포부를 밝혔고, 이에 한국산업단지공단 마동철 부산지역본부장은 “지역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목표로 시작된 본 협의체를 위하여 본부지원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KISTI 부산울산경남지원 서성호 지원장은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수집하고 활용하는 인프라 지원은 정부와 지자체의 몫이므로, DX 지원인프라를 가진 각 지역혁신주체들의 강점을 한데 모으는 협의체의 적극적인 협력과 운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KISTI 부산울산경남지원 최재경 선임연구원은 “디지털 전환의 근간이 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루는 전공자의 지식보다, 데이터를 체험해보고 이해하는 것이 인력양성의 시작이다”이라고 본 세미나의 기획 의도를 전했다. 
  • 252023. 08
    No. 724 View. 29830

    슈퍼컴퓨터6호기 예산삭감에 따른 셧다운 보도에 대한 설명자료 배포

    아래와 같이 슈퍼컴퓨터6호기 예산삭감에 따른 셧다운 보도에 대한 설명자료를 배포합니다. 슈퍼컴퓨터6호기 예산삭감에 따른 셧다운 보도에 대한 설명자료 □ 보도내용(요약)  ㅇ 전기료 절감을 위해 대용량데이터허브센터가 운영하는 클러스터 장비 중 50%의 가동을 중단. 전기요금이 없어 슈퍼컴을 멈춘건 1988년 도입 이후 처음  ㅇ 내년 도입할 슈퍼컴 6호기의 운영예산 약 80억원을 전액 삭감     * 아시아경제(2023.8.24.) 및 조승래 의원 성명자료(2023.8.24.) □ 설명자료   ① 슈퍼컴퓨터 5호기는 현재 정상 운영중에 있으며 전기료 부족으로 가동을 멈추었다는 것은 사실과 다름     * 대용량데이터허브센터가 운영하는 클러스터 장비는 슈퍼컴퓨터와 전혀 별개의 장비임  ② 내년 도입 예정인 슈퍼컴 6호기 운영예산 80억 삭감은 사실이 아니며, 현재 운영 관련 예산은 109억이 반영되어 있음    - 슈퍼컴퓨터 6호기 도입이 예정보다 지연 (1,2차 입찰 유찰)으로 현재 확보된 예산으로 운영에 문제가 없음 
  • 232023. 08
    No. 723 View. 30253

    KISTI, 동아시아 국제 연구망 협력을 위한 다국적 MOU 체결

    KISTI, 동아시아 국제 연구망 협력을 위한 다국적 MOU 체결 - EARBN(동아시아국제연구망협력) 한국·중국·일본·싱가포르 국가연구망간 MOU 체결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22일 한국, 중국, 일본, 싱가포르 4개국이 함께 참여하는 동아시아지역 글로벌 연구망 협의체(EARBN, 동아시아연구망협력) 구성을 위한 다자간 양해각서(MOU)를 아시아태평양첨단연구망컨퍼런스(APAN56, 스리랑카 콜롬보)에서 체결하고 본격적인 협력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KISTI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이하 KREONET)을 통해 거대과학 및 융합연구 분야 대용량 연구데이터를 초고속으로 전송하는 한국의 국가연구망(NREN)을 구축하고 있다. KREONET은 전세계 대용량 연구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100기가급 글로벌 환형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내 연구자에게 글로벌 협업연구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세계적인 과학적 발견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에 구성한 동아시아연구망협력체인 EARBN(East Asia Resilient Backbone Network Collaboration)은 6개의 국제 연구망을 주축(KISTI/KREONET(국가과학기술연구망), CSTNET(중국과학연구망), JUCC(홍콩연구망), NII/SINET(일본연구망), NICT/JGN(일본연구개발망), SingAREN(싱가포르연구교육망))으로 100기가급 국제연구망 네트워크를 상호간 백업하여 동아시아 국제연구망 가용성의 극대화를 목적으로 한다. 이번 EARBN 다자간 양해각서(MOU) 체결은 KREONET의 대전~홍콩, 대전~싱가포르 구간의 100기가급 국제연구망에 대한 다원화된 백업회선을 확보하게 됨으로써, KREONET 국제연구망의 목표 가용율(연구성과목표 99.9% 이상)을 달성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EARBN에 참여하는 4개국 및 6개 연구망들은 유럽입자물리연구소의 HL-LHC 프로젝트*, ITER 프로젝트**, SKA 프로젝트*** 등 글로벌 거대 과학 협업연구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상호간 국제 연구망의 다중 상호경로를 확보하고, 참여 연구망들의 상호 백업을 통한 안정적인 국제연구망 서비스 환경을 마련하고, 국제 연구망과 교류를 통한 첨단 네트워크 엔지니어링 및 협력에 합의하였다.  *HL-LHC (High-Luminosity Large Hadron Collider) 프로젝트: 기존 LHC 가속기 대비 광도를 10배 이상의 증가시켜, 힉스입자 발견 이후 암흑물질의 발견 등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목표로 함 **ITER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프로젝트: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러시아, 유럽이 참여하여 실용적 핵융합로에서 필요한 지속적인 핵융합연소 목표 달성을 위한 국제공동 핵융합실험로 ***SKA (Square Kilometre Array) 프로젝트: 천문학, 천체물리학, 우주론은 물론 우주생물학 분야의 전환점이 될 관측 수행을 위한 초대형 전파간섭계 국제협력 프로젝트 KISTI 조부승 과학기술연구망센터장은 “특히 이번 EARBN 다자간 양해각서(MOU) 체결은 2005년 한국, 중국, 미국, 러시아, 네덜란드가 처음으로 북반구를 10기가급으로 환형으로 연동하는 글로리아드 프로젝트를 추진한 이후, 국제 연구망 분야에서 최초로 한-중-일-싱 간 100기가급 국제연구망을 기반으로 한 국가연구망 간 협력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라고 밝혔다. KISTI 김재수 원장은 “EARBN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한-중-일-싱 국가연구망과의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KISTI 과학기술인프라의 핵심인 KREONET이 연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국가 디지털 전환은 물론 동아시아 지역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R&D 혁신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 232023. 08
    No. 722 View. 29812

    “Beyond HPC to AI”2023 KSC 개최

    “Beyond HPC to AI”2023 KSC 개최 - KISTI, 슈퍼컴퓨터 도입 35주년 기념 한국 슈퍼컴퓨팅 컨퍼런스 개최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후원으로 8월 21일~23일 3일간 서울 더케이 호텔에서 ‘2023 한국 슈퍼컴퓨팅 컨퍼런스(2023 Korea Supercomputing Conference, 이하 KSC2023)’를 개최한다고 밝혔다.(http://www.ksc2023.re.kr) 한국 슈퍼컴퓨팅 컨퍼런스(KSC)는 올해로 20회째를 맞는 국내 최대의 슈퍼컴퓨팅 학술행사로 슈퍼컴퓨팅 관련 최신 동향과 활용성과를 알리고 저변확대, 산업육성, 연구자 간 교류 및 학술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우리 과학기술자들이 기초연구(기상, 원자력, 화학 등), 첨단 산업기술 신제품 개발 등을 위한 연구에서 당당하게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1988년 슈퍼컴퓨터 1호기 서비스를 시작으로 35주년이 되는 해를 맞이하여 그 동안의 발자취를 기념하는 행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행사의 주제는‘Beyond HPC to AI’로 인류의 미래와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컴퓨팅․정보이론․과학공학 분야 주제로 기조강연과 초청강연이 준비되어 있다. 첫째 날인 21일에는 19세기 산업혁명에도 영향을 미친 계산과학자들, 특히 찰스 배비지의 시대를 조명하며 당시의 과학적 논쟁들이 역사적 상황과 맞물려 어떻게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등의 현재 물리학으로 연결되는지를 보여주는 “혁명과 낭만의 과학, 그리고 과학사 속의 계산과학자들”이란 주제로 기조강연이 준비되어 있다. 22일에는 기조강연으로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장근일센터장이“한국형수치예보모델  데이터를 기반으로 국가 기후변화 대응지원과 영향예보 서비스를 통해 기상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국가기상슈퍼컴퓨터”에 대해 발표하고, 성균관대학교 권석준 교수는 일선 대학(원) 교과과정에서 축적된“물리, 정보이론, 공학이 융합된 수치해석 교육과 케이스 스터디 사례”를 소개한다.  KSC2023에서는 다양한 워크숍, 튜토리얼, 커뮤니티 포럼도 함께 열린다. △ 슈퍼컴퓨팅 인프라 운영․서비스 기술 △ 플랫폼 기반 전자구조 및 TCAD 계산의 현재와 미래 △ 디지털트윈을 위한 물리기반 시뮬레이션 및 인공지능 융합기술 연구 △ AI&BigData △ 양자통신 구축을 위한 주요 연구추진 공유 △ H-N-A(HPC, 5G, Ai) 기반의 산업 융합 기술 △ 대형연구시설과 HPC 융합 △ 지구과학 데이터 가시화 기술 주제 등 14개의 워크숍, 그리고 △ INTEL® ONEAPI 사례 발표 및 실습 핸즈-온 튜토리얼이 있을 예정이다. 또한, 커뮤니티 포럼으로 △ Machine Learning for HEP △ 공학분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활성화 △ MyKSC 소개 및 활용 사례 △ HPC Cloud(KISTI R&D Cloud Platform) △ 슈퍼컴퓨터와 머신러닝의 만남 △ HPC와 6G 오픈플랫폼 기술 교류회가 있고, 한국계산과학공학회 추계학술대회도 함께 개최된다. KSC2023 조직위원장인 김재수 KISTI 원장은 “최초의 엑사 슈퍼컴퓨터 등장, 인공지능 연구의 확대, 양자컴퓨터 관심 증대 등 최근들어 슈퍼컴퓨팅 분야가 아주 빠르게 변하고 있다. 디지털 대전환 시대 국가 난제해결 및 4차 산업혁명 기반 신산업 창출 등 슈퍼컴퓨터는 이제 국가 과학기술과 산업발전의 기반이다. 이번 KSC는 슈퍼컴퓨팅 관련 최근 동향을 습득하고, 활용 아이디어를 얻고, 산학연 전문가들이 서로 교류하는 좋은 장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 232023. 08
    No. 721 View. 30628

    슬기로운 유학 생활 비법 … 한인 유학생에게 직접 듣다

    슬기로운 유학 생활 비법 … 한인 유학생에게 직접 듣다  - KISTI, 온라인 코센세미나「2023 슬기로운 유학 가이드 2차」유럽·아시아 편 개최 - - 일본,영국,싱가포르,네덜란드,중국 대학원생 5인이 연사로 나서 - kosen 한인과학기술자네트워크 2023 코센세미나 kosen.kr 2023 슬기로운 유학 가이드 2차 유럽,아시아 편 일본, 영국, 싱가포르, 네덜란드, 중국 해외 대학원에 재학중인 한인 학생들이 직접 들려주는 유학 및 생활에 대한 현지의 생생한 이야기를 실시간으로 만나 보세요! 8월 22일(화) ~ 24일(목) 온라인 플랫폼ZOOM 주최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 프로그램 일정 프로그램 일정인 날짜, 시간, 발표연사, 연사소개를 설명하는 표입니다. 날짜 시간 발표연사 연사소개 8월 22일(화) 10:00(한국시간) 박치언 도쿄대학 신세계 일본 일본 큐수대학 학사, 도툐대학 석사 취득. 현재는 도쿄대학 응용화학전공 박사과정에서 유기분자의 구조분석 및 효소의 구조에 관한 연구를 진행중. 도쿄대학한국인학생회 회장 및 통번역가로도 활동중 16:00(한국시간) 김강건 University of Oxford 영국 대학원 입시 필승법:용감한 학부생의 박사 입학 도전기 imperial College London의 생화학과(Biochemistry)학부를 마치고 Unviersity of Oxford 의종양생물학과(Oncology)박사과정에 입학. 최근 박사를 졸업하고 옥스퍼드에서 악성뇌종양인 glioblastoma의표적치료제 개발을 연구하는중 8월 23일(수) 10:00(한국시간) 신지윤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싱가포르 유학은 처음이라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에서 기계공학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며, NTU 한인 대학우너생 대표로 활동 중 주로 Thin Fil, Deposition 기술을 이용한 HYdrogen Enegrgy Device 분야에 대해 연구하는중 16:00(한국시간) 최문혁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낮은 땅 높은 꿈 네덜란드 박사유학 전북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 석사과정 동안 Nucleic Acids Biochemistry 분야를 공부, 현재 네덜란드 Delft University of Tehnology에서 박사과정으로 재학하며 Single-Moleclue Biophysics분야를 공부 중 8월 24일(목) 10:00(한국시간) 고귀환 청화대학 중국 박사 생활의 이모저모 중국 청화대학에서 소프트웨어 전공으로 딥러닝 컴파일러, 딥러닝 프레임워크, 딥러닝 모델등의 측면에서 딥러닝 시스템의 안전을 연구하고 있음 진행 방법 참가/신청(사전질문 접수) 연사강연(30분~1시간) 질의응답(30분) 공지사항 - KOSEN 회원이라면 무료로 참가 신청 하실 수 있습니다. - 신청하신 휴대폰과 이메일로 ZOOM 접속 링크를 보내드립니다. - 문의 : melodia@kisti.re.kr 참가 신청하기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해외 대학원에 재학 중인 한인 학생들과 교수가 직접 유학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코센세미나 ‘2023 슬기로운 유학 가이드 2차’」유럽·아시아 편을 오는 8월 22(화)일부터 24(목)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 KOSEN(한인과학기술자네트워크, kosen.kr)은 전 세계 한인 과학기술자들을 하나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서비스(70여개국 17만 5천여명 회원, 2023년 8월 현재)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고 KISTI에서 운영하는 사업이다.   ○ 코센세미나는 해외 현지의 한인과학자들을 실시간으로 연결하여 지식을 공유하고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프로그램으로, 네트워킹을 원하는 누구나 코센 회원 가입 후 온라인(Zoom)을 통해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 이번 세미나는 상대적으로 유학 관련 정보가 부족한 유럽 및 아시아에서 재학 중인 해외 대학원생들이 대학원 입시 과정부터 유학 생활과 연구 경험 등을 공유하며 해외 유학 생활에 관한 유익한 정보를 나눈다.   ○ 8월 22일에 첫 번째 발표자인 박치언 학생은 도쿄대학교 응용화학 박사과정 연구를 진행하며 동시에 통·번역가로도 활동하는 다양한 경험을 소개한다.   ○ 이어 옥스퍼드대학교에 재학 중인 김강건 학생은 영국 대학원의 입시 필승법이라는 내용으로 영국에서 학부를 마치고 박사 입학을 위해 도전했던 노하우와 준비과정을 공유한다.   ○ 8월 23일 난양기술대학교의 신지윤 학생은 “싱가포르 유학은 처음이라”라는 제목의 발표로 싱가포르에서 겪은 유학 경험을 중심으로 전달한다.    ○ 또한, 델프트 공과대학 최문혁 학생은 “낮은 땅 높은 꿈 네덜란드 박사유학”라는 제목의 발표로 네덜란드 유학 생활과 대학원 문화를 전할 예정이다.   ○ 8월 24일에는 칭화대학교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고귀환 학생이 중국 공대의 연구 문화와 일상생활 경험에 대해 전할 예정이다. □ KOSEN 연구책임자인 KISTI 윤정선 책임연구원은 “한인 유학생들이 현지에서의 자기 경험을 나누고 질의응답을 통해 참가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해 줄 귀중한 시간이 될 것이다”라며 “지속적으로 KOSEN 세미나를 통해 한인 유학생 및 연구자들 간 정보를 교류하고 소통할 수 있는 장을 확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 한편, 지난 7월 18일(화)부터 7월 20일(목) 간 진행되었던 「코센세미나 ‘2023 슬기로운 유학 가이드 1차’」 미국 편은 약 800명 가까이 참여하며 높은 호응을 이끌어 냈다.   → 참가 신청 : https://kosen.kr/know/seminar/32   → 프로그램 공지문  : https://kosen.kr/about/notice/NOT_0000000000176651
  • 232023. 08
    No. 720 View. 29814

    KISTI, 과학기술 데이터 정책지‘S&T DATA’발간

    KISTI, 과학기술 데이터 정책지‘S&T DATA’발간 - ‘DATA WARS’ 특집 『S&T DATA』 제3호 발간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7월 31일 과학기술 데이터 전문 정책지 『S&T DATA*』 제3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 ‘S&T DATA(Science & Technology)’는 데이터 기술, 데이터 경제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국가 과학기술 데이터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 ‘S&T DATA’는 주제(Key theme)별 데이터 기술 정책에 대한 산업계, 학계, 연구계의 다양한 의견이 담긴 Special Issue, 사회경제 전반에 걸쳐 일어나고 있는 변화와 혁신의 트렌드를 분석한 Deep Insight, 해외 동향을 살피는 Global Trends & Inside로 구성되며, 과학기술 데이터를 활용한 기업 사례 등의 내용을 담았다. □ ‘S&T DATA’ 제3호는 ‘DATA WARS’를 핵심주제로 데이터 관점에서   국가전략기술 중 우주, 반도체, 소재, 바이오 분야 데이터 확보와 활용의 중요성을 통해 국가경쟁력 시너지 향상을 세부주제로 다룬다.  ○ ‘S&T DATA’ 제3호 핵심주제에 대한 방향을 여는 논단에서 조석준 레인버드지오(주) CSO & Chairman(제9대 기상청장)이 ‘기상데이터로 만드는 혁신’을 주제로 재난재해 및 기후변화를 겪는 현 상황에서 기상데이터의 활용과, 이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에 대해 설명한다.     ○ 피플 인터뷰에서는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이 누리호   발사 이후의 우리나라 우주개발 계획과 우주데이터 활용에 대해 설명하고, 본격적으로 시작된 뉴 스페이스 시대를 맞아 우리나라의 우주개발 방향과 제언을 전한다.  ○ Special Issue에서는 ‘우주개발의 미래와 위성영상 데이터의 활용’, ‘빅데이터 시대의 우주과학과 천문학’, ‘반도체 분야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및 활용’, ‘인공지능 기반 신소재 발굴 및 개발’, ‘넥스트 팬데믹 대응을 위한 감염병 대응 생태계 구축 및 바이오 데이터 기술 활용’까지 국가전략기술(우주, 반도체, 소재, 바이오)의 각  분야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데이터와 이를 활용하는 산·학·연 분야의 다양한 시각을 담았다.  ○ Deep Insight는 AI 시대를 맞이하여 ‘검색 기업은 몰락할 것인가’를 주제로 하는 전문가의 원고를 실었다. ‘생성 AI 시대의 새로운   전쟁’, ‘ChatGPT로 촉발한 MS와 구글의 AI 경쟁’ 등 관련 업계와 산업계 등에 깊은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 이 밖에도 ‘S&T DATA’ 는 국가전략기술 관련 글로벌 트렌드와 정책 동향을 통해 산·학·연 등 각 기관과 기업에서 정책 수립 및 연구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또 국내 과학기술데이터 활용 기업 사례로  스마트 환경을 만드는 AI 데이터 솔루션 기업, 틸트로터 드론으로   드론 배송 시장을 개척하는 기업을 소개한다. □ 김재수 KISTI 원장은 “‘S&T DATA’ 제3호는 데이터 기술과 활용이  점차 중요해지는 시점에 국가전략기술에서 데이터 확보와 융합이 불러올 데이터 기반 국가경쟁력 향상을 미리 탐구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 KISTI는 국가 과학기술 관련 기관 및 연구기관 등에 ‘S&T DATA’를 지속적으로 배포할 예정이다. ‘S&T DATA’는 KISTI 홈페이지(www.kisti.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232023. 08
    No. 719 View. 27976

    KISTI, 2023년 쿠웨이트 고등학생 대상 DATA·AI 캠프 운영

    KISTI, 2023년 쿠웨이트 고등학생 대상 DATA·AI 캠프 운영 - 쿠웨이트 청소년들의 AI 기술 이해 증진 및 국제 과학교류 활성화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쿠웨이트 과학진흥재단(의장 H. H. The Crown Prince Sheikh Meshal Al-Ahmad Al-Jaber Al-Sabah, Kuwait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s, 이하 KFAS)과 협력해‘쿠웨이트 고등학생 대상 DATA·AI 캠프’를 8월 3일부터 8일까지 운영했다고 밝혔다. 이번 캠프는 KFAS와 작년에 이어 2번째로 개최되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KISTI 전문 인력의 교육과 KISTI 인프라 견학을 통해 쿠웨이트 청소년들의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양 기관 간 국제 과학교류 및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본 캠프는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 ▲인공지능 챗봇 ▲티처블 머신(Teachable Machine)을 활용한 머신러닝 모델 등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으며, 14명의 쿠웨이트 고등학생이 캠프에 참여했다. 아울러, 참여 학생들은 ▲KionVerse 활용 메타버스 실습 ▲국가 슈퍼컴퓨팅센터 견학 ▲VlabON 온라인 수·과학 플랫폼 실습 ▲슈퍼컴퓨터 웹 서비스 포털 활용 등 KISTI 인프라 체험 및 실습을 통해 슈퍼컴퓨터 및 모델링·시뮬레이션에 대한 이해를 도모했다.  KISTI 안부영 과학데이터교육센터장은 “이번 ‘2023년 쿠웨이트 고등학생 대상 DATA·AI 캠프’를 통해 쿠웨이트 학생들이 AI 기초 지식을 습득함과 동시에 한국의 우수한 과학기술 플랫폼(VlabON, KionVerse) 과 문화를 경험했다”며, “KISTI와 함께한 이번 캠프를 계기로 쿠웨이트 학생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글로벌 과학인재로 성장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KISTI 과학데이터교육센터는 KISTI가 보유한 과학기술 데이터, 슈퍼컴퓨팅 인프라와 데이터과학 전문인력을 활용해 산·학·연·정 재직자 및 미래인재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과학데이터교육센터 홈페이지: https://kacademy.kisti.re.kr/)
  • 092023. 08
    No. 718 View. 23902

    KISTI, “#나는미래다 국민보고회 및 본선대회”개최

    KISTI, “#나는미래다 국민보고회 및 본선대회”개최 - KISTI 100년을 위한 초장기 연구개발 과제 추진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8월 8일(화)에“#나는미래다 국민보고회 및 본선대회”를 대전이스포츠경기장(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나는미래다” 프로젝트는 2022년 KISTI 창립 60주년을 맞아 미래세상의 주인공인 어린이들은 어떤 세상을 꿈꾸고 있을까? 그 꿈을 이뤄주기 위해 지금의 어른들은 무엇을 해야할까? 라는 궁금증에서 시작하여, 미래의 주역인 어린이들의 참신한 아이디어들을 일반 국민과 과학자들이 함께 만들어 나가고자 준비한 대국민 아이디어 오디션 형식의 프로젝트이다. 작년 6월 “내가 그리는 미래일기”라는 주제로 실시된 1차 오디션 에서는 40년 후 세상을 꿈꾸는 전 세계 어린이들의 상상력이 담긴 520개의 그림일기가 접수되어 10개 주제의 미래 그림일기가 선정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성인 일반 국민들이 참여하여 이를 실현시킬 수 있는 문제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작년 9월 “우리가 만드는 미래세상”이라는 주제로 실시된 2차 오디션에서는 71개의 제안서가 접수되어 이 중 3개의 제안서가 선정되었다. 1~2차 오디션 모두 전문가와 국민이 참여하는 공개된 심사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선정된 3개의 제안서를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40년 후 미래의 꿈을 실현시키기 위한 상세기획연구가 이루어졌다. 오늘 본선 대회를 통해 3개의 제안서 중 하나가 최종 과제로 선정될 예정이다.   "#나는미래다”의 취지에 뜻을 같이 하는 52개 공공 및 민간 후원기관과 함께 개최되는“#나는미래다 국민보고회 및 본선대회”에 최종 진출한 <기억재생 나노칩>과 <해양환경 고래로봇> 중 전문가심사단과 약 300명의 현장 참석자들의 현장평가를 통해 최종 선정된 연구주제는 KISTI 창립 100주년이 되는 2062년까지 KISTI 초장기 연구개발 과제로 추진될 계획이다.  온라인과 현장에서 함께 개최되는 이번 행사는 기존에 없던 미래지향적이고 도전적인 방식으로 미래 사회의 기술혁신을 이끌어나갈 새로운 R&D 주제를 선정하며 우리 모두의 미래를 함께 생각하고, “미래는 우리가 만드는 것입니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나는미래다 국민보고회 및 본선대회” 프로그램 요약 ▶ (환영사/축사) 이장우 대전시장, 국민의힘 김영식 의원,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김복철 이사장, KAIST 이광형 총장, 대전광역시교육청 설동호 교육감 ▶ (전문가 심사위원단) 곽재원 한국과총 부회장, 곽호상 금오공과대학교 총장, 김명수 제1대 대전시 과학부시장, 김정수 ㈜야나두 대표이사,  박기영 순천대학교 교수, 이석래 국립중앙과학관 관장 ▶ (초청 강연) 일본 선진적 연구개발 전략센터 미치나리 하마구치 센터장의 ‘과학기술로 불가능한 미래를 가능하게 하자’는 주제의 강연 ▶ (세션1/우리가 만드는 미래세상) #나는미래다 2차 오디션 참가팀들의 미래세상 토크쇼 ▶ (세션2/본선발표1 – 기억재생 나노칩) 기억재생 나노칩 연구가 필요한 이유와 확장된 미래상, 연구개발 로드맵에 대해 제안자 박민규,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성준 교수, 가톨릭관동대 의학과 손정우 교수의 발표 ▶ (세션3/본선발표2 – 해양환경 고래로봇) 해양환경 고래로봇 연구가 필요한 이유와 확장된 미래상, 연구개발 로드맵에 대해 고려대·숙명여대 연합팀(배수현, 오혜인)과 ㈜오셔닉 박창욱 대표이사의 발표   ▶ (축하공연) KAIST에서 인공지능 음악분석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안테나뮤직 싱어송 라이터 박새별의 축하공연  ▶ (시상식 및 향후계획) 본선대회 시상식 및 KISTI 김재수 원장의 “#나는미래다” 향후계획 및 로드맵 발표 ▶ (출범식) 미래도전 R&D 성과를 만들어 갈 핵심 관계자와 함께 다채로운 미래기술을 상징하는 대형 모래시계를 활용하여 미래도전 연구의 시작을 알리는 ‘KISTI 미래도전 R&D 40년 출범식’이벤트  KISTI 김재수 원장은 “#나는미래다 프로젝트는 미래를 살아갈 주인공들인 어린이들의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R&D 프로젝트이다. KISTI는 "#나는미래다 국민보고회 및 본선대회"에서 선정된 연구개발 주제를 통해 이를 실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 세계 최고의 과제책임자와 연구팀을 구성하고 국내외 자문단 지원 등을 통해 국제공동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KISTI는 60년간 축적한 데이터, 인공지능, 슈퍼컴퓨터, 정보분석 등 과학기술인프라를 기반으로 미래세대가 꿈꾸는 행복한 미래를 실현시킬 것이다. 데이터로 세상을 바꾸는 KISTI와 함께 멋진 미래를 만들어 나갑시다.”라고 전했다.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대외협력실
  • 담당자박준수
  • 연락처042-869-0864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