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총 게시글 857 RSS
  • 012023. 06
    No. 697 View. 25440

    KISTI-인도네시아, 슈퍼컴퓨팅 인프라 구축 MOU체결

    KISTI-인도네시아, 슈퍼컴퓨팅 인프라 구축 MOU체결 - KISTI, 슈퍼컴퓨팅 인프라 구축을 통한 데이터기반 재난안전대응 솔루션 지원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5월 31일(수)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재난관리청(Suharyanto the Head of BNPB, 이하 BNPB)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다. 2023년부터 2026년까지 총 4년 동안 33억의 사업예산으로 인도네시아 과학기술 선진화를 위한 슈퍼컴퓨팅 인프라 및 데이터 기반 재난안전대응 솔루션 구축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밝혔다. KISTI는 태풍, 쓰나미, 화산, 지진 등 자연재해에 민감한 인도네시아에 슈퍼컴퓨팅인프라 구축을 통해 운영 및 활용 노하우를 전수하고 데이터 기반 실시간 재난대응 솔루션 플랫폼을 구축·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KISTI의 선진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인도네시아의 주요 관심사인 재난대응 분야에 대해 데이터 기반 재난대응솔루션을 지원·활용하여 재난 피해 감소 등 인도네시아 과학기술 발전과 국가 안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uharyanto 인도네시아 재난관리청장은 “KISTI의 슈퍼컴퓨팅 운영 노하우를 전수 받고 재난대응솔루션 활용을 통해 인도네시아의 재난 관련 시스템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켜 인도네시아를 더 안전한 국가로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주셨다”라며 감사의 마음을 표했다.  이에 KISTI 김재수 원장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은 KISTI의 슈퍼컴퓨팅 인프라 구축·운영과 데이터 기반 재난대응솔루션 노하우 전수를 통해 인도네시아는 물론 향후 동남아시아 지역(ASEAN) 과학기술 협력의 교두보를 마련하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국격을 높이는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 012023. 06
    No. 696 View. 25773

    KISTI, ChatGPT Prompt 특별교육 과정 운영

    KISTI, ChatGPT Prompt 특별교육 과정 운영 - GPT 언어모델 이해를 통한 인공지능 챗봇 활용역량 강화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KISTI ChatGPT Prompt 특별교육’과정을 KISTI 대전 본원 융합콘텐츠동 1층 강의실에서 오는 5월 30일에 운영한다고 밝혔다. 본 특별교육 과정은 빅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에 이어 최근 높아지고 있는 ChatGPT의 대중적 관심에 맞춰 GPT 언어모델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초기 GPT부터 GPT3.5와 GPT4까지의 발전 경로를 살펴보고, 관련 사례와 실습을 통한 ChatGPT의 활용 역량 강화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번 특별교육 과정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특정 문제해결이나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접근방법으로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의 특성을 갖고 있는 ChatGPT의 활용 방법을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이번에 진행하는 KISTI ChatGPT Prompt 특별교육 과정은 ▲언어모델 및 트랜스포머 소개 ▲트랜스포머 기반 인코더 및 디코더 언어모델 ▲ChatGPT 활용과 이슈 ▲ChatGPT 사용법 및 활용사례 등을 주제로 구성하여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KISTI는 초거대 인공지능 모델 중 하나인 ChatGPT의 기능을 활용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인공지능 관련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인공지능 챗봇에 대한 개인 및 관련 기관의 활용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으로 기대된다. KISTI는 지난 2018년 KISTI 강점 기반 전문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교육 전담 부서인 과학데이터교육센터를 설립했으며, KISTI가 보유한 데이터, 슈퍼컴퓨팅 인프라와 데이터과학 전문인력을 활용하여 데이터, HPC,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전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KISTI 과학데이터교육센터 안부영 센터장은 “최근 ChatGPT의 등장으로 생성형 인공지능이 주목을 받는 가운데 새로운 기술 개발 중심의 전문교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이를 활용한 새로운 가치 창출 기회를 제공하는 특별교육 과정을 운영하여 다양한 산업 및 연구계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012023. 06
    No. 695 View. 25682

    슈퍼컴퓨터 Top500, 한국 슈퍼컴퓨터 성능기준 세계 8위 유지

    슈퍼컴퓨터 Top500, 한국 슈퍼컴퓨터 성능기준 세계 8위 유지 - KISTI, 국가슈퍼컴퓨터 6호기 도입에 박차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5월 21일(현지시간)부터 25일까지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슈퍼컴퓨팅 컨퍼런스(ISC High Performance 2023, 이하 ISC 2023)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이번 ISC 2023은 미국 유타대학교(University of Utah) 컴퓨터과학과 Daniel Reed 교수의 “Reinventing High Performance Computing” 기조 강연을 시작으로, Top500 Award 1위․2위․ 3위 시상과 Green500 1위․2위․3위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다. 2023년부터 슈퍼컴퓨팅 학회 시리즈에 포함된 잭 동가라 신진 연구자상(The Jack Dongarra Early Career Award)*은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과대학교(ETH Zurich University) 컴퓨터과학과 교수인 Torsten Hoefler가 수상했다. *고성능 컴퓨팅 분야와 HPC 커뮤니티에 대한 잭 동가라 교수의 평생 공헌을 기념하기 위해 전산 과학, 기계 학습, 수치 알고리즘 및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 분야에서 상당한 공헌을 한 신진 연구자(박사학위 후 5-18년의 경력 범위)에게 수여하는 상임 5월 21일(현지시간) 발표된 전 세계 슈퍼컴퓨터 순위인 Top500에서 미국 오크리지 국립연구소(ORNL, Oak Ridge National Lab)의 ‘프론티어(Frontier)’가 작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1위를 차지했다. 2022년 6월부터 1위를 지키고 있는 프론티어의 실측성능은 1.194엑사플롭스(EF)로 1초에 119.4경번 연산이 가능하다. 2위와 3위는 2022년에 이어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와 후지쯔(Fujitsu)가 공동 개발한 ‘후가쿠(Fugaku)’, 핀란드 과학IT센터(CSC)의 ‘루미(LUMI)’가 각각 달성했다. 미국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의 Explorer-WUS3와 엔비디아(Nvidia)의 Pre-Eos 128 Node DGX SuperPOD가 각각 11위, 14위로 20위권에 신규 진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순위 변동이 거의 없었다(첨부 1 참조). Top500 순위 중 성능 면에서는 미국이 45.8%, 일본이 12.5%, 중국이 8.9%를 차지해 이들 국가가 전체 67.2%를 차지했으며, 수량에서는 미국이 150대(30.0%), 중국이 134대(26.8%), 독일이 36대(7.2%)를 기록했다. 우리나라는 삼성종합기술원의 SSC-21(20위), SSC-21 Scalable Module(387위)과 기상청의 구루(GURU)(37위), 마루(MARU)(38위), SKT의 타이탄(Titan)(47위), 광주과학기술원(GIST)의 Dream-AI(207위)가 기록되고, KT의 KT DGX SuperPOD(58위)가 신규로 Top500 리스트에 등재됐다. 우리나라의 슈퍼컴퓨터는 성능 기준으로 8위를 기록, 보유 대수는 총 8대로 국가별 보유 대수 순위 9위에 기록됐다. KISTI의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은 연산 속도가 25.7페타플롭스(PFlops)로 49위에 기록됐으나, KISTI는 지난해 8월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이후 600페타플롭스(PFlops) 성능의 슈퍼컴퓨터 6호기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KISTI는 이번 ISC 2023에서 전시부스를 운영해 KISTI의 슈퍼컴퓨팅 서비스 및 다양한 연구개발 성과를 발표함으로써 해외 기업 및 연구소와의 연구협력을 도모했다.   김재수 KISTI 원장은 “KISTI는 슈퍼컴퓨터 6호기 도입을 통해 세계 최정상급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연구자들에게 제공하고, 6호기 활용과 관련 응용 연구 확대로 우리나라의 슈퍼컴퓨팅 역량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 012023. 06
    No. 694 View. 26103

    KISTI, 「스마트 팩토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보고서 발간

     KISTI, 「스마트 팩토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보고서 발간 - 한국의 스마트 팩토리 기초연구,  논문 수라는 양적 성장보다 질적 우수성 제고 필요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미래 제조혁신 핵심기술로 주목받는 스마트 팩토리 관련 연구 동향을 데이터 중심으로 분석한 보고서 「스마트 팩토리 관련 연구 동향 분석」를 발간했다.   ○ KISTI는 클래리베이트사(社)의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스마트 팩토리 관련 키워드 중심으로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총 12년에 걸쳐 출판된 12,315건 논문을 선정하여 주요국의 연구 수준과 국제협력 현황을 분석했다. □ 스마트 팩토리 분야 학술논문을 분석한 결과 중국의 성장세가 두드러져 미국을 추월하고 다른 국가에 비해서도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국은 2016년을 기점으로 미국을 추월하여 전체 논문수 및 연평균 성장률 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 논문의 영향력 측면에서 중국은 논문 수 기준 상위 12개국 중에서 피인용 상위 10% 논문의 점유율이 가장 높았으나, 피인용 상위 10% 논문의 비중은 미국에 이어 7위를 기록하여, 아직 질적 수준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은 논문 건수라는 연구의 양적 측면에서는 높게 평가할 수 있지만, 논문 수 기준 상위 12개국 중에서 피인용 상위 10% 논문의 점유율과 비중이라는 질적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연구의 질적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한국은 최근 12년(2010년~2021년)간 논문 수에서 중국, 미국, 영국에 이어 독일과 공동으로 4위를 기록하였다.  ○ 논문 영향력 측면에서는 논문 수 상위 12개국 중 피인용 상위 10% 논문 점유율은 10위, 피인용 상위 10% 논문 비중은 11위에 머무르고 있다. □ 스마트 팩토리 분야에서의 국제 협력*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한국은 논문수 대비 국제협력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국제협력의 경우 한 논문에 참여 저자들의 소속기관 국가정보가 2개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고 논문 단위로 분석함.   ○ 논문 수 상위 12개국 중에서 호주, 캐나다, 프랑스, 영국, 독일은 국제협력 비중이 50%를 넘는 반면에 한국은 국제협력 비중이 25.5%로 11위에 머물고 있다.  ○ 한국은 주요 국제협력 대상은 미국(31.2%)과 중국(10.1%)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의 국제협력은 2010년~2013년 65.2%, 2014년~2017년 53.3% 등 전체 국제협력 논문에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2018년~2021년에는 23.5%로 비중으로 축소되었다. 중국과의 국제협력 논문은 2014년~2017년에 출현하기 시작하여 6.7%를 기록하였으나, 2018년~2021년에는 중국과의 국제협력 논문이 11.7%로 약 2배 가까이 증가하며 미국 다음의 국제협력 파트너임을 보여주고 있다. □ 권태훈 KISTI 글로벌R&D분석센터 책임연구원은 “글로벌 기술 확보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미래 제조업 기술의 핵심인 스마트 팩토리 분야에서 한국은 양적인 부분에서 세계적인 수준이나 질적 우수성에서는 아직 선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며 “스마트 팩토리 분야는 응용분야가 넓고 다양한 기술들이 결합하여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는 융합기술 특성이 강한만큼 한국이 비교우위가 있는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질적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국제협력 강화도 필수”라고 밝혔다. 
  • 152023. 05
    No. 693 View. 26224

    KISTI, 「데이터셋 연계전략」이슈브리프 발간

    KISTI, 「데이터셋 연계전략」이슈브리프 발간 - 데이터 활용성 확대를 위한 데이터셋 연계전략 제시 - -데이터셋의 성공적 연계를 위해 데이터에 대한 이해와 표준화가 필수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지자체 현안해결 지원을 위한 데이터셋 연계전략에 대한 『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했다.   □ 데이터 기반 문제 해결 연구에 앞장서고 있는 KISTI는 이번 이슈브리프를 통해 각 분야의 다양한 데이터셋 연계사례와 함께 데이터셋을 효율적으로 연계하여 활용하기 위한 핵심 전략과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 여러 출처의 정보를 결합하는 데이터셋 연계는 기후, 인구, 산업화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사회현안 해결이나 경제·사회적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꼭 필요한 데이터 운영 전략이다. ⭘ 국내외에서는 전염병 대응을 위해서 감염병 데이터, 방역 데이터, 의료 데이터 등 여러 정보를 연계해서 분석하고 있으며   ⭘ 지자체를 중심으로 자체 보유한 데이터셋과 카드 이용 정보 등 민간데이터셋을 함께 분석하여 지역상권 분석정보나 맞춤형 관광지 추천정보를 제공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데이터를 연계해 활용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 KISTI는 금번 이슈브리프를 통해 공공데이터포털의 데이터셋 57,421종의 항목명 200만여 건과 지진, 침수, 미세먼지 분야 402종 데이터셋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 표준화와 데이터 활용 목적 이해를 통한 연계전략을 제안하였다.   □ 여러 데이터셋을 결합하여 동일 의미 항목과 내용을 함께 분석하기 위해서는 항목명 표준화와 값 표준화 등 데이터 표준화가 필수적이다. ⭘ 예를 들어, ‘위도’, ‘LATITUDE’, ‘위도값’,‘위도 좌표’등의 항목명이 동일 의미를 갖는 다는 것을 관리할 경우 ‘위도’를 기준으로 분석할 수 있는 여러 데이터셋의 발견과 활용이 가능하다. ⭘ 위치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도로명주소’, ‘지번주소’, ‘위도/경도’, ‘좌표’ 등 다양하게 표현된 값을 상호 매핑할 수 있어야 한다.   □ 또한, 데이터셋을 어디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미리 고려하고 데이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데이터 연계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 데이터셋의 활용 목적은 해당 데이터셋을 구성하는 항목이나 실제 값을 통해 이해가 가능하며 ⭘ 데이터셋 동시 활용사례를 분석하는 것은 다양한 목적과 분야의 데이터셋 연계 요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아울러, 이슈브리프에는 실제 데이터셋을 연계하고자 하는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항목명 표준화 및 데이터값 표준화 방안과 이를 통한 데이터셋 연계결과가 소개되어있다.   □ KISTI 김재수 원장은 ‘대형화, 복합화되고 있는 사회현안 해결지원을 위해 다차원적 분석을 위한 데이터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KISTI는 데이터 종합연구기관으로서 데이터 연계의 핵심 전략과 기술 발전을 위해 더욱 노력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KISTI는 최근의 과학기술 정보 관련 현안‧이슈를 발굴‧분석하여 시사점 및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하고 있으며 홈페이지(https://www.kisti.re.kr/post/issuebrief)에서 확인 가능하다.
  • 152023. 05
    No. 692 View. 19318

    KISTI, 충청권 대학(원)생 대상 ‘슈퍼컴분야’ 사이버위협 시나리오 공모전 개최

    KISTI, 충청권 대학(원)생 대상 ‘슈퍼컴분야’사이버위협 시나리오 공모전 개최 - 슈퍼컴퓨터 분야 잠재적 사이버위협 선제적 예방 방안 모색 - 슈퍼컴·수자원·철도·발전·바이오 분야 동시 추진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15일부터 충청지역 대학(원)생 대상 사이버위협 시나리오 공모전*(슈퍼컴 분야**) 접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 2023년 충청 사이버보안 컨퍼런스와 연계하여 진행 ** 슈퍼컴, 수자원, 철도, 발전, 바이오 분야 동시 추진   □ 이번에 개최되는 사이버위협 시나리오 공모전은 2023년 충청 사이버보안 컨퍼런스에서 추진하는 행사의 일환으로 슈퍼컴 분야와 수자원, 철도, 발전, 바이오 분야에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신·변종 사이버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문제 상황과 대응방안 발굴을 목적으로 한다.   □ 현재 KISTI는 2005년부터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를 구축 및 운영을 통해 과학기술분야 61개 출연연·공공기관을 대상으로 365일 무중단 보안관제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KISTI가 자체 보유, 운영하고 있는 국가슈퍼컴퓨터도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의 보안관제를 통해 사이버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운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인공지능 기반 보안관제 자동화 탐지기술 개발 등 다양한 R&D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 KISTI는 이번 공모전을 통해 확보한 사이버위협 시나리오를 기술개발에 적용함으로써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 역량을 극대화하고 사이버위협에 대한 선제적 예방 및 대응 체계를 강화하는데 활용할 예정이다.   □ 슈퍼컴 분야 사이버위협 시나리오 공모전 우승팀에게는 KISTI 원장상 및 상금이 수여될 예정이며, 시상식은 9월 19일 소노벨(천안)에서‘2023년 충청 사이버보안 컨퍼런스’에서 진행될 계획이다. 전체 분야 시상식에서는 최우수상 1팀에게 상장(충남도지사) 및 상금(500만원), 각 분야 우수상 6팀에게 각 상장(공공기관장)과 상금(300만원)을 수여한다.   □ 공모전 접수는 5월 15일 ~ 7월 31일까지이며, 8월 중 분야별 심사를 거쳐 9월 1일 수상작을 발표할 예정이다. 공모전 참여방법은 개인 또는 팀(3인 이내) 단위로 행사 홈페이지(ccsc2023.kr)에서 공모전과 관련된 제출 양식(참가신청서, 개인정보 이용 동의서 등)과 함께 사이버위협 대응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이메일(ccsc2023@kisti.re.kr)로 제출하면 되며, 복수 분야 응모도 가능하다. □ 과학기술보안연구센터 송중석 센터장은 “슈퍼컴퓨터는 국가의 과학기술 연구개발을 위한 핵심 시스템으로 외부의 다양한 사이버위협을 선제적으로 방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사이버위협 시나리오 공모전을 통해 선정된 위협 시나리오는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 보안관제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 및 공공기관에 대한 사이버안전을 강화하고 국가 과학기술 핵심 연구정보자원을 보호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 KISTI 김재수 원장은 “국가경제 생명선인 슈퍼컴·수자원·철도·발전·바이오 분야는 사이버위협으로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며, 이번 사이버위협 시나리오 공모전을 통해 국가적 사이버안보 분야를 강화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 발굴의 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이번에 개최될 공모전은 KISTI와 한국정보보호학회 충청지부를 주관으로 충청남도, 한국서부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수자원공사, 국가철도공단,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가정보원이 함께 참여한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ccsc2023.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102023. 05
    No. 691 View. 19401

    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 평창지역망센터 개소식 및 서울대학교와 업무협약(MOU) 체결

    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 평창지역망센터 개소식 및 서울대학교와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5월 9일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에서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이하, KREONET) 지역망센터 개소식 및 서울대학교(총장 유홍림)와 MOU(업무협약)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KREONET은 국가 5대 기간전산망('83.3) 중 하나인 ‘연구전산망사업’(‘88년)을 시작하여, 정부출연기관, 정부·공공기관, 고등교육기관, 산업체연구기관, 학·협회 등 200여개 기관에게 고성능, 고품질의 연구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혁신적인 국가 연구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초고성능 국가 연구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 전국 18개 지역망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 MOU 체결을 통해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는 강원도 평창 지역의 핵심 교육기관으로서 KREONET의 첨단 연구 인프라를 평창지역에 지원하여 평창권 미래 스마트 농업 분야는 물론 및 천문/우주 등의 첨단연구 분야 연구를 추진하는데 큰 역할을 할 전망이다.   또한, KREONET 등 첨단 R&D 인프라 제공을 통해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가 지역거점 대학으로서 그린바이오 과학기반 학·연·산 협력을 매개하고, 서울대학교 광학관측소 및 한국천문연구원의 KVN(Korean VLBI Network; 한국우주전파관측망) 운영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홍림 서울대학교 총장은 “국가과학기술연구망 평창지역망센터 설치를 계기로 첨단 ICT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지역사회 혁신과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의 역할을 더 넓힐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김재수 KISTI 원장은 “KREONET의 18번째 지역망센터인 평창지역망센터 개소를 통해 테라급 국가과학기술연구망 구축 및 안정적 서비스를 발판으로 강원 평창 및 국내 연구자들에게 세계 최고 수준의 과학기술 연구망을 제공하기 위해 앞으로도 끊임없이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082023. 05
    No. 690 View. 19594

    KISTI, 디지털 기반 ‘2023년 청렴 서약식’개최

    KISTI, 디지털 기반‘2023년 청렴 서약식’개최 - 온라인 청렴서약서를 통한 전직원 반부패·청렴 의지 고취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지난 5월 3일 KISTI 대전 본원에서‘2023년 반부패·청렴 서약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2023년 반부패·청렴 서약식은 김재수 원장 취임 이후 매년 일관성 있게 추진해 온 디지털 기반 반부패·청렴 의지를 재확인하고, 기관 청렴도 개선을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이날 행사에서는 기관장 및 주요보직자들이 참석하여 반부패·청렴 및 청렴도 개선에 솔선수범하는 의지를 다졌고, 전 직원들은 온라인을 통해 디지털 청렴서약서에 서명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청렴서약서는 반부패·청렴 및 그 근간이 되는 신뢰와 협력의 조직문화, 갑질 예방, 연구윤리 및 이해충돌방지까지 직원들이 도출한 5가지 약속을‘TRANS KISTI’로 표현하였다.   그동안 KISTI는 ‘디지털 기반 경영’철학에 따라 기존 반부패·청렴 업무를 디지털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온라인상 ‘KISTI 윤리경영 포털’을 신설하고, 각종 상담·신고 채널도 온라인으로 전환하여 반부패·청렴 업무의 효율성과 직원 접근성을 개선한 바 있다.   KISTI는 앞으로도 직원들의 반부패·청렴 업무 참여도 및 공감대 향상을 위한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기관 청렴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국민으로부터 신뢰받고 전 직원이‘함께 행복을 누릴 수 있는, KISTI’로 거듭날 것을 다짐하였다.  
  • 032023. 05
    No. 689 View. 20640

    KISTI, 2023년 소방 빅데이터 분석 교육훈련 과정 운영

    KISTI, 2023년 소방 빅데이터 분석 교육훈련 과정 운영 - 국가 재난재해 상황 예측 및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소방 빅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전문가 양성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과 소방청(청장 직무대리 남화영)은 2023년 소방 빅데이터 분석 교육훈련 과정을 5월부터 8월까지 총 3차에 걸쳐 진행한다.   KISTI와 소방청은 2020년 과학기술 및 학술 인프라 활용·확산과 소방 빅데이터 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후 소방청 정보 및 데이터 분석 담당 직원을 대상으로 한 인공지능(AI) 활용 빅데이터 분석 교육을 매년 시행하고 있다.   본 교육과정을 통해 빅데이터 분석, 초고성능컴퓨팅, 인공지능 활용 등 KISTI의 내부역량과 소방청이 보유한 약 170억 건 이상의 소방 빅데이터를 연계하여 빅데이터 기반 국가 재난재해 문제해결과 안전서비스 혁신을 달성하기 위해 소방 빅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할 예정이다.   이번에 진행하는 2023년 소방 빅데이터 분석 교육훈련 과정은 1차(5.8~5.12), 2차(6.26~6.30), 3차(8.7~8.11)로 운영된다. ▲Tableau 활용 실습 ▲파이썬 활용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딥러닝 실습 등을 주제로 실습 중심 교육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KISTI와 소방청은 빅데이터 분석가 양성을 위한 보다 전문적인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향후 KISTI 슈퍼컴퓨터 인프라를 활용한 소방청 보유데이터 분석, 재난예측 모델 개발 등에서도 공동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기술 활용 기반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KISTI 과학데이터교육센터 안부영 센터장은 “매년 실시하고 있는 KISTI-소방청 소방 빅데이터 분석 교육훈련 과정을 통해, 소방청이 보유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국가 재난재해 상황을 예측하고 대응체계를 마련하는 빅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전문가가 양성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KISTI 과학데이터교육센터는 KISTI가 보유한 데이터, 슈퍼컴퓨팅 인프라와 데이터과학 전문인력을 활용해 산·학·연·정 재직자를 대상으로 전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과학데이터교육센터 홈페이지: https://kacademy.kisti.re.kr/)
  • 032023. 05
    No. 688 View. 19991

    KISTI, 거대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기반 줄기세포 분화 기저 규명

    KISTI, 거대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기반 줄기세포 분화 기저 규명 -대규모 다기능성 분화 줄기 세포의 면역 연구를 통한 발달 경로 분석 수행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과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예일대학교, UCSF, 워싱턴대학교의 연구진은 다기능성 분화 줄기세포 (Multipotent progenitor 3, 이하 MPP3)* 에서 염증 반응 프로그램에 따른 분화 기저를 규명하였다고 밝혔다. * 골수 내에 존재하는 혈구 세포 분화 기능을 가지는 Hematopoietic Stem Cell (HSC) 의 분화 첫 단계인 다기능 분화 줄기세포 (MPP) 유형 중 한 가지   골수 유래 줄기세포 연구 및 분화 기저 관련 연구는 기능 유전체 및 면역학 전문성에 기반한 다양한 데이터 분석 요구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혈액 암 치료 및 재발에 관한 생물학적/의학적 이해를 높이고 데이터 기반 의료 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KISTI는 축적된 바이오 의료분야의 대규모 분석 전문성을 바탕으로,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예일대학교, UCSF, 워싱턴대학교와의 국제 공동 연구를 수년간 진행하였으며, 연구 논문은 면역학 분야 최상위 국제 저널인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에 게재 될 예정***이다 ** JCI 상위 6%, Impact Factor=17.5 *** 2023년 4월 26일 게재 예정 (Secretory MPP3 reinforce myeloid differentiation trajectory and amplify myeloid cell production. 2023, JEM)   특히 대규모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하여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MPP3 세포의 새로운 하위 세포 그룹을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세포 유형은 세포내 소기관인 소세포체(ER, Endoplasmic Reticulum)의 폭발적인 사이토카인 분비에 의한 줄기세포 분화 기저를 규명하여 다양한 면역학 분야의 후속 연구가 기대된다.   공동 1저자인 KISTI 백효정 박사는 “대규모 분석을 진행한 단일세포 전사체는 최첨단 기술이 활용된 오믹스 분야의 떠오르는 빅데이터” 이며 “폭발적으로 단일세포 전사체 데이터가 축적되고 있는 시점에서 혈액 줄기세포의 분화 기저에 가장 중심이 될 분석 기술이 될 것으로 보이며, 다양한 면역학 관련 연구 현장에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고 말했다.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대외협력실
  • 담당자박준수
  • 연락처042-869-0864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