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온라인 코센세미나「2022 슬기로운 유학 가이드」 개최
KISTI, 온라인 코센세미나「2022 슬기로운 유학 가이드」 개최 - 미국, 캐나다, 스웨덴, 스위스의 한인 유학생 6인 연사로 나서 - - 유학 생활 성공비법 등 한인 학생 간 생생 유학 정보 공유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해외 대학원에 재학 중인 한인 학생들이 유학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코센세미나 ‘2022 슬기로운 유학 가이드’」를 오는 8월 23일부터 26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 KOSEN(한민족과학기술자네트워크, www.kosen21.org)은 전 세계 한인 과학기술자들을 하나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서비스(70여 개국 17만여 명 회원(*2022년 8월 현재 기준))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고 KISTI에서 운영하는 사업이다. - 코센세미나는 해외 현지의 한인과학자들을 실시간으로 연결하여 지식을 공유하고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프로그램이다. □ 미국, 캐나다, 스웨덴, 스위스에서 유학 생활 중인 6명의 한인 과학자가 해외 대학의 입학 준비과정부터 연구 및 해외 거주 경험 등 다양한 유학 생활 정보를 공유하며 교류에 나선다. - 8월 23일에 첫 발표를 진행하는 김형준 학생은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분자·세포 생물학을 전공하고 있으며, 유학을 위한 기본 준비부터 유학의 장단점 및 연구방법까지 유학 생활 전반을 소개한다. - 8월 24일에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이하 MIT)에서 RF 회로설계를 연구하는 신새벽 학생이 MIT에 입학하기 위해 준비했던 내용을 공유할 예정이다. - 8월 25일에는 캐나다 토론토 대학 이경은 학생과 스웨덴 왕립공대의 임안나 학생이 ‘캐나다 대학원 입학 과정 정복하기’와 스웨덴을 선택한 이유부터 연구 생활 외에 다양한 활동을 전한다. - 8월 26일에는 미국 서던캘리포니아 대학의 채현욱 학생과 스위스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의 김해은 학생이 유학 생활을 공유한다. 채현욱 학생은 반도체 분야의 연구계기와 미국과 한국 대학원 석박사 차이점을 중심으로, 김해은 학생은 ‘어쩌다 스위스 유학생’이라는 주제로 입학 과정과 스위스의 유학 생활을 소개한다. □ KOSEN 연구책임자인 KISTI 윤정선 책임연구원은 “현지 유학생들이 자신의 경험을 나누고 실시간 질의응답을 통해 참가자들에게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이번 프로그램은 유학준비생들에게 가뭄에 단비 같은 시간이 될 것”이라며 “KOSEN 세미나가 한인 연구자들이 정보를 공유하며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본 행사는 온라인(Zoom)으로 참여할 수 있고, 8월 23월(화)부터 26일(금)까지 총 6회에 걸쳐 진행된다. → 참가신청 링크 : https://answer.moaform.com/answers/E3Y027 → 프로그램 공지 : https://www.kosen21.org/notice/noticeView.do?noticeSeq=NOT_0000000000175326KISTI-KIPI-NRICH, 지능정보기술 통해 문화재 연구 경쟁력 제고
KISTI-KIPI-NRICH, 지능정보기술 통해 문화재 연구 경쟁력 제고 - 문화유산 연구기록물 보존·활용을 위한 지능정보기술 공동 연구 추진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 한국특허정보원(이하 KIPI) 및 국립문화재연구원(이하 NRICH)이 문화재 연구기록물 관리에 지능정보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해 상호 협력관계를 증진하고자 18일 NRICH 본원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 세기 동안 축적된 문화재 연구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보존 및 활용하기 위한 시각 인공지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유럽을 중심으로 고고학 분야에서 위성영상을 통해 고분을 발견하거나, 도자기 파편으로 그 원형을 찾거나, 수중 드론이 촬영한 영상에서 유물을 찾는 등 시각 인공지능을 적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번 세 기관의 업무협약은 과학기술 분야와 문화재 분야의 기관들이 교류·협력을 확대함으로써 문화유산 연구기록물의 보존 및 활용을 위한 지능정보기술 연구를 공동으로 수행하고, 나아가 국가 문화재 연구개발 효율성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협력내용은 ▲문화유산 연구기록물 보존․활용을 위한 지능정보기술 연구 ▲연구기록물 이미지 추출 및 검색 기술 적용 ▲기타 포괄적 업무협력 및 공동과제 발굴을 위한 인적·물적 자원의 교류·협력에 관한 사항 등이다. 구체적으로 세 기관은 시각 인공지능을 통한 문화재 유물 및 유적 이미지 검색 서비스 기능 등 문화유산 연구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지능정보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KISTI 김재수 원장은 “국가 발전을 위해 과학기술데이터를 축적하고 연구해 온 KISTI가 국가적으로 중요한 또 다른 데이터인 문화유산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와 활용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어 뜻깊게 생각한다.”며, “이번 협약으로 KISTI가 보유한 시각 인공지능 기술과 과학기술인프라가 문화유산 연구에도 적재적소에 활용되도록 공동 활용을 확대하고 효율적인 자원 분배를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강조했다.KISTI, 쿠웨이트 고등학생 대상 DATA·AI 캠프 운영
KISTI, 쿠웨이트 고등학생 대상 DATA·AI 캠프 운영 - 쿠웨이트 청소년들의 AI 기술 이해 증진 및 국제 과학교류 활성화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쿠웨이트 과학진흥재단(의장 H. H. The Crown Prince Sheikh Meshal Al-Ahmad Al-Jaber Al-Sabah, Kuwait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s, 이하 KFAS)과 협력해‘쿠웨이트 고등학생 대상 DATA·AI 캠프’를 8월 1일부터 3일까지 운영했다. 이번 캠프는 KISTI 전문 인력의 교육과 KISTI 인프라 견학을 통해 쿠웨이트 청소년들의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양 기관 간 국제 과학교류 및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본 캠프는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 ▲딥러닝 개요 ▲티처블 머신(Teachable Machine)을 활용한 머신러닝 모델 ▲인공지능 응용 및 활용 등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으며, 15명의 쿠웨이트 고등학생이 캠프에 참여했다. 아울러, 참여 학생들은 ▲온라인 과학 가상실험 콘텐츠 시연 ▲슈퍼컴퓨팅센터 견학 ▲가상증강 가시화 시스템(Computing and Advanced Visualization Environment, CAVE) 참관 등 KISTI 인프라를 견학하며 슈퍼컴퓨터 및 가상현실·증강현실에 대한 이해를 도모했다. KISTI 안부영 과학데이터교육센터장은 “이번 ‘쿠웨이트 고등학생 대상 DATA·AI 캠프’를 통해 쿠웨이트 학생들이 AI 기초 지식을 습득함과 동시에 한국의 과학기술 및 문화를 경험했다”며, “KISTI와 함께한 3일의 시간을 계기로 쿠웨이트 학생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글로벌 과학인재로 성장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KISTI 과학데이터교육센터는 KISTI가 보유한 데이터, 슈퍼컴퓨팅 인프라와 데이터과학 전문 인력을 활용해 산·학·연·정 재직자 및 미래인재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과학데이터교육센터 홈페이지: https://kacademy.kisti.re.kr/)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 네덜란드 연구망과의 협력 강화
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 네덜란드 연구망과의 협력 강화 - 한-네덜란드간 100기가급 국제 연구망 연동, 국제 데이터 교환노드 협력을 위한 MoU 체결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네덜란드 SURF* 본부에서 7월 25일(네덜란드 현지 시간 기준) 네덜란드 내 약 100개 대학, 대학병원, 연구소를 연결하는 네덜란드 국가연구교육망(SURFnet)과 국내 약 200개 출연(연), 대학, 공공기관 등을 연결하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간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SURF : 네덜란드 연구 및 교육 분야 IT를 위한 재단으로, 국가연구교육망(SURFnet), 슈퍼컴퓨터, 데이터, 보안, Trust & Identity 서비스를 제공함 KREONET과 SURFnet은 2005년부터 미국, 러시아, 중국, 캐나다 등과 함께 10기가급 글로벌 연구망을 구축하고, 글로벌 협업연구를 지원하며 협력해 왔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은 첨단 기초 및 응용과학 분야의 국제 협업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한국-유럽 100기가급 이상의 글로벌 연구망 협력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올해 KISTI는 KREONET 국제망 확장을 통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까지 100기가급으로 연동함은 물론, 유럽연구망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SURFnet과의 100기가급 연동을 추진한다. 한국-유럽 간 100기가급 이상의 글로벌 연구망은 기초물리연구를 위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대형강입자충돌기(LHC) 프로젝트, 미래 에너지인 핵융합에너지의 상용화 가능성을 과학기술적으로 실증하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국제공동 과학기술 프로젝트, 블랙홀 이미지 재현과 별 생성 규명 등을 목적으로 우주 전파 관측을 위한 유럽 초장기선전파간섭계(VLBI) 공동 연구소(JIVE)와의 한국-유럽 간 VLBI 협력연구 등 거대과학분야의 글로벌 연구협력 인프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양 기관은 기존의 인터넷 교환노드로는 불가능한 대용량 연구데이터의 민-관 교환을 위한 개방형 데이터 교환노드, 글로벌 광교환노드 개발 및 구축을 위해서도 공동 협력하기로 했다. KISTI 조부승 과학기술연구망센터장은 “유럽 연구망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는 SURFnet과의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한국-유럽 간 100기가급 초고속 국제연구망을 통한 고에너지물리, 핵융합, 천문우주 분야의 거대과학분야 글로벌 협력 연구를 가속화할 것이다”라고 밝혔다.KISTI, 2022 과학기술·공공 AI데이터 분석활용 경진대회 개최
KISTI, 2022 과학기술·공공 AI데이터 분석활용 경진대회 개최 - 다양한 과학․사회적 문제를 발굴하고 관련 데이터를 공개하는 ‘문제 발굴 부문’ 참가자를 7월 25일부터 우선 모집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이 주관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대전광역시, 국회도서관이 주최하는 ‘2022 과학기술․공공 AI데이터 분석활용 경진대회’가 7월 25일(월)부터 11월 24일(목)까지 개최된다. 올해로 3회째를 맞는 이번 경진대회는 AI데이터 기반의 과학․사회적 문제 해결과 D.N.A.(Data, Network, AI)의 저변 확대를 목적으로 한다. 총상금은 2,200만원으로, 최우수상 수상자에게는 국회의장상과 500만원의 상금을 수여하며, 우수 수상자에게는 학술대회 발표와 후속 공동연구 기회를 부여할 예정이다. 경진대회는 2개 부문으로 나뉘어 순차적으로 개최된다. 앞선 부문은‘문제 발굴 부문’으로, 다양한 과학·사회적 문제를 발굴하고, 관련 데이터를 공개하여 다양한 연구자의 해결 참여를 유도하는 부문이다. 이어지는 부문은 ‘AI 모델 개발 부문’으로, 데이터 기반으로 과학·사회적 문제에 최적 성능을 보이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는 부문이며, 앞 부문에서 선정된 문제가 과제로 제시된다. 7월 25일부터 접수를 시작한 ‘문제 발굴 부문’에는 AI 기반의 문제 해결이 필요한 개인과 기관이 참여할 수 있으며, 참가자는 문제에 대한 상세 정보와 함께 문제 해결과 관련된 데이터를 KISTI의 AIDA* 홈페이지(aida.kisti.re.kr)를 통해 공개해야 한다. *AIDA : AI Data Archive 이번 경진대회 참가자들이 활용할 AIDA 서비스는 과학기술 분야의 AI 데이터의 자유로운 개방과 활용을 위해 KISTI가 개발한 과학기술 기계학습 데이터 서비스다. KISTI는 AIDA를 통해 KISTI가 구축한 기계학습 데이터셋(국내 과학기술 논문 전문 텍스트, 국내 논문 질의응답 및 문장의미태깅, 보고서 표·그림, 기관 식별, 대전시 도로영상 객체인식 등)과 과학기술 논문 전문 기반 사전학습 언어모델을 공개하고, 이의 활용을 지원하고 있다. KISTI는 다양한 연구자들이 AIDA를 활용하여 과학기술 분야의 AI 데이터를 자유롭게 접근, 처리, 분석할 수 있도록 AIDA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서비스 사용자 지원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문제 발굴 부문에서 수상한 총 5개 팀은 한국과학기술원 원장상과 각 100만원의 상금을 수여받게 된다. 본 경진대회에 관한 상세한 정보는 AIDA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KISTI-KREN-KAUIC, 대학의 디지털 혁신 위한 업무협약 체결
KISTI-KREN-KAUIC, 대학의 디지털 혁신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과 (재)한국교육전산망협의회(이하, KREN), (사)한국대학정보화협의회(이하, KAUIC)는 7월 22일 대학 교육과 연구 분야에서의 성공적 디지털 전환 및 혁신을 도모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국내 대학들은 고등교육기관의 역할 뿐만 아니라 국가 R&D 수행 주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국가 과학기술 데이터 전문 연구기관인 KISTI와 대학 교육․행정을 위한 대학정보화 대표기관들인 KREN과 KAUIC은 대학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 및 혁신을 위한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간다. 이번 협약으로 세 기관은 ▲ID Federation 기반의 교육·연구용 응용서비스 발굴 및 확산 ▲교육·연구·행정 목적의 클라우드 이용 활성화 지원 ▲교육·연구 분야 정보화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기획 및 운영 등을 통해 대학의 정보화 혁신을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대학의 교육·연구·행정을 아우르는 대학 공동서비스가 발굴 및 개발되고, 나아가 KISTI의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과 한국교육전산망(KREN)의 융합 활용을 통해 대학 내 첨단 교육·연구기반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KISTI 김재수 원장은 “국가과학기술R&D 분야의 디지털 전환 선도 기관인 KISTI와 대학 교육정보화 분야 선도 기관들인 KREN 및 KAUIC의 협력을 통해 다가올 미래 대학혁신의 생태계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라 밝혔다. KREN 김홍기 이사장은 “(재)한국교육전산망협의회는 국립대, 사립대, 전문대를 포함한 모든 대학을 아우르는 국내 최대 규모의 대학협의체로서 KISTI의 데이터 역량을 기반으로 대학 공유플랫폼 구축 및 확산을 추진해 나가고자 한다”라고 밝혔다.KISTI-한국대학교육협의회-한국대학도서관연합회, 전자정보 컨소시엄 운영 효율화 위한 협약 체결
KISTI-한국대학교육협의회-한국대학도서관연합회, 전자정보 컨소시엄 운영 효율화 위한 협약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홍원화, 이하 KCUE), 한국대학도서관연합회(회장 오세훈, 이하 KUCLA)가 7월 21일 전자정보 컨소시엄 협력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KCUE는 ‘대학 전자정보 컨소시엄(KCUE 컨소시엄*)’의 주관기관이며, KUCLA는 해당 컨소시엄의 운영기관이다. KISTI는 연구·공공기관 등의 전문도서관이 참여하는 ‘전자정보 공동구매 컨소시엄(KESLI 컨소시엄)’의 주관기관이다. *KCUE 컨소시엄 : 전자정보의 공동구매를 통한 예산 절감과 학술정보서비스의 질적 향상 제고 및 전자정보 공급 유통 체계의 합리성과 효율성 확보를 위해 구성된 대학 협의체 세 기관의 협약은 이들이 주관·운영하는 전자정보 컨소시엄에 관한 것으로,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대학과 연구기관의 전자정보 수집과 활용을 효율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번 협약을 통해 KISTI는 전자정보 컨소시엄 운영 시스템을 KCUE 컨소시엄에 지원한다. KCUE와 KUCLA는 각 컨소시엄에 관한 정보공급사의 제시 조건 협상을 위해 컨소시엄 데이터 및 전략을 공유한다. 이를 통해 세 기관은 컨소시엄 운영의 효율화와 발전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며 협력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현재 국내 학술지 구독료의 약 80%를 대학이 지불하고, 연구논문의 80% 이상을 대학이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번 전자정보 컨소시엄 운영 주체 간의 협력과 KISTI의 인프라 지원은 학술지 구독 효율화와 오픈액세스로의 전환을 촉진하여 우리나라의 고비용·독점적 학술정보 이용환경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CUE 백정하 고등교육연구소장은 “글로벌 경제 위기와 환율이 급등하는 작금의 상황에도 대학의 연구와 교육은 안정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대학과 연구기관들의 학술지 구독료 문제를 해결하는 데 힘을 모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KUCLA 정동진 사무총장은 “이번 협력을 계기로 다양한 근거 데이터와 의사결정도구를 활용하여 전자정보 컨소시엄을 통한 대학 학술지 구독을 효율화하고, 오픈액세스를 진전시킬 수 있게 되었다”라고 강조했다. KISTI 최광남 국가과학기술데이터본부장은 “KISTI는 오픈사이언스 추진을 통한 국가 과학기술 R&D 혁신에 노력하고 있다.”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우리나라에 오픈액세스 전환계약이 확산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에 힘쓰겠다.”라고 밝혔다.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