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기술기회/경쟁정보 분석솔루션(TOD/COMPAS) 공개
기업에게 신제품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경쟁기술의 현황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기회/경쟁정보 분석솔루션(TOD/COMPAS)이 공개됐다.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한선화, 이하 KISTI) 기술정보분석센터는 12월 3일 수요일 오후 2시 코엑스 컨퍼런스룸 402호에서 ‘기술기회/경쟁정보 분석솔루션 공개세미나’를 개최하고 TOD와 COMPAS를 공개했다.기업의 보유제품을 기반으로 새로운 기회제품 영역을 탐색하고, 관심기업현황도 분석할 수 있는 기술기회탐색시스템 TOD(Technology Opportunity Discovery) 베타서비스와 글로벌 경쟁기술의 활동상황을 분석할 수 있는 경쟁정보분석시스템 COMPAS(Competitive Analysis Service) 1.0버전이다.TOD와 COMPAS 서비스는 신사업 기회를 탐색하고, 경쟁기술 및 경쟁기업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원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자 및 기술혁신형 기업을 지원 대상으로 한다.TOD는 기업이 보유한 제품과 기술을 근거로 새로운 제품과 기술 기회를 탐색하는 시스템이다. TOD는 크게 세 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용자가 보유중인 제품 및 기술과 관련 있는 기회제품을 추천해주는 ‘보유제품기반 기회제품 탐색서비스’, 기업 간 제품별 경쟁현황을 비교·분석하여 기회제품을 추천해주는 ‘경쟁기업 벤치마킹서비스’, 제품의 기능 및 기술을 탐색하여 적용 가능한 분야 및 기회제품을 추천해주는 ‘제품-기술 관계 분석서비스’ 등으로 구성된다. KISTI의 이재민 선임연구원은 “TOD는 상표 및 특허데이터에 최적화된 빅데이터 처리기술과 기술경영이론을 적용”했다며 “세계 최초로 구현한 제품-기술-기업 관계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신사업 기회를 탐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TOD는 다양한 종류의 특허분석모델 포트폴리오를 탑재해 자동화된 기능을 보유했다. 또한 TOD는 웹기반으로 수행, 직관적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사용자 접근이 용이하도록 설계됐다.COMPAS는 다양한 분석모델을 활용하여 R&D기획과 수행과정에서 필수적인 기술경쟁현황의 상시적인 모니터링을 지원하는 웹기반 솔루션이다. 지난해 베타버전(2013년 9월12일) 공개에 이어 올해 1.0버전을 공개했다. 기존에 서비스됐던 핵심 경쟁자 탐색, 핵심 경쟁자 프로파일, 유사특허 탐색, 무역역조 탐색, 인용트리 탐색 모듈에 이어 핵심특허 탐색, 주목 특허기술 탐색, 테크트리, 기술경로 탐색 등의 분석모듈이 새롭게 공개된다.COMPAS는 미국특허청의 미국 등록 특허, 유럽특허청의 PATSTAT DB, 무역 정보 및 논문 정보를 분석 대상으로 하고, 주기적 업데이트를 통해 최신 데이터를 담고 있다. 또한 COMPAS는 TOD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친화형 시스템으로 데이터, 분석결과, 보고서를 온라인으로 모두 제공하는 원사이트(one-site) 솔루션이다. 베타버전 오픈 후 200여 개 기관의 사용자가 3천 건 이상의 분석을 수행하는 등 COMPAS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COMPAS 개발을 주관한 이혁재 KISTI 책임연구원은 “1.0버전의 COMPAS는 기존의 경쟁정보분석 프로세스를 자동화/개인화함으로써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인력 측면에서 경제적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며, “기술·시장 기회발굴과 경쟁 환경 분석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여줌으로써 R&D기회와 위협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KISTI는 향후 TOD와 COMPAS를 통합 인텔리전스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KISTI-IITP, KIBO, KIPA 등과 MOU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지난 11월 6일(목) 일산 킨텍스에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기술보증기금(KIBO), 한국발명진흥회(KIPA) 등과 ICT 및 융합 분야 기술가치평가 활성화를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EDISON 사업 2014년 기초연구 우수성과 50선 선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한선화, 이하 KISTI)이 추진 중인 ‘첨단 사이언스․교육 허브 개발(EDISON: Education-research Integration through Simulation On the Net) 사업’이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정민근)에서 선정한 2014년 기초연구 우수성과 50선에 선정되었다. 우수성과 사례 50선 가운데 기초연구는 30건, 인문사회는 9건, 국책연구 11건이 선정되었으며, 출연(연)으로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함께 선정되었다. EDISON 사업은 KISTI의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으로 하는 연구 및 학습 플랫폼과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국책과제이다. 계산과학‧공학의 기본 및 응용원리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시간 및 시각적으로 연구‧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2011년 시작되어 올해로 4년차를 맞이하는 EDISON 사업은 1단계 사업을 통해 시뮬레이션 실행을 위한 웹 기반 통합 플랫폼인 EDISON 플랫폼 1.0과 사이언스 앱스토어 기술, 대규모 이기종 컴퓨팅 자원을 연동한 시뮬레이션 작업관리 기술 등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계산과학 3개 분야(전산열유체, 나노물리, 계산화학) 웹 포털에서 무료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으며, 올해부터는 기존의 3개 분야 외에도 전산설계와 구조동역학 신규 2개 분야를 선정하여 5개 분야로 확대되었다. 이런 성과를 해외에서도 인정받아 지난해에는 우리나라 최초로 슈퍼컴퓨팅 분야의 권위 있는 상인 IDC “HPC (초고성능컴퓨팅) Innovation Excellence Award”를 수상하기도 하였다. 한선화 KISTI 원장은 “EDISON 사업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국가 연구개발 기초연구 우수성과 50선에 선정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연구와 교육, 산업체 지원 등의 더 많은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조금원 EDISON 중앙센터장(KISTI 슈퍼컴퓨팅융합연구센터장)은 “EDISON 플랫폼과 소프트웨어는 슈퍼컴퓨터를 기반으로 국내 개발 시뮬레이션 SW를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며 “우리나라 미래 과학기술 경쟁력을 준비하고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며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 실현’이라는 국가 아젠다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1단계(2011년~2014년)에서 3개 분야의 기반 구축 및 서비스라는 목표를 달성한 EDISON 사업은 2단계 사업을 통해 확대된 5개 분야에서 상용화의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시스템을 보다 체계화시켜 2016년까지 이를 세계 최고 수준의 슈퍼컴퓨팅 서비스 플랫폼으로 고도화시킬 계획이다.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