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총 게시글 879 RSS
  • 302024. 08
    No. 809 View. 42386

    KISTI, 2024 DATA ‧ AI 분석 경진대회 문제 해결 참여자 모집

    KISTI, 2024 DATA ‧ AI 분석 경진대회 문제 해결 참여자 모집 - DATA 및 AI 기반의 사회․과학 문제의 혁신적 문제 해결을 위한 기회 마련 - 인공지능 데이터 서비스 / aida.kisti.re.kr / https://aida.kisti.re.kr/competition 2024 DATA·AI 분석 경진대회 인공지능 데이터 및 기술을 기반으로 사회·과학 문제를 해결하여 국내 인공지능 생태계 저변을 확대 기간 : 07. 10(수)~ 11. 20(수) 문제발굴 부문 다양한 사회·과학 문제를 발굴하고 관련 데이터를 공개하여 다양한 연구자의 해결 참여 유도 참가자격 : 사회·과학 당면 문제 해결이 필요한 기관이나 개인 문제해결 부문 제시된 사회·과학 문제 해결을 위한 높은 성능의 인공지능 모델 개발 참가자격 : AI 데이터 분석·활용에 관심이 있는 개인이나 팀 대회일정 문제발굴 (경진대회 기간 이후 상시 진행 예정) / 07.10~08.16 / 경진대회 플랫폼 문제 해결 / 08.23~10.25 / 경진대회 플랫폼 문제별 후보 선정 / 11.07 ~ 11.08 / 온라인 평가 우수 모델 선정 (추후 확정) / 11.13 / 발표 평가 시상식 (추후 확정) / 11.20 / 별도 공지 시상내역 2024 DATA·AI 분석 경진대회 시상 내역을 나타내는 표 부문 구분 수상자(팀) 시상 내역 상금 문제발굴 우수문제 발굴상 4인 KISTI 원장상 각 50만원 문제해결 우수문제 해결상 6팀 해양경찰청장상 국회도서관장상 대전중구청장상 수요기관상 추가예정 각 200만원 특별상 대상 1팀 국회의장상 400만원 최우수상 2팀 연구회이사장상 대전광역시장상 각 200만원 우수상 2팀 KISTI 원장상 각 100만원 발굴되는 문제 수 및 해결 방법의 우수성에 따라 수상팀의 수는 변동될 수 있음 총 상금 : 2,400만원 주최/주관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국회도서관, 대전광역시, 해양경찰청, 대전중구청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후원 : (사)한국콘텐츠학회 문의처 : 경진대회 운영사무국 / aidatacon@gmail.com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이 주관하고,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대전광역시, 해양경찰청, 국회도서관, 대전중구청이 공동 주최하는 ‘2024 DATA‧AI 분석 경진대회’에서 8월 23일부터 10월 25일까지 ‘문제해결 단계’ 참가자를 모집한다. 올해로 5회째를 맞는 DATA‧AI 분석 경진대회는 인공지능 데이터 및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회‧과학 문제를 해결하는 혁신적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해 매년 개최되고 있다. ‘문제 발굴 부문’과 ‘문제 해결 부문’으로 나뉘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이번 경진대회에서는 지난 8월 중순에 연구소, 공공기관, 중소기업 등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6개의 문제가 심사를 통해 공개됨으로써‘문제 발굴 부문’선정이 완료되었다. 현재 모집이 진행 중인‘문제 해결 단계’는 8월 23일부터 10월 25일까지 신청이 가능하며, 데이터와 AI 분석에 관심 있는 누구나 개인 또는 4명 이하의 팀으로 참여할 수 있다. 참가자들은 경진대회 홈페이지(aida.kisti.re.kr)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KISTI가 구축한 인공지능 데이터셋과 사전학습 모델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경진대회 문제 해결 부문에서 우수한 해결 방법을 제시한 6개 팀에게는 우수문제 해결상(해양경찰청장상, 국회도서관장상, 대전중구청상 등,  상금 각 200만원)이 주어진다. 또한, 별도의 발표평가를 통해 국회의장상(1팀, 상금 400만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사장상(1팀, 상금 200만원), 대전광역시장상(1팀, 상금 200만원), KISTI 원장상(2팀, 상금 각 100만원) 등 특별상이 추가로 주어진다. 더 나아가, 우수 수상자들에게는 학술대회 발표 및 공동연구 기회가 제공될 예정이다. 이번 경진대회는 데이터와 AI 기술이 사회적 문제 해결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KISTI는 앞으로도 사회적·과학적 문제를 발굴하고, 데이터와 AI를 기반으로 협력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경진대회에 관한 더 자세한 정보는 AIDA 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aida.kisti.re.kr/)
  • 142024. 08
    No. 808 View. 52977

    KISTI, 2024년 법무부 외국인행정 빅데이터 분석 교육훈련 과정 운영

    KISTI, 2024년 법무부 외국인행정 빅데이터 분석 교육훈련 과정 운영 - 외국인 정책 수립 및 효율적 추진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 양성 - 2024년 KISTI-법무부 외국인행정 빅데이터 분석 교육훈련 기간 : 8월 5일(월) ~ 8월 9일(금) 09:30~17:00 장소 : KISTI 본원 융합콘텐츠동 1층 교육장 대상 :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소속 실무자 주최 및 주관 : 법무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교육 프로그램 Tableau, R Studio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빅데이터 기반 통계분석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수행한다. 보고서에서 사용 가능한 여러 가지 사례를 통해 실무 활용능력을 높인다. 교육프로그램의 교육 주제 및 교육내용을 일자별로 나타낸 표 일자 교육주제 교육 내용 강사 1일차 (월) 빅데이터 분석 개론 빅데이터 개요 빅데이터 분석 계획, 수집 및 저장 이상환 (KISTI) 2일차 (화) Tableau 활용 교육 사례 기반 빅데이터 분석 이해 Tableau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실습 (법무부 가상데이터 기반) 서동민 (KISTI) 3일차 (수) R 활용 교육(1) : 데이터 분석도구 이해 R 및 R Studio 설치 및 활용 방법 데이터 구조 이해, 전처리 과정 실습 이용 (KISTI) 4일차 (목) R 활용 교육(2) : 빅데이터 분석 및 가시화 빅데이터 가시화 실습 빅데이터 분석 실습 5일차 (금) R 활용교육(3) : 외국인행정 빅데이터 분석 외국인행정 빅데이터의 변환 및 검색처리 실습 외국인행정 빅데이터의 통계 분석 및 가시화 실습 (법무부 가상데이터 기반) ※ 강의는 대면 강의를 원칙으로 진행되며, 사정에 따라 강의방법(온라인 등) 및 강의 순서 변경 가능성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법무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과 법무부는 ‘2024년 법무부 외국인행정 빅데이터 분석 교육훈련’과정을 개설하여 8월 5일(월)부터 8월 9일(금)까지 운영했다고 밝혔다. 2024년 법무부 외국인행정 빅데이터 분석 교육훈련은 빅데이터 분석에 대한 KISTI의 교육 역량을 바탕으로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가 보유하고 있는 외국인행정 정보를 외국인 정책 수립 및 추진에 활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번 과정을 통해 교육 참여자들은 빅데이터 분석, 슈퍼컴퓨팅, 인공지능 활용 등 KISTI의 내부 역량과 법무부가 보유한 외국인행정 빅데이터를 연계하여 빅데이터 기반 사회문제 해결과 공공서비스 혁신을 달성하기 위한 외국인행정 빅데이터 분석 역량을 강화했다.  과정의 주요 내용은 ▲빅데이터 분석 개론 ▲빅데이터 분석 도구 및 데이터 활용 ▲외국인행정 빅데이터 분석 및 가시화 등으로 법무부에서 실질적인 적용이 가능하도록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역량 강화를 중점을 두고 운영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KISTI와 법무부는 KISTI 과학기술 인프라를 활용한 법무부 보유 행정 데이터 분석, 외국인행정 빅데이터 플랫폼 개발 등에서도 공동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협력체계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KISTI는 지난 2018년 KISTI 강점 기반 전문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교육 전담 부서인 과학데이터교육센터를 설립했으며, KISTI가 보유한 데이터, 슈퍼컴퓨팅 인프라와 데이터과학 전문인력을 활용하여 산·학·연·정 소속 연구자를 대상으로 전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KISTI 과학데이터교육센터 김지영 센터장은 “KISTI와 법무부는 2021년부터 외국인행정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정부기관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DT(Data Technology) 기반 사회문제 해결 및 공공서비스 혁신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142024. 08
    No. 807 View. 53369

    KISTI, 2024년 쿠웨이트 고등학생 대상 DATA·AI 캠프 운영

    KISTI, 2024년 쿠웨이트 고등학생 대상 DATA·AI 캠프 운영 - 쿠웨이트 청소년들의 AI 기술 이해 증진 및 국제 과학교류 활성화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쿠웨이트 과학진흥재단(의장 H. H. The Crown Prince Sheikh Meshal Al-Ahmad Al-Jaber Al-Sabah, Kuwait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s, 이하 KFAS)과 협력해‘쿠웨이트 고등학생 대상 DATA·AI 캠프’를 7월 31일부터 8월 5일까지 운영했다고 밝혔다. 이번 캠프는 KFAS와 2022년부터 3년째 개최되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KISTI 전문 인력의 교육과 KISTI 인프라 견학을 통해 쿠웨이트 청소년들의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국제 과학교류 및 협력 활성화를 위해 마련됐다.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 ▲인공지능 챗봇을 통한 프로그래밍  ▲컴퓨팅 사고 팀 프로젝트 등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으며, 16명의 쿠웨이트 고등학생이 캠프에 참여했다. 아울러, 참여 학생들은 ▲가상 실증 실험 시설 (Computing and Advanced Visualization Environment : CAVE) 견학 ▲국가 슈퍼컴퓨팅센터 견학 ▲VlabON 온라인 수·과학 플랫폼 실습 ▲슈퍼컴퓨터 웹 서비스 포털(MyKSC) 활용 등 KISTI가 보유한 인프라를 체험하는 한편, 슈퍼컴퓨터 및 모델링·시뮬레이션 실습에 참여했다.  올해로 3년째를 맞는‘쿠웨이트 고등학생 대상 DATA·AI 캠프’는 매년 참여 학생들에게 큰 호응을 받은 것에 힘입어 올해 2월 KISTI와 KFAS 양 국가 기관은 ▲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공동 연구 수행  ▲전문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협력 등을 위한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KISTI 김지영 과학데이터교육센터장은 “올해에는 양 기관의 MOU체결 이후 첫 행사인 만큼, 학생들이 한국의 우수한 과학기술 플랫폼과 문화를 충분히 경험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팀 프로젝트를 통해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실습 프로그램을 강화했다”며 “KISTI와 함께한 이번 캠프를 계기로 쿠웨이트 학생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글로벌 과학인재로 성장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KISTI 과학데이터교육센터는 KISTI가 보유한 과학기술 데이터, 슈퍼컴퓨팅 인프라와 데이터과학 전문인력을 활용해 산·학·연·정 재직자 및 미래인재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과학데이터교육센터 홈페이지: https://kacademy.kisti.re.kr/)
  • 142024. 08
    No. 806 View. 52846

    KISTI, 2024 연구데이터 분석활용 경진대회 개최

    KISTI, 2024 연구데이터 분석활용 경진대회 개최 - 국가연구데이터플랫폼(DataON) 분석활용 사례 발굴을 통한 연구데이터 기반의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 제시 - 지금 바로! dataon 2024 연구데이터 분석활용 경진대회 연구데이터가 만드는 새로운 연구패러다임 공모내용 DataON 데이터 또는 개인의 연구데이터를 활용한 분석활용 사례발굴 참가자격 연구데이터 분석활용에 관심 있는 누구나 ※개인 또는 팀(최대 4명)으로 참여 가능 활용 데이터 DataON 데이터 및 공개된 데이터와 개인 보유데이터 활용 분석환경 경진대회 참가자는 KISTI에서 제공하는 DataON 환경에서 모든 과정을 수행해야 함 문의처 경진대회 운영사무국 T. 02-525-4721 E. contest@kisti.re.kr 응모방법 경진대회 홈페이지 / https://dataon.kisti.re.kr 서류접수기간 7.8.(월)~7.29(월) 대회 일정 대회공고 6.14.(금)-6.30.(일) 워크숍(설명회) 7.4.(목) 서류접수 7.8.(월)-7.29.(월) 서류평가 발표 8.2.(금) 사례 및 모델 개발 8.2.(금)-9.20.(금) 발표자료 제출 9.20.(금) 최종발표 평가 9.24.(화) 시상식 11.20.(수) 시상내역 총상금 500만원 총 5개 팀 선발 시상내역 및 상금 관련 표 구분 수상자(팀) 상금 및 부상 최우수상 1명(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상금 200만원 우수상 2명(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상 각 상금 100만원 장려상 2명(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원장상 각 상금 50만원 주최 : 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 주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가연구데이터플랫폼(DataON)을 운영하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주최하고 KISTI가 주관하는 ‘2024년 연구데이터 분석활용 경진대회’를 지난 6월 14일부터 개최하여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올해로 5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경진대회는 국가연구데이터플랫폼(DataON)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 또는 개인이 보유한 연구데이터를 활용한 분석활용 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매년 개최되고 있다.  2020년부터 KISTI에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DataON은 국내외 연구데이터 정보를 한곳에서 서비스하는 국가연구데이터 포털로서, 다량의 연구데이터를 검색, 공유,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기업인과 시민과학자 등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DataON을 통해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공동 협업 및 융합 연구를 수행하며, 나아가 국가 R&D 투자 효율성을 높이고 연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연구데이터 분석활용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이번 경진대회는 지난 7월 29일까지 DataON 경진대회 홈페이지(https://dataon.kisti.re.kr)를 통해 참가 신청을 받았다. 8월 2일에 진행된 1차 서류평가에서는 총 15개 팀이 본선 진출자로 선정되었으며, 본선에 진출한 개인 또는 팀은 KISTI에서 제공하는 DataON의 CANVAS 분석환경에서 모든 분석 및 활용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최종 발표평가자료는 9월 20일까지 제출해야 하며, 최종 발표평가는 9월 24일(화)에 KISTI 대전 본원 강당에서 외부 전문평가위원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경진대회에서는 최우수상 1명(팀)에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과 상금 200만원이 수여되며, 우수상 2명(팀)에게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상과 상금 100만원, 장려상 2명(팀)에게는 KISTI 원장상과 상금 50만원이 수여될 예정이다. 임형준 KISTI 연구데이터공유센터장은 "2024 연구데이터 분석활용 경진대회는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의 연구개발의 사례 발굴과 저변 확대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많은 과학기술 연구자들이 연구데이터를 활용하는 생태계가 구축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142024. 08
    No. 805 View. 43375

    KISTI-UNIST, 슈퍼컴퓨팅 청소년 캠프 성료

    KISTI-UNIST, 슈퍼컴퓨팅 청소년 캠프 성료 - 슈퍼컴퓨팅 활용 기술 이해 및 과학기술 대중화를 통한 인재 양성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울산과학기술원(총장 박종래, 이하 UNIST)와 공동으로‘슈퍼컴퓨팅 청소년 캠프’를 7월 29일부터 8월 2일까지 UNIST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캠프는 2015년부터 이어져 8회째로 개최되는 프로그램으로, 슈퍼컴퓨팅 활용 인재 발굴과 슈퍼컴퓨팅 및 AI 교육을 통해 첨단 과학기술 후속세대를 양성하고, 슈퍼컴퓨터에 대한 인식 제고로 첨단장비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을 해소하여 과학기술 대중화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30개 팀, 총 90명의 고등학생이 참여한 이번 캠프는 ▲슈퍼컴퓨터의 이해 ▲KISTI 슈퍼컴퓨터(NURION) 소개 및 활용 ▲Python 교육 및 Python을 활용한 병렬 컴퓨팅 이론과 실습 ▲TensorFlow를 활용한 AI 등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아울러, 참여학생들은 병렬컴퓨팅 및 인공지능 수업을 통해 슈퍼컴퓨팅 인재로서 필요한 기초 역량을 쌓았고, 이후 팀별 프로젝트를 통해 부산과학고등학교와 한솔고등학교가 대상으로 선정되었고 이외에도 최우수상, 우수상, 지도교사상 등 총 10개 학교가 KISTI 원장상과 UNIST 총장상을 수상했다. KISTI 권오경 박사는“이번 ‘슈퍼컴퓨팅 청소년 캠프’를 통해 학생들이 슈퍼컴퓨팅 기초 지식을 습득하고 현장에서 활용되는 최신 기술에 더욱 가까워질 수 있는 경험을 했다.”라며, “이번 캠프가 참가 학생들이 과학 인재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 312024. 07
    No. 804 View. 50681

    KISTI, 과학기술 특화 생성형 언어 모델 KONI 신규버전 공개

    KISTI, 과학기술 특화 생성형 언어 모델 KONI 신규버전 공개 - 대량 학습데이터와 RAG 기술 적용, 과학 기술 연구 혁신 가속화 기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7월 31일, 새로운 버전의 과학기술 특화 생성형 거대 언어 모델(이하 LLM; Large Language Model) KONI(KISTI Open Natural Intelligence, 한글명 고니)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버전의 KONI는 작년 12월 최초 개발한 모델에 비해 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였으며, 과학기술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되었다.  과학기술정보 전문 국가연구기관인 KISTI는 다양한 국가 과학기술 빅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여 과학기술에 특화된 LLM 개발을 선도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한 새로운 버전의 KONI는 사전학습 LLM인 KONI-Llama3-8B 및 Chat 모델인 KONI-Llama3-8B-Instruct 두 가지 버전으로 공개되었다. 이번 공개모델들은 기존 모델보다 2배 이상의 과학기술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되었으며, 추론, 글쓰기, 이해 등 다양한 작업에서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특히, 한국어 LLM에 대한 종합적인 사고력을 측정하는 LogicKor 벤치마크 리더보드(https://lk.instruct.kr/)에서 동일 크기 LLM 중 1위를 달성하였다. 무엇보다 단지 8B 모델 크기를 갖는 KONI LLM이 70B 이하 LLM 중 처음으로 LogicKor 점수 8점을 넘어선 8.21점을 기록함으로써 한국어 LLM 개발에 있어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였다. KISTI KONI LLM들은  Hugging Face(https://huggingface.co/KISTI-KONI)와 KISTI의 AI 데이터 공유·활용 서비스 AIDA(https://aida.kisti.re.kr/)에서 누구나 제약없이 다운로드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KISTI는 LLM에서 일반적으로 발생되는 환각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존 정보 서비스 시스템이 보유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검색 증강 생성 기술(RAG;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을 보유하고 있다. RAG 기술을 KONI와 연계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질의응답(Question-Answering)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과학기술 관련 법령, 규정, 지침을 대상으로 하여 KISTI 내부에서 성능 검증을 통해 연구원들의 다양한 피드백을 수집하여 추가 학습함으로써 KONI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켰다.  KISTI는 앞으로도 국가 과학기술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성능이 향상된 새로운 버전의 다양한 모델 크기의 KONI를 주기적으로 공개할 계획이며 과학기술 출연(연)뿐만 아니라, KISTI와 협력 중인 국방, 전력, 정책 등 여러 공공기관의 수요를 반영한 도메인 특화 LLM 또한 개발, 보급할 계획이다.  KISTI 김재수 원장은 "새로운 버전의 KONI를 통해 과학기술 및 산업 분야를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과학기술정보 유통과 분석 체계를 혁신적으로 개선하고, 더 나아가 연구자의 과학적 발견을 지원할 수 있는 에이전트(Agent)체계인 KONI 기반 자율 연구자 AI를 구축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312024. 07
    No. 803 View. 48455

    KISTI-농기평, 농식품 데이터 공유로 융합협력 생태계 연다

    KISTI-농기평, 농식품 데이터 공유로 융합협력 생태계 연다  - KISTI - 농기평, R&D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데이터 협력체계 구축 - - 한국형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고객 맞춤형 정보 서비스 제공 기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원장 노수현, 이하 농기평)과 지난 23일 KISTI 대전 본원에서 데이터 융합·협력을 통한 R&D 혁신생태계 창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MOU는 KISTI와 농기평이 보유한 R&D 데이터의 유통·융합 환경 조성을 위하여 긴밀한 데이터 협력 체계와 국가R&D 혁신생태계를 구축하고 데이터 협업 우수모델을 창출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양 기관은 서로 간 데이터 유통 및 AI 활용을 통해 대국민 서비스 모델 개발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MOU의 주요 내용은 ▲국가R&D 정보 활용․확산을 위한 데이터 활용 방안 마련 ▲농식품 R&D 정보의 공동 활용을 위한 기술 교류 및 KISTI 정보 플랫폼의 사용자 맞춤형 정보 제공 서비스 강화 ▲농식품 R&D 정보의 공동 활용을 위한 기술 교류 및 KISTI 정보 플랫폼의 사용자 맞춤형 정보 제공 서비스 강화 ▲과학기술정보 및 지식인프라의 공유 활용을 위한 연구 및 상호 교류 ▲국가과학기술 지식인프라(scienceON)공유 및 활용이다. KISTI 김재수 원장은 “이번 협약은 디지털 전환을 넘어 AI 전환 시대가 도래하는 현 상황에 발맞춰 R&D 혁신생태계를 창출할 수 있는 데이터 융합 협력의 중요한 시발점이 될 것”이라며,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농식품 산업 전반의 데이터 활용 생태계 강화와 데이터 협업의 우수 사례로 국가R&D 혁신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는 기대감을 밝혔다. 한편, KISTI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 데이터 융합 혁신이 새로운 산업 발전과 사회·경제 전반 재편 등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연구 분야·기관 간 칸막이 없는 데이터 유통·융합 환경 조성을 통해 데이터 활용 생태계를 한 차원 업그레이드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 242024. 07
    No. 802 View. 51691

    KISTI, 제조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세미나 개최

    KISTI, 제조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세미나 개최 - 부산DX협의체가 주도하는 지역 제조기업의 디지털 격차 해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 부산울산경남지원 주도로 결성된 부산DX협의체는 23일 한국해양대학교 서부산융합캠퍼스에서 ‘지역 제조기업 디지털 역량 강화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지난 6월에 이어 KISTI 부산울산경남지원, 한국산업단지공단 부산지역본부, 부산대 창업지원단, 부산대 기술지주(주), 부산벤처기업협회 등 부산DX협의체가 두 번째로 개최한 이번 세미나는 지역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DX)을 가속화하고, 생성형 AI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실무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제조기업이 가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방안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지역 제조기업의 DX 수요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참석자들은 최신 데이터 분석 기술 시연과 실습을 통해 DX 진입 장벽을 낮추고,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한편 지역 제조기업 디지털 역량 강화 세미나는 2023년 8월 24일 KISTI 과학데이터교육센터 및 인공지능플랫폼연구팀, 한국산업단지공단 부산본부, 부산벤처기업협회가 제조 중소기업 대상으로 출범하였으나, 현재는 부산대학교 창업지원단·기술지주(주)의 공동 개최로 지역 내 창업기업 육성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확장 운영되었다. 특히 본 세미나는 일회성 생성형 AI 실무세미나들과 달리, 부산DX협의체 회원사들이 산업 현장에 필요한 데이터와 DX의 수요를 발굴하고 진단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연계 운영되고 있다. KISTI 부산울산경남지원 서성호 지원장은 “불안정한 경제 흐름 속에서 제조기업의 경쟁력 확보는 AI 도입 여부와 제조기업의 데이터 관리 역량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며, “KISTI 부산울산경남지원은 앞으로도 부산DX협의체로서의 디지털 브릿지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 DX 진입 장벽 해소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242024. 07
    No. 801 View. 50984

    KISTI, 방위사업청 전문연구기관 위촉

    KISTI, 방위사업청 전문연구기관 위촉 - 상태기반예측정비(CBM+)와 기술교범 중심으로 연구기반 공고화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방위사업청 전문연구기관으로 위촉되어 무기체계 상태기반예측정비(이하 CBM+) 연구 기반을 공고히 다지게 되었다고 밝혔다.  방위사업청 전문연구기관이란 방위산업물자의 연구개발·시험·측정, 방위산업물자의 시험 등을 위한 기계·기구의 제작·검정, 방위산업체의 경영분석 또는 방위 산업과 관련되는 소프트웨어의 개발 등을 위해 방위사업청장의 위촉을 받은 기관으로 현재 KISTI를 포함한 35개 기관이 전문연구기관으로 지정되어 있다. KISTI는 2023년 3월‘무기체계 CBM+ 특화연구센터’를 개소한 이래 주요 방산업체와 CBM+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CBM+는 무기체계의 고장 현상을 모니터링하고, 고장진단, 잔존수명 예측을 위한 데이터, 프로세스, 시스템, 정책 등을 포괄하는 정비정책 개념이다. CBM+를 통해 정비주기를 최적화하여 정비비용 및 정비시간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무기체계의 가동률을 향상시켜 준비태세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무기체계를 정상적으로 운영·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을 필요한 수량만큼 적기에 준비함으로써 예산 효율화를 가져온다. 현재 KISTI는 CBM+를 위해 ▲ 무기체계 상태기반 결함탐지, 고장진단, 고장시점 및 잔존수명 예측 연구, ▲ AI 기반 무기체계 유지보수 의사결정 지원 모델 연구, ▲ 무기체계 상태기반 예측정비 데이터 활용·활성화 방안 연구, ▲ 무기체계 기술교범 국제 표준화 적용방안 연구 4가지 연구분야의 전문연구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무기체계 CBM+ 특화연구센터 황윤영 센터장은 “세계적으로 인정 받고 있는 K-방산의 성장과 함께 인공지능과 데이터 분석 등 첨단기술을 적용해 무기체계의 효율적 운영관리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라며, “데이터 종합 연구기관으로 거듭나고 있는 KISTI가 육·해·공군과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CBM+가 적용된 우리나라 무기체계가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CBM+ 연구에 더욱 매진하겠다”라고 밝혔다.
  • 102024. 07
    No. 800 View. 53309

    KISTI, 2024 DATA ‧ AI 분석 경진대회 개최

    KISTI, 2024 DATA ‧ AI 분석 경진대회 개최 - DATA 및 AI 기반의 사회․과학 문제 해결 및 AI 생태계 저변 확대 - 인공지능 데이터 서비스 / aida.kisti.re.kr / https://aida.kisti.re.kr/competition 2024 DATA·AI 분석 경진대회 인공지능 데이터 및 기술을 기반으로 사회·과학 문제를 해결하여 국내 인공지능 생태계 저변을 확대 기간 : 07. 10(수)~ 11. 20(수) 문제발굴 부문 다양한 사회·과학 문제를 발굴하고 관련 데이터를 공개하여 다양한 연구자의 해결 참여 유도 참가자격 : 사회·과학 당면 문제 해결이 필요한 기관이나 개인 문제해결 부문 제시된 사회·과학 문제 해결을 위한 높은 성능의 인공지능 모델 개발 참가자격 : AI 데이터 분석·활용에 관심이 있는 개인이나 팀 대회일정 문제발굴 (경진대회 기간 이후 상시 진행 예정) / 07.10~08.16 / 경진대회 플랫폼 문제 해결 / 08.23~10.25 / 경진대회 플랫폼 문제별 후보 선정 / 11.07 ~ 11.08 / 온라인 평가 우수 모델 선정 (추후 확정) / 11.13 / 발표 평가 시상식 (추후 확정) / 11.20 / 별도 공지 시상내역 2024 DATA·AI 분석 경진대회 시상 내역을 나타내는 표 부문 구분 수상자(팀) 시상 내역 상금 문제발굴 우수문제 발굴상 4인 KISTI 원장상 각 50만원 문제해결 우수문제 해결상 6팀 해양경찰청장상 국회도서관장상 대전중구청장상 수요기관상 추가예정 각 200만원 특별상 대상 1팀 국회의장상 400만원 최우수상 2팀 연구회이사장상 대전광역시장상 각 200만원 우수상 2팀 KISTI 원장상 각 100만원 발굴되는 문제 수 및 해결 방법의 우수성에 따라 수상팀의 수는 변동될 수 있음 총 상금 : 2,400만원 주최/주관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국회도서관, 대전광역시, 해양경찰청, 대전중구청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후원 : (사)한국콘텐츠학회 문의처 : 경진대회 운영사무국 / aidatacon@gmail.com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이 주관하고,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대전광역시, 해양경찰청, 국회도서관, 대전중구청이 공동 주최하는 ‘2024 DATA‧AI 분석 경진대회’가 7월 10일(수)부터 11월 20일(수)까지 개최된다. 올해로 5회째를 맞는 DATA‧AI 분석 경진대회는 인공지능 데이터 및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회‧과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년 개최된다. 총 상금 2,400만원이 걸려있는 이번 대회에서는 수상자에게 국회의장상,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상 등 상장과 상금이 수여될 예정이며, 학술대회 발표와 후속 공동연구 기회도 제공된다. 경진대회는 ‘문제 발굴 부문’과 ‘문제 해결 부문’으로 나뉘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문제 발굴 부문에서는 공공기관과 중소기업 등이 당면한 사회·과학 문제를 발굴하고, 관련 데이터를 공개한다. 이어지는 문제 해결 부문에서는 앞 부문에서 선정된 문제가 과제로 제시되며, 참가자들은 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여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전하게 된다.   7월 10일부터 접수를 시작하는 문제 발굴 부문은 AIDA (https://aida.kisti.re.kr)의 경진대회 메뉴를 통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문제 발굴 부문은 기관이나 개인이 당면한 사회·과학 문제를 자유롭게 제출하는 ‘자유 주제 부문’과 기관·지역 등의 현안 주제를 지정한 ‘지정 주제 부문’으로 구성된다. 제출된 문제 중 평가를 통해 선정된 문제는 공개되어 ‘문제 해결 단계’로 이어지게 된다.  AIDA는 KISTI가 구축한 인공지능 데이터 공유‧활용 서비스로 과학기술 분야 AI 데이터의 자유로운 개방과 활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AIDA에는 국내 과학기술 논문 데이터셋 등 KISTI가 구축한 인공지능 데이터셋과 사전학습 모델이 공개되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문제 해결 AI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환경도 지원하고 있다.  KISTI는 경진대회 이후에도 상시적으로 사회·과학 문제 발굴을 진행하여 DATA·AI를 기반으로 협력적으로 해결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경진대회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AIDA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aida.kisti.re.kr/competition)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대외협력실
  • 담당자박준수
  • 연락처042-869-0864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