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총 게시글 857 RSS
  • 052018. 03
    No. 297 View. 21207

    KISTI, 서울대와 거대규모 슈퍼컴퓨팅 시뮬레이션 SW 개발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과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최해천 교수 연구팀은 에어컨 실외기 팬* 주위의 바람을 모사하기 위한 거대규모 슈퍼컴퓨팅 시뮬레이션 SW를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 팬은 회전하면서 다량의 공기를 팬의 앞쪽 혹은 뒤쪽으로 불어주는 기계이다. 에어컨에서 팬의 역할은 공기를 이동시켜 열교환기와 열전달을 하고 고객이 원하는 곳에 쾌적한 공기를 제공해주는 것이다. ○ 슈퍼컴퓨터에서 개발된 SW를 활용해 팬 주의의 바람 현상을 해석하여 LG전자의 시스템에어컨에 적용하기도 하였다. □ 이번 슈퍼컴퓨팅 시뮬레이션 SW는 KISTI 슈퍼컴퓨터에서 최대 6,000개* 이상의 CPU를 동시에 사용하여 기존대비 약 8배 이상의 정밀도가 가능하다. 팬 주위의 공기 유동을 예측하여 효율을 떨어뜨리고 소음을 발생시키는 주범인 소용돌이를 슈퍼컴퓨팅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다. 소용돌이를 발생시키지 않고 바람이 잘 흐르도록 유로(流路)에 돌기를 달아 유동을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에어컨의 풍량 증가, 소음 감소를 실현하였다. * 6000개 CPU(중앙처리장치)는 약 68.7테라 플롭스(1초당 68.7조 회 연산속도) 정도의 고성능 연산이 가능한 수준으로 KISTI 슈퍼컴퓨터 4호기에서 약 25%를 차지하는 규모임 ○ 팬에 필요한 전기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쓰는지를 의미하는 에너지 효율과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은 팬의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여겨지고 있다. □ 에너지 효율적이고 저소음의 팬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팬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모두 고려해야 하는데, 실험적인 방법만으로는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어렵다. 이를 실제와 유사하게 모사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슈퍼컴퓨팅 없이는 불가능하다. □ KISTI는 거대규모의 계산을 필요로 하는 슈퍼컴퓨터 사용자들에게 최적병렬화* 기술 및 계산자원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서울대는 KISTI와 공동으로 SW를 개발하여 KISTI 슈퍼컴퓨터 4호기에서 팬 주위의 유동현상을 모사하였다. * 최적병렬화는 슈퍼컴퓨터에서 수천대의 CPU가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코드를 개발하여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 □ KISTI 슈퍼컴퓨팅본부 황순욱 본부장은 “기존대비 70배 성능이 향상될 KISTI 슈퍼컴퓨터 5호기가 구축 중에 있으며, 슈퍼컴퓨팅 시뮬레이션 SW으로 기업의 제품 개발 주기 및 비용 절감에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262018. 02
    No. 296 View. 21051

    슈퍼컴퓨터와 계산과학 SW 활용으로 가상환경에서 문제해결 능력 겨룬다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는 계산과학공학 활성화와 융합 인재양성을 위해 23일(금) 대전 KT 인재개발원에서 ‘제7회 첨단 사이언스·교육허브개발(EDISON) SW 활용 경진대회’를 성황리에 마쳤다.  ㅇ 동 대회는 대학(원)생들이 슈퍼컴퓨터에 연결된 계산과학공학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양한 주제에 대한 가상실험 연구를 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행사이다. 참가자들은 KISTI의 첨단사이언스·교육허브개발사업(EDISON)* 으로 개발된 시뮬레이션 SW와 플랫폼을 활용한다.       * EDISON(EDucation-research-industry Integration through Simulation On the Net):  주요 계산과학 분야의 시뮬레이션 SW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탑재·공유하는 온라인 플랫폼(www.edison.re.kr)을 통해 교육·연구서비스를 제공  ㅇ 올해는 구조동역학, 전산설계, 전산의학, 도시환경, 나노물리, 계산화학 등 6개 전문분야에 109팀 250명이 참가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겨루며, 특히 전산설계 분야는 계산과학공학 SW로 설계한 보행로봇으로 주행경기도 진행했다. □ ‘에디슨(EDISON)’은 고급 융합인력을 양성하고 국내에 계산과학공학 SW를 보급·확산하여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ㅇ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컴퓨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가상 실험이 가능하고, 강의실에서 배운 이론과 아이디어를 쉽고 재미있게 SW로 구현할 수 있어 교육과 연구 현장에서 호응이 크다.  ㅇ 2011년부터 현재까지 교육용 소프트웨어 480종을 개발하여 국내·외 58개 대학, 1,506개 교과목에서 5만 2천여명에게 서비스를 제공했고, 15개 중소기업의 문제해결도 지원하였다. 대만, 베트남 등 국가에도 사업 모델을 전수*하고 있다.    * 대만 NCHC(국가슈퍼컴퓨팅센터), 베트남 ICST(계산과학연구소)와 협력  ㅇ 그 결과, ‘2017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2016년 ‘인터넷에코어워드 사회공헌 혁신대상’, 2013년 IDC ‘HPC* Innovation Excellence Award’ 수상, 2014년 ‘기초연구 우수성과 50선’ 선정 등 국내외에서 기술력과 혁신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 HPC : High Performance Computing, 고성능컴퓨팅  ㅇ 올해는 사용자들의 경험과 추천을 많이 받은 우수 SW를 제품화하고, 서로 다른 전문분야의 기술을 융합한 SW를 제작하는 등 성과 고도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 KISTI 최희윤 원장은 “교육과 연구의 선순환 체계구축 및 융합 환경은 교육 및 연구방법론을 개선하여 R&D 효율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222018. 02
    No. 295 View. 19695

    KISTI, 세계정보기술서비스연맹(WITSA) 국제 ICT 어워드 최우수상 수상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의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이하 NTIS*)가 19일 인도 하이데라바드에서 열리는 ‘WITSA 글로벌 ICT Excellence Awards 2018’에서 공공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 NTIS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 사업,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 정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정보를 한 곳에서 서비스하는 지식포털 (www.ntis.go.kr) □ ‘WITSA Global ICT Excellence Awards’는 세계정보서비스연맹(WITSA*)이 주관하는 상으로, 전 세계적으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혁신적인 서비스 성과를 달성한 최우수기관에게 수여한다. 매년 개최되는 세계정보기술올림픽(World Congress on IT, 이하 ‘WCIT’)에서 시상식을 거행하고 있다. ㅇ WITSA는 세계 IT 산업의 육성, 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 및 국가 간 IT분야 무역진흥과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설립된 세계 최대 IT 국제민간기구로, ㅇ IT분야의 올림픽 또는 다보스 포럼이라고 불리우는 세계 최고의 권위있는 ICT 포럼인 WCIT를 개최한다. □ 2018년 ‘WITSA Global ICT Excellence Awards’ 공공부문에는 전 세계 각국 정부, 공공기관 및 비영리단체가 응모하여 경쟁하였다. ‘국민, 시민들의 요구에 맞춘 정부의 효율성 향상’, ‘정부운영 비용 및 시간 절감’, ‘양질의 정보 접근성’ 등을 중점적으로 평가하여, NTIS가 공공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 NTIS는 정부기관 중심의 폐쇄적인 정보 개방에서 일반 국민까지 확대된 열린 개방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신장하고 정보 격차를 해소하였다. ㅇ NDSL*의 특허·논문, 기술동향정보, 연구보고서 원문 등을 연계하여 국가연구개발정보와 함께 약 1억1천만건의 과학기술정보까지 국민이 한 곳에서 쉽고 간편하게 과학기술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편이성을 개선한 점이 높이 평가되었다. * NDSL(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논문, 특허, 보고서, 동향 등 과학기술정보 약 1.6억건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의 전자도서관 (ndsl.kr) □ 해외 협력을 통하여 NTIS 기술과 노하우를 전수하고 현지인력 양성을 도와 개발도상국의 과학기술 역량 강화에 기여한 점도 좋은 평가를 이끌었다. ㅇ NTIS는 2013년 베트남을 시작으로 2015년 카자흐스탄, 2016년 캄보디아, 2017년 코스타리카의 ‘국가연구개발관리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ㅇ 각 나라의 현지 상황에 맞는 맞춤형 컨설팅 제공과 교육을 통한 현지 인력 양성 지원을 통하여 세계 IT 산업 발전에 공헌하였다. □ KISTI 최희윤 원장은 “이번 수상은 그동안 KISTI가 국내 최고의 과학기술정보를 모든 국민이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이용자와 소통한 노력의 열매라 더욱 값지다.”며 “KISTI가 구축한 소중한 지식 인프라를 국가와 국민이 잘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더욱 성장·발전시켜, 과학기술 데이터 생태계 변화와 혁신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 222018. 02
    No. 294 View. 19292

    제7대 최희윤 KISTI 원장 취임사

    "국가와 국민을 위한 데이터생태계 중심기관, KISTI" 사랑하는 KISTI 가족 여러분! 오늘 이 자리에 함께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정말 반갑습니다. 제가 여기 서게 된 것은 그 동안 여러분과 함께 한 소중한 시간과 따뜻한 성원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KISTI가 있기까지 헌신하신 전임 원장님들과 선배님, 동료, 후배 여러분께 깊은 존경과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KISTI는 제가 33년전 꿈 많았던 직장생활의 첫발을 내디딘 곳입니다. 또 다시 돌아와 일해 온 제겐 정말 특별하고 소중한 일터입니다. 이곳에서 첫 직장 생활을 시작할 때와 다시 돌아왔을 때 설레였던 마음처럼, 원장의 소임을 받아 여러분과 함께 할 생각을 하니, 다시 가슴 설레고 벅찹니다. 기쁜 마음과 함께 어려운 대내외 상황에서 우리가 가야할 길과 해야 할 일이 주는 책임감도 무겁게 다가옵니다. 하지만 여러분과 함께 한다면 소명의 일터를 위해 감당할 무게만큼 기쁨과 보람도 크리라 생각합니다. KISTI 가족 여러분! 다양한 과학기술 현장에서 우리 KISTI는 지난 50여년간 지식인프라의 구축과 활용을 통해 국가 과학기술과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하며 성장해 왔습니다.  하지만 아시는 것처럼 우리를 둘러싼 대내외 환경은 녹록치 않습니다. 국가적으로 성장동력 약화와 일자리 부족, 국민 안전 보장 미흡, 삶의 질 저하 등 다양한 문제들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4차 산업혁명의 중요한 거점으로써 출연(연)의 역할이 중요해 지고 있습니다. 우리 KISTI도 국가로부터 부여받은 고유 역할을 재정립하고 연구자 중심의 프로세스로 혁신하는 등 시대적 요구와 사회현안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합니다. 그동안 우리가 구축한 지식인프라를 바탕으로 과학기술 데이터 생태계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고,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하는 구심체로 국가 혁신 성장의 밑거름이 되어야 합니다. 저는 오늘 KISTI 7대 원장직을 출발하면서, 우리가 해낸 것, 해낼 것, 우리만의 경쟁력을 더욱 발전시켜 가는 ‘강점혁명’을 일으키자고 제안합니다. 우리가 축적해 온 지식인프라 등 기본 역할을 충실히 하면서 새로운 시대 흐름에 부응하는 것이 강점혁명입니다. 세계 10위권의 국가슈퍼컴퓨팅센터, 국내 최대의 과학기술 정보와 연구데이터의 결합은 우리에게 놀라운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이들 KISTI 지식인프라를 이제 국가와 국민을 위한 시스템으로 성장, 발전시켜 great KISTI, pride KISTI 로 만듭시다. 강점혁명을 일으키는 KISTI의 동력(Driving Force)은 무엇일까요? 바로 여러분입니다! 여러분이 가진 핵심역량을 하나하나 결집하고, 흩어져 있던 사업과 성과를 연계 융합하여 개인과 조직, 나아가 기관 차원의 역량으로 축적하고 발전시키도록 하겠습니다. KISTI 지식인프라를 통해 지식과 데이터가 흐르고, 공유되며 가치가 창출하는 선순환의 역동적 데이터 생태계를 KISTI를 둘러싼 산학연 공동체와 함께 만들어 가겠습니다. 이제 우리 KISTI는 4차산업혁명 시대에 국가와 국민의 기대에 적극 부응해야 합니다. 과학기술 정보연구기관으로서 ‘KISTI다운’ KISTI를 만들고 고유한 역할 모형을 만드는 데 온 힘을 기울여 나가야 합니다. 무엇보다 KISTI가 중점을 두어야 할 것들에 더욱 집중할 것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오픈사이언스 시대의 핵심자원인 연구데이터 공유·활용 체계를 마련하겠습니다. 과학기술 정보와 연구데이터를 연계하고, 오픈리포지터리를 개발해 세계적 수준 과학기술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특히 가급적 데이터는 대폭 개방하여 산학연이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R&D 생산성 제고와 연구산업 육성에 기여하겠습니다. 국가 현안 대응 정보분석 체계를 강화하겠습니다. 빅데이터에 기반한 정보분석 역량을 강화하고, 근거 기반의 미래기술 예측으로 국가 혁신성장을 지원하는 지능형 분석 플랫폼을 구축하겠습니다. 분석기법에 인공지능을 적용하고 슈퍼컴퓨팅 활용을 확대할 것입니다. 지원 조직도 지역 특화 빅데이터센터 등으로 점진 전환하여 각 지역별 니즈를 데이터 기반으로 충족시켜 나갈 방안을 찾겠습니다. 그리고, ‘국가슈퍼컴퓨팅센터’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여 국가적 슈퍼컴퓨팅 리더십을 복원해 갈 것입니다. 우선 슈퍼컴퓨터 5호기를 성공적으로 구축하여 조속히 서비스를 안정화하고, 4차산업혁명 시대에 초대형 과제 등 국가적 수요와 현안 문제 해결은 물론 중소기업도 많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국가사회적 기여도를 보다 더 높여 나가고자 합니다.   KISTI 연계 인프라는 산학연 협업 생태계의 핵심 플랫폼이 되어야 하지만, 특히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의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을 묶는 연구데이터 공유 체제와 오픈리포지토리 구축도 적극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  이러한 일들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우리 KISTI의 전반 사업체계를 데이터를 강화한 지식인프라로 재구성해 나가겠습니다. 국가연구데이터센터로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기존 사업과 선순환하며 확대 발전시키는 방안을 적극 구상해 나갈 것입니다. 우리 KISTI가 가진 핵심역량과 핵심기술에 대한 현황판과 로드맵 등 구체적인 도식화 작업도 추진하고자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기관의 중장기 발전 전략이 수립되고 구현되는 구조로 만들어 나가고자 하는 것입니다. 우리 KISTI가 기관의 정체성과 시대적 요구에 맞게 발전하려면 단기적 혁신뿐만 아니라 상시적 혁신 또한 필요합니다. 그 변화와 혁신의 맨 앞자리에 제가 서겠습니다. 여러분 모두가 함께 참여해 주셔야 합니다. 정부 출연연구기관으로서 KISTI, 그리고 우리 연구자는 열심히 달려야겠지만 끊임없는 자기 성찰도 필요합니다. 우리가 국가와 국민에게 필요한 인프라 구축과 연구를 수행하는지? 연구개발 성과는 인프라와 서비스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실제 성과는 고객을 위해 어떤 가치를 창출하는지? 등 기본 목적에 맞는 방향인지를 늘 고심하고 점검해야 합니다. 다양한 현안에 대응하고 최선의 정책을 위해 격의 없이 토론하고, 하지만 결론이 도출되면 모두 한 방향으로 함께 나아갑시다. 조직 체계는, 전략 수립과 연구기획 및 조정 기능을 강화하고 정보정책 연구 등 싱크탱크로서 역할을 보강해 나갈 계획입니다. 연구와 사업에 보다 더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조직 단계를 축소하는 등 조직 슬림화를 추진하겠습니다. 소모적인 프로세스와 연구행정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서 실제적 연구사업 투입 인력이 늘어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부서와 개인이 상호 협력하고, 대형 연구과제를 기획하여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조직을 탄력적으로 운영하겠습니다. 공동체를 위해 함께 협력하며 일하는 사람이 적절한 보상과 평가를 받는 조직 구조와 문화를 함께 고민해 주셨으면 합니다. 경영혁신 측면에서는, 신뢰, 창의, 투명, 상생경영 등 함께 하는 “KISTI Together” 전략과 혁신에 동기를 부여하는 가감승제(+-×÷)식 혁신을 추진하겠습니다. 이 가감승제 혁신방안은 여러분의 이슈 제기로 이루어질 것입니다. 혁신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보람 있고 활기찬 조직을 만드는 것입니다. 우리의 각 사업과 개인, 조직 영역에서 해야 할 가감승제를 찾아서 우리 스스로 크고 작은 조직의 문제를 개선하고 혁신하는 조직문화를 함께 만들어 갑시다. 행정관리 측면에서, 네가티브제 시행으로 안 되는 것만 분명히 하고 나머지는 자율성을 확대하는 체제로 갔으면 합니다. 비효율적인 관행이나 프로세스는 해소하고, 찾아가는 서비스로 연구사업과 행정 부문이 상호 이해하고 협력하는 체계를 만들겠습니다. 인적자원 개발 측면에서, 공통 역량 교육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자기주도적 학습 방식의 생애 경력관리와 핵심역량 개발을 지원하여 전문가와 리더로 성장하게끔 도울 것입니다. 자발적인 학습과 협력으로 지식이 축적·공유되는 환경도 만들겠습니다. 지식공유와 학습 조직이 원활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지식이 막힘없이 흐르는 내부 지식생태계를 만들어가겠습니다. ‘KISTI 연구공동체’는 신뢰의 공동체이어야 합니다. 동료와 함께, 고객과 함께 서로 믿고 도우며 함께 성장하는 신뢰의 공동체 문화가 우리에게 절실합니다. 선의의 경쟁과 협력을 통해 공동체의 역동성도 되찾게 할 것입니다. 몸과 마음이 건강한 굿라이프(good life)의 새로운 공동체 문화를 함께 만들어 나갑시다. 건강한 KISTI 공동체가 되려면 원활한 소통이 필수적입니다. 소통이 될 때 일하는 조직이 되고 능력 있는 기관이 될 것입니다. 여러분의 건의나 의견에 늘 먼저 귀를 기울일 것입니다. 정보공유와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상호 존중하고 배려하는 신뢰와 화합의 노사 협력체계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오프라인이건 온라인으로든 상시 소통하여 문제가 해결되고 궁금증이나 의혹이 해소되는 구조를 만들었으면 합니다. KISTI 구성원 누구나 각종 위원회에 참여하고, 참관할 수 있게 하여 깨끗하고 투명한 경영과 연구가 이뤄지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솔선하고, 보직자들이 주도하여 건강한 조직문화가 정착되도록 할 것입니다. 평가와 성과의 보상은 ‘공정’하고, 기회는 ‘공평’하게 주어지며, 절차는 투명하게 ‘공개’하겠습니다. 창의적 아이디어와 혁신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를 장려하는 문화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우리 함께 만들어 나갑시다. 사랑하는 선후배 동료 여러분! KISTI는 이제 과학기술 축적의 시대를 열어갈 변화와 혁신으로 기본이 튼튼한 정보연구기관으로 다시 태어나야 합니다. KISTI 60년을 향한 우리 모두의 힘찬 발걸음을 서로 응원하고 격려해 줍시다! 서로 믿고 의지하며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연구공동체를 함께 만들어 갑시다! “함께 성장하는 KISTI!” “4차산업혁명을 견인하는 데이터 생태계 중심기관” “국가와 국민을 위한 KISTI” Great KISTI, Pride KISTI 로의 도약을 위해 늘 여러분과 함께 하며, 저도 정성을 다하겠습니다. 무술년 새해, 여러분의 가정과 일터에서 무슨 일이든 기쁘게 술술 풀려가는 뜻 깊은 한 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18년 1월 24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제7대 원장 최 희 윤
  • 072017. 12
    No. 293 View. 22304

    KISTI-NVIDIA, 슈퍼컴퓨터와 인공지능을 융합한 기상/기후 예측 연구 협력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은 인공지능 고성능컴퓨팅 분야의 세계적 선도기업인 엔비디아(NVIDIA)와 슈퍼컴퓨터, 인공지능을 융합한 기상(weather) 및 기후(climate) 예측 연구를 위해 손을 잡는다. □ KISTI는 엔비디아와 진행해 온 협력관계 및 미국 국립대기과학연구소(이하 NCAR) 간의 협업 프로젝트를 수행한 결과, 슈퍼컴퓨터 및 인공지능 연구 분야에서 KISTI가 보여준 연구실적을 인정받아 향후 연구 활동을 지원받게 됐다. 특히, KISTI가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기상에 대처하기 위한 고성능·고확장성 모델의 개발 과정에서 GPU의 잠재력을 증명해낸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ㅇ KISTI는 기상/기후 예측을 위해 전통적으로 쓰이던 수치모델의 결과와 기상 위성영상을 비롯한 각종 기상 관측 센서 데이터 및 천체의 운동 정보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융합하고 이를 딥러닝 모델의 학습 데이터로 활용하고 있다. KISTI에서 현재 개발하고 있는 딥러닝 모델은 태풍 진로 및 강수 예측 모델 등이 있다. ㅇ 또한 전체지구를 대상으로 하는 기상/기후 예측을 위한 차세대 수치모델인 MPAS*의 연산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NCAR와 GPU 코드를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는데 이들 모델들이 기상/기후 예측 관련 커뮤니티 및 딥러닝 관련 학회에서 호평을 받았다. * MPAS : Model for Prediction Across Scales □ KISTI가 엔비디아로부터 제공받는 연구 지원 사항은 ▲4만 달러 상당의 P100 GPU 4대 무상 제공 ▲성능 테스트를 위해 엔비디아 본사에 위치한 V100 등 최신 GPU 기술에 대한 원격 접근 제공 ▲차세대 엔비디아 GPU(V100 후속) 및 CUDA 소프트웨어 환경에 대한 사전 접근 제공 ▲엔비디아 개발자 기술 그룹의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기술 지원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현, GPU 클러스터 활용, 버그 수정 등 다양한 기술 지원 제공이다. □ KISTI 조민수 재난대응HPC연구센터장은 “자연재난에 효과적 대응을 위한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고 정확한 예측 결과를 생산하는 것이 중요한데, GPU 가속기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었다.”라며 “기상/기후 예측 분야에서의 딥러닝 기술 개발에 GPU 기반 솔루션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052017. 12
    No. 292 View. 28140

    주목받는 4차 산업혁명 미래유망기술 사업화 아이템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은 23일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4차 산업혁명과 미래유망기술”이라는 주제로 ‘2017 미래유망기술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미래유망기술세미나는 올해 12회차로 KISTI가 선정한 미래유망기술을 발표하고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성공전략을 함께 고민하는 소통의 장으로, 매년 2,000여명이 참석하는 행사이다. □ KISTI는 '2017 미래유망기술세미나'를 통해 이미 다가오고 있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나라의 중소중견기업이 주목해야할 미래유망기술을 사업화 아이템으로 제시한다. □ 이번에 선정 제시되는 10대 미래유망기술은 ▲웹기반 빅데이터 수집․분석 패키지 ▲스마트 의류(Smart Clothing) ▲자율주행 자동차 부품 ▲3D 수리모델링 소프트웨어 ▲바이오잉크 ▲바이오프린팅으로 제작된 인공장기/조직 ▲착용형 보조로봇(외골격로봇) ▲고령자 돌보미 로봇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개인 유전자 분석 서비스이다. ㅇ 10대 미래유망기술은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이라는 주제로 정량적 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사이언스 기반의 유망아이템 신규 50건에서 선정하였다. □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유망아이템으로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무인운송수단, 3D프린팅, 바이오프린팅, 첨단 로봇공학, 유전학 등 11개 분야에서 50개의 신규 유망 아이템을 선정하였다. ㅇ 아이템의 선정은 데이터(키워드 네트워크, 벤처투자사(VC) 투자 정보, 인수・합병(M&A) 정보 등)와 4차 산업혁명 전문가를 기반으로 선정하였으며, 본 세미나에서 중소기업이 미래 유망 기술로 주목해야할 대표적 10개 기술을 발표한다. □ KISTI 유재영 중소기업혁신본부장은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이 유망산업의 근간을 이루게 될 것이며, 이번 세미나는 현 시점의 국내 4차 산업혁명의 현주소를 조망하고 미래 유망산업을 예측하는 매우 유익한 자리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 한편, 이번 행사는 화상중계를 통해 부산(부산대학교), 대구(경북대학교), 광주(광주과학기술원)에서 동시 시청할 수 있으며, 페이스북 라이브로 생중계한다. 2017 미래유망기술세미나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유망기술” 2017 Kisti 선정 미래유망기술 10선 01 [인공지능] 웹기반 빅데이터 수집=분석 패키지 : 방대한 데이터를 웹 기반 시스템 내에서 수집하고 분석하여 비즈니스 인사이트 도출 02 [사물인터넷(Iot)]스마트 의류 : 특수 소재나 컴퓨터 칩을 사용해 전기신호나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외부 스마트 기기와 연결된 의류 03 [인공지능]지능형 자동차 레이더 센서 : 전자기파를 송신하고 표적에 의한 반사 신호를 수신하여 표적의 위치 및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 04 [3D 프린팅]3D 수리모델링 소프트웨어 : 방대한 데이터를 웹기반 시스템 내에서 수집하고 분석하여 비즈니스 인사이트 도출 05 [바이오 프린팅]바이오 잉크 : 방대한 데이터를 웹기반 시스템 내에서 수집하고 분석하여 비즈니스 인사이트 도출 06 [바이오 프린팅]3D 바이오프린팅으로 제작된 인공장기/조직 : 바이오프린팅 소재로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패턴)으로 적충하여 만든 인공 조직(tissue)이나 장기(organ) 07 [첨단로봇공학]착용형 보조로봇(외골격 로봇) : 기계화된 로봇 팔이나 다리를 인체 운동과 일치시켜 기동성 및 힘을 증폭시키는 착용 가능한 보조로봇 08 [첨단로봇공학]고령자 돌보미 로봇 : (초)고령자를 대상으로 대화서비스, 인지보조서비스, 낙상/병환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고정형/이동형 로봇 09 [유전학]휴먼마이크로바이옴 분석 : 개인의 몸 속에 살고 있는 미생물군의 정보 및 이들의 유전정보 분석 10 [유전학]개인 유전자 분석 서비스 : 인체 염색체의 광범위한 유전체 부위를 스캔, 분석해 유전자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서비스 주최 :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nst 국가과학기술연구회
  • 172017. 11
    No. 291 View. 23002

    KISTI,‘아시아 데이터 위크 2017’개최

    KISTI,‘아시아 데이터 위크 2017’개최 - Data-Driven Science를 통한 과학의 혁신과 발전을 위한 글로벌 협업의 장으로 기대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은 오는 11월 20일부터 24일까지 제주 롯데호텔에서「Asia Data Week 2017」을 개최한다. ㅇ「Asia Data Week 2017」(www.asiadataweek.org)은 아시아 주요 국가별 데이터 사이언스(Data Science)에 대한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글로벌 협력과 촉진을 위한 국제 컨퍼런스이다. □ 최근 오픈데이터와 4차 산업혁명 등 데이터 중심의 사회로 변화됨에 따라 데이터의 개방과 협력이 과학기술 혁신의 핵심요소이다. ㅇ 데이터 기반 연구(Data-driven Research)를 통한 과학의 혁신과 새로운 발전의 가능성을 꾀하는 노력은 글로벌 협업을 통하여 국제사회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 이번 행사는 ‘Connecting Asia through Data’라는 주제로 워크샵, 포럼, 세미나, 튜토리얼, 학회활동 등 다양한 세션을 통해 주제별 추진사례를 살펴보고, 동시에 데이터 사이언스(Data Science)에 대한 국가차원의 인프라 구축을 위해 효과적 추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 된다. ㅇ 싱가포르 국가안보조정국 락핀 츄(Lock Pin Chew) 국장의 ‘미약한 신호로부터 재앙을 대비하는 시나리오’의 기조연설과 함께 을 시작으로 12개 주제의 세션별 세부 강연이 행사가 이어진다. ㅇ 주요 주제별 세션으로는 ▲도시 데이터 과학기술 국제워크숍 ▲ 모바일 도시센싱 데이터의 탐색 및 활용 ▲데이터 리더십과 데이터의 관리 및 재사용을 위한 접근방법 ▲데이터기반 지능형 국가사회 이슈탐지 추적기술 ▲데이터를 위한 메타 데이터 포럼 ▲연구 데이터 관리 및 응용 및 위성 데이터 분석 워크샵 등의 세션으로 구성되었다. ㅇ 또한, 이번 행사는 중국, 일본, 싱가포르 등 아시아 주요 국가들과 태국, 인도, 베트남 등 10여 개국이 공동 참여하고 있으며, ‘파트너 컨츄리’ 개념의 권역별 조직구성을 통해 차기 년에는 태국에서 개최 될 예정이다. □ 성원경 융합기술연구본부장(행사위원장)은 “이번 「Asia Data Week 2017」을 통해 아시아 여러 국가들과의 경험사례를 공유하고 당면한 도전에 대한 고민을 나누며, 세부분야 데이터의 생산과 분석기술에 대한 실제사례를 중심으로 다양한 토론주제의 장이 되기를 희망한다”며 이를 통해 한국이 국제적인 ‘데이터리더쉽’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ADW 2017 ASIA DATA WEEK 2017 20 Nov~24Nov 2017 Lotte Hotel JEJU, KOREA Connection Asia through Data Organized by Kisti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 152017. 11
    No. 290 View. 22743

    KISTI, 대용량 과학 데이터 전송 속도 1/3 단축 - 미들웨어‘빅데이터 익스프레스’개발-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직무대행 문영호, 이하 KISTI)은 대용량 과학데이터를 전송하는 미들웨어「빅데이터 익스프레스(Big Data Express)」를 미국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Fermilab), 오크리지국립연구소(Oak Ridge National Laboratory)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ㅇ「빅데이터 익스프레스(Big Data Express)」는 대용량 과학데이터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기술이다. □ 과학적인 발견 및 실험에서 생산되는 데이터의 규모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의 생산, 확보, 저장, 전송 등 데이터 처리 기능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ㅇ 가속기 및 관측 장비 등 대형 연구 장비에서 생산되는 데이터의 규모가 페타급*으로 증가함에 따라 단일 기관에서 대용량 데이터 처리가 불가하여 국제공동으로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전송기술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 1페타바이트(PB) : 1기가바이트(GB) 영화 100만 편, 1시간 짜리 영화를 114년 동안 봐야하는 용량 ※- CERN(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 대형 강입자 충돌기(LHC) 실험 : 연간 50PB 생산 - 대형 시놉틱 관측 망원경(LSST) : 연간 10PB 생산 - 천문망원경 SKA 프로젝트 : 연간 60PB 생산 ㅇ「빅데이터 익스프레스(Big Data Express)」는 대용량 과학데이터 전송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 기술로, 기존 데이터 전송방법들이 가진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 ① 데이터 전송구간에 존재하는 다양한 장비로 인해 전체적인 데이터 전송의 비효율성 문제 발생 ② 데이터 전송방법 간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는 효율적인 방안 필요 ③ 다양한 데이터 전송 노드 간 효율적인 통신 방안 제공 불가 ㅇ KISTI 자체 테스트에 따르면 과학데이터 전송에 자주 사용되는 GridFTP*** 보다 1/3 정도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과학데이터 전송 시 가장 문제되는 것 중에 하나인 LOSF문제**** 테스트의 경우 GridFTP 보다 약 100배 정도 빠른 전송 속도를 보였다. * GridFTP : 그리드 컴퓨팅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을 빠르게 하기 위한 FTP 기술 ** LOSF(Lots Of Small File) : 다수의 파일을 전송할 경우,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린 메모리 I/O 속도 차이로 인해 전체적인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 □ KISTI는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데이터 전송 SDN(Software Defined Network) 네트워크인 아메바넷(AmoebaNet)을 개발하였으며, 국제공동연구 결과인 「빅데이터 익스프레스(Big Data Express)」 미들웨어는 14일(미국 현지시간) 미국 덴버에서 열린 ‘슈퍼컴퓨팅 컨퍼런스 2017’에서 대륙 간(한국-미국) 데이터 전송을 성공적으로 시연했다. □ 「빅데이터 익스프레스(Big Data Express)」를 통해 대형 연구 장비를 비롯한 과학기술분야의 대용량데이터 공유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국내 연구자들은 원하는 과학데이터를 복잡한 설정 필요 없이 손쉽게 전송하거나 받을 수 있다. □ KISTI 노서영 대용량데이터허브실장은 “거대과학에서 요구되는 대형실험장비 및 관측 장비에서 생산되는 대용량 과학데이터를 국내 연구자들이 손쉽고, 신속하게 전송받아 분석할 수 있는 연구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국내 데이터집약형 연구의 가속화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참고 자료 : 그림 설명] [ BigData Express 아키텍쳐 ] BigData Express Client Data transfer requests/status BigData-Express Middieware Service Site A Service Interface AAA BigData Express Scheduler Resource Broker Network Agents Storage Agents DTN Agents SDN Controllers Super Computer Paratel file system DTNs SDN-based LAN Large Data Center SDN-base Site-to-Site Path Service AAA Service Path Reservation Resource Broker Network OS SDN-based Site-to-Site Path Service Site B Service Interface AAA Resource Broker Network Agents SDN Controllers BigData Express Scheduler Storage Agents GW SW Storage SDN-based LAN DTNs Storage Large Data Center [참고 자료 : 사진 설명] - 사진은 첨부 참조 빅데이터익스프레스(1) 빅데이터익스프레스(2) 빅데이터익스프레스(3) [빅데이터 익스프레스(1)/(2)] - 빅데이터익스프레스 미들웨어가 탑재된 전송 서버를 점검하는 연구원 [빅데이터 익스프레스(3)] - 빅데이터익스프레스 미들웨어 설정을 점검하는 연구원
  • 142017. 11
    No. 289 View. 19853

    '2017 KISTI 사업화 유망기술 설명회' 개최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은 14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 룸에서‘2017 KISTI 사업화 유망기술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설명회는 KISTI 사업화 유망기술을 ICT 기업에 소개함으로써 현장 수요를 발굴하고, 관련 산업분야로 연구성과를 확산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ㅇ KISTI,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이 공동주관, 기술보증기금, 대덕연구개발특구가 협력하는 자리로, 특별세미나 세션을 통해 KISTI의 기술이전·사업화제도,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의 기술이전 연계 기술사업화 지원사업, 기술보증기금의 기술금융 기반 기술이전·사업화 원스톱 지원제도를 소개한다. □ 기술설명회에서는 네트워크 분석, 빅데이터 분석, 정보보안, 의료IT, 비즈니스인텔리전스 5개 분야의 8개 사업화 유망기술을 담당 연구자가 직접 소개하고, 사전 및 현장접수를 통해 기업과의 1:1 상담을 진행한다. ㅇ 8개 유망기술은 △Inter-SDN 가상 네트워크 상호 연계기술 △대용량 네트워크 분석기술 △대용량 다차원 데이터 분석기술 △이중암호화 체계를 이용한 네트워크 보호기술 △기계학습 기반 정신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개인진단을 위한 유전자 증폭방법과 제품(검출기) △제품수요 및 공급연결망을 통한 기술시장 분석서비스 △기술기회탐색시스템(TOD) 이다. □ KISTI가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는 기술가치평가시스템(STAR*-Value System ver.5.0 PLUS), 산업시장분석시스템(K-MAPS**), 기술기회탐색시스템(TOD***)을 직접 사용해볼 수 있는 체험존도 마련된다.         * STAR : SCI & Tech information Analysis for R&D decision making         ** K-MAPS : KISTI Market Analysis and Prediction System         *** TOD : Technology Opportunity Discovery □ 이외에 기업이 소액/무상으로 KISTI의 특허를 이전 및 양도받을 수 있는 특허나눔, KISTI 연구테마별 우수기술을 살펴볼 수 있는 Tech-Gallery 등이 준비된다. □ KISTI 한만호 성과확산실장은 “이번 설명회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ICT분야의 KISTI 사업화 유망기술을 국내 중소기업에 소개하고, 기업과의 R&BD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본 설명회를 통해 기업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할 신규 비즈니스아이템을 찾고 KISTI는 연구성과를 산업계에 확산하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Kisti 4차 산업혁명 - ICT 분야 2017 KISTI 사업화 유망기술 설명회 2017.11.14.(화) 10:30~17:00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 3층 308호
  • 072017. 11
    No. 288 View. 20620

    KISTI, 인공지능(AI)으로 미래유망 특허제품 찾는다

    □ 빅데이터 시대와 더불어 우리에게 다가온 인공지능은 특허로 보는 제품트렌드 예측연구의 지형을 바꾸어 놓고 있다.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은 자체 개발하여 운영 중인 TOD(Technology Opportunity Discovery) 시스템에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하여 미래에 비즈니스 가치가 큰 유망특허제품을 예측하였다. ○ TOD 시스템이란 과학계량학 및 빅데이터 처리기술 등에 기술경영이론을 접목한 지능형 신사업 기회 발굴시스템이다. TOD 시스템을 통해 특허와 상표권에 존재하는 수십만 개 제품 간의 관계분석 및 기업별 제품포트폴리오 분석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신사업 전략수립에도 활용할 수 있다. □ 이번 연구는 KISTI 기술인텔리전스연구실과 건국대학교 산업공학과 윤장혁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진은 기업이 어떤 속성의 특허가 최장 20년까지 소유권을 유지하는지를 인공신경망을 통해 학습하였다. 학습된 인공지능 패턴을 최근 특허들에 적용하여, 향후 장기간 소유권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은 특허를 판별하였다. ○ KISTI 이재민 박사는 “이처럼 인공지능으로 예측된 비즈니스 가치가 큰 특허에 대해 TOD 시스템으로 적용제품을 판별하면 최종적으로, 미래유망 특허제품의 예측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미래유망 특허제품은 주로 전기전자, 정보통신, 의료바이오 및 운송 분야에 분포하였으며, 세부적으로 센서, 휴머노이드, 인체이식성 인터페이스, 가상현실용 디스플레이, 자율주행차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아이템들도 다수 도출되었다. ○ 전기전자분야에서는 반도체장비, 반도체 소자, 측정센서, LED, 프린팅소자 및 디스플레이 관련 다수의 미래유망 특허제품들을 확인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전자빔 리소그래피(집적회로설계) 등 반도체 생산관련 장비들, 핀펫(FinFET) 등 반도체 소자, 그리고 터치센서, 이미지센서 등의 측정센서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카트리지 및 잉크와 관련된 프린터 제품들 그리고 LED 관련 제품도 포함되었다. 특히, 가상현실을 지원하는 근안용디스플레이 및 콕핏(Cockpit) 등의 특수목적형 디스플레이가 포착된다. ○ 정보통신분야에서는 무선비콘(Beac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및 통신소자 등 근거리통신소자, 휴먼인터페이스 및 휴머노이드 로봇, 소셜네트워크 시스템 등이 눈에 띈다. ○ 의료바이오분야에서는 생체 측정기기 및 센서, 의료소재, 약물전달 관련 제품들이 다수 예측되었으며, '이식성'이 대표키워드로 부각된다. 예로서, 이식형전기자극장치관련 제품군, CT(컴퓨터 단층촬영), PET(양전자 단층촬영) 등 측정기기, 골고정체(bone anchor), 경피약물전달장치 등이 있다. ○ 운송 분야에서는 미래의 자동차인 전기자동차 및 자율주행차 관련 아이템들이 다수 포착되며, 컴퓨팅장치, 안전장치, 진단장치 등이 포함된다. 항공기 관련 터빈부품도 다수 관찰되었다. □ KISTI 김재수 첨단정보융합본부장은 “최근 TOD 시스템을 민간 기업에 기술이전 하였고, 새로운 분석모델을 개발하여 탑재하는 등 지속적인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KISTI가 개발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TOD 시스템과 분석콘텐츠는 기술혁신형 기업의 신사업 아이템 발굴과 신사업 전략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대외협력실
  • 담당자박준수
  • 연락처042-869-0864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