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이동성 분석’ 데이터 인사이트(DATA INSIGHT) 발간
KISTI,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이동성 분석’ 데이터 인사이트(DATA INSIGHT) 발간 - 논문 빅데이터로 국내 과학기술 연구 인력의 이동 경로 추적 - 연구자 이동 특성 반영 맞춤형 과학기술 인력정책 활용 기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은 한국 소속 이력이 있는 연구자들의 국내외 이동 경로와 활동 유형을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한 『데이터 인사이트(DATA INSIGHT)』 제48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 KISTI는 네덜란드 레이던 대학교 과학기술학연구소(CWTS)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2005년부터 2021년까지의 Dimensions 논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 소속 이력이 있는 연구자 177,031명과 이들이 작성한 논문 1,125,674건을 분석하였다. □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 중 약 절반은 연구 활동 연수가 4년 이하로 짧아, 장기 연구 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적 대응이 요구된다. ○ 전체 연구자 중 49.6%(87,747명)가 2~4년 내의 단기 활동자로 나타났으며, 이 중 3년간 활동한 연구자가 전체의 20.5%(36,375명)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그림 1-1] ○ 반면, 연구 활동 연수가 10년을 초과하여 장기적으로 활동한 연구자는 17.3%(30,661명)에 불과하였으며,[그림 1-1] 활동 연수가 길수록 논문 생산성도 높아지는 경향도 함께 확인되었다.[그림 1-2] [그림 1-1]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연구 활동 연수별 분포 [그림 1-2]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연구 활동 연수에 따른 논문 생산 패턴 히트맵 □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글로벌 이동 흐름을 분석한 결과, 미국과의 연구 교류가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는 글로벌 인재 유치보다는 국내 인재 양성에 더 큰 비중을 두는 경향을 보였다. ○ 미국은 한국 연구자의 최대 유출국이자 동시에 최대 유입국으로, 유입 비중(64.8%)이 유출(35.2%)보다 높아 한국에 있어 핵심적인 연구 인력 유입처로 분석되었다.[그림 2] ○ 아시아 주요국과의 교류는 국가별로 상이한 양상을 보였으며, 한국은 인도(77.1%)와 일본(74.9%)으로부터의 인력 유입이 우세한 반면, 중국(82.6%), 베트남(88.7%), 파키스탄(74.0%)에 대해서는 인력 유출이 더 많아 비대칭적인 이동 구조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 * 유입(유출) 연구자는 최초(최종) 연구 활동 시점에는 해당 국가에 소속되지 않았으나, 최종(최초) 시점에는 해당 국가에 소속된 경우로 정의한다. [그림 2]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국가별 한국 유출입 연구자 수 비교 ○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 중 65.5%는 최초 소속 기관이 한국이었으며, 해외 기관에서 한국 기관으로 유입된 연구자는 34.5%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지역 간 이동 분석에 따르면, 서울은 공급지로, 세종·충북 등은 수요지로 기능하며, 서울과 광주를 제외한 대부분의 광역자치단체는 외부 유입에 의존하는 구조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 서울은 연구자 유출입 비중 중 유출 비율이 61.6%로 유입보다 높아 공급지 역할을 하는 반면, 세종(78.6%), 충북(71.7%), 전북(71.2%) 등은 유입 비율이 더 높아 연구자 수요지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그림 3-1] ○ 서울(62.4%)과 광주(53.2%)를 제외한 세종(74.5%), 울산(74.0%), 충남(71.0%) 등 나머지 광역자치단체에서는 ‘전입 소속’ 비율이 ‘최초 소속’ 비율보다 높아, 자체 인력 양성보다는 외부 유입에 의존하는 구조임이 명확히 드러났다.[그림 3-2] [그림 3-1]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지역별 유출입 연구자 수 비교 [그림 3-2]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지역별 ‘최초 소속’ 및 ‘전입 소속’ 비율 □ KISTI 글로벌R&D분석센터 과학계량분석연구팀 권태훈 책임연구원은 “이번 분석은 논문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이동성과 연구 경력을 종합적으로 조망한 대규모 실증 연구로, 국내외 인재 유치 및 유출 대응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며, “연구자의 이동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 설계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데이터 기반의 과학기술 인력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데이터 인사이트 바로가기: https://www.kisti.re.kr/post/data-insight/6730KISTI, ‘양자기술, 다음 세대로 나아가다.’ 과학기술 전문 정책지 S&T DATA 발간
KISTI, ‘양자기술, 다음 세대로 나아가다.’ 과학기술 전문 정책지 S&T DATA 발간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은 양자기술이 가져올 사회·경제·기술적인 변화와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다루는 과학기술 전문 정책지 『S&T DATA』 제9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 양자역학 원리를 기반으로 한 양자기술은 기존 기술들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돌파할 차세대 과학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정보처리와 통신, 센싱, 의료 등 현대 산업과 관련된 거의 모든 분야에서 기존과는 다른 차원의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이번 호의 시작을 여는 Opinion 섹션에서는 김재완 고등과학원 교수가 세계 각국이 양자기술 패권을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래를 바라보며 나아가야 할 도전에 대해 제언한다. 매호 주제와 관련된 화제의 인물을 조명하는 Leaders 섹션에서는 윤지원 SDT㈜ 대표와의 인터뷰를 통해 양자 산업이라는 망망대해에서 무엇을 선택하고 집중해야 할지 들어본다. □ 이어지는 Special Issue 섹션에서는 사회, 경제, 기술의 미래를 바꾸고 있는 양자기술의 현재를 알아보기 위해 양자기술의 기본 원리, 초전도체 양자컴퓨터, 양자기술의 산업화 및 경제적 파급효과, 미래 준비를 위한 인력양성, 양자기술의 사회적·윤리적·법률적 파급효과와 대응 방안, 양자 보안기술의 전략적 가치와 대응 방향 등 다양한 주제를 양자 과학기술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 다양한 분야에서 양자기술의 파급력은 세계 각국이 기술 선점을 위해 각축을 벌이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이에 Deep Insight 섹션에서는 양자기술의 글로벌 경쟁력과 국제협력을 분석하고, 국내외 양자기술 생태계 관련 정책 및 전략 이슈를 살펴본다. □ Global Trends 섹션에서는 국내외 양자기술 관련 정책 동향을 정리해 전달하고, BIZ Inside 섹션에서는 글로벌 양자기술 기업을 중심으로 QPU, QaaS, SW 생태계 경쟁 전략과 사례를 분석한다. KISTI+ 섹션에서는 양자 데이터란 무엇인가에 대한 정의와 논의 시점에 대해 제시한다. □ KISTI 이식 원장은 “양자기술은 단순히 물리학에서 벗어나 컴퓨팅, 통신, 센서,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불러올 것”이라며, “S&T DATA는 앞으로도 국가전략기술을 중심으로 새로운 미래 시대를 촉진하는 핵심 주제를 계속 다뤄나가겠다”고 밝혔다. ☞ S&T DATA 바로가기: https://www.kisti.re.kr/post/stdata/6725KISTI, 2025 DATA·AI 분석 경진대회 개최
KISTI, 2025 DATA·AI 분석 경진대회 개최 - 데이터·인공지능 기반의 사회·과학 문제 해결 - 국내 연구데이터 공유·활용 생태계 저변 확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이 주관하고,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국회도서관, 대전광역시, 해양경찰청, 대전중구청이 공동주최하는 ‘2025 DATA·AI 분석 경진대회’가 7월 14일(월)부터 10월 30일(목)까지 개최된다. □ 올해로 6회째를 맞이한 본 경진대회는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회·과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년 개최되고 있다. 총상금은 1,400만 원으로, 대상 수상자에게는 국회의장상과 함께 4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또한 우수 수상자에게는 학술대회 발표와 후속 공동연구 참여 기회가 제공될 예정이다. □ 대회는 총 2개 부문으로 나뉘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먼저 ‘문제발굴 부문’에서는 개인이나 기관이 안고 있는 사회‧과학 문제와 데이터를 공개함으로써, 참신하고 혁신적인 해결 방안 도출을 유도한다. 이후 ‘문제해결 부문’에서는 앞서 발굴된 사회‧과학 문제를 대상으로 참가자들이 높은 성능의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게 된다. □ 7월 14일부터 접수를 시작한 ‘문제발굴 부문’에는 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문제 해결이 필요한 개인과 기관이 참여할 수 있다. 참가자는 문제에 대한 상세 정보와 함께 문제해결과 관련된 데이터를 DataON(국가연구데이터플랫폼) 경진대회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해야 한다. □ DataON은 국내외 연구데이터 정보를 한곳에서 서비스하는 국가 연구데이터 포털로서, 국내외 주요 연구데이터의 공유‧활용을 통해 연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KISTI에서 2020년부터 서비스하고 있다. 현재 DataON은 OpenAIRE(유럽), Harvard Dataverse(미국), ARDC(호주), RCOS(일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극지연구소 등 국내외 유수 연구데이터플랫폼과의 연계를 통해 약 478만 데이터세트를 서비스하고 있다. □ 경진대회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DataON 경진대회 홈페이지(http://dataon.kisti.re.kr/competition)에서 확인할 수 있다.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에 국내 최초로 라우팅 인증(RPKI) 전면 도입
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에 국내 최초로 라우팅 인증(RPKI) 전면 도입 - 라우팅 정보 위·변조 방지로 연구망 보안 신뢰성 강화 - MANRS 이행, 안전한 네트워크 환경 기반 마련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은 과학기술·산업계의 연구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에 국내 최초로 ‘인터넷주소자원 공개키 기반 인증(이하 RPKI, Resource Public Key Infrastructure)’을 전면 도입했다고 밝혔다. □ 이번 도입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의 협력을 통해 추진됐다. 양 기관은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의 ‘자율 시스템 번호(ASN, Autonomous System Number)’에 대해 ‘경로 원점 인증서(ROA, Route Origin Authorization)’를 생성하고, 이를 검증할 수 있는 라우팅 인증 체계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연구망에 연결된 IP 주소가 정당한 출처에서만 광고되도록 하여, 잘못된 경로 설정이나 악의적 경로 탈취로 인한 보안 위협을 차단할 수 있게 됐다. □ RPKI는 인터넷 라우팅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하는 보안 기술이다. 인터넷은 ‘경계 경로 프로토콜(BGP, Border Gateway Protocol)’이라는 규약을 통해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데, 이 과정에서 라우팅 정보가 잘못되면 데이터가 엉뚱한 곳으로 전송되거나 통신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2020년 러시아에서는 구글, 아마존 등 주요 글로벌 서비스들이 라우팅 오류로 장애를 겪었으며, 국내에서도 2021년 KT 전국 인터넷 장애, 2022년 카카오 서비스 장애 등 유사한 사례가 발생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RPKI를 도입해 보다 안전한 인터넷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 KISTI의 이번 RPKI 전면 도입은 국제 인터넷 보안 강화를 위한 글로벌 이니셔티브인 MANRS(Mutually Agreed Norms for Routing Security) 이행의 일환이자,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의 지속 가능한 보안 인프라 고도화 전략의 핵심 조치다. 이는 인공지능(AI) 및 고성능컴퓨팅(HPC) 기반의 대용량 데이터 전송 등 고신뢰 네트워크 서비스를 더욱 안전하게 제공하고, 대규모 공동연구와 글로벌 협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조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KISTI는 향후 실시간 RPKI 검증 기능 강화, 경로 원점 인증서 자동화 시스템 고도화, 다자간 RPKI 상호운용성 검증 등을 통해 국내외 기관과의 안전한 연결을 계속해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의 RPKI 적용은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대한민국이 글로벌 라우팅 보안 체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이정표로 평가된다. 이를 계기로 국내 다양한 네트워크 사업자들이 라우팅 보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질적인 대응에 나서길 기대한다. □ KISTI 조부승 과학기술연구망센터장은 “이번 RPKI 도입은 연구망의 보안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것은 물론, 국내 인터넷 전반의 신뢰 기반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민간, 공공, 지자체 네트워크 전반에 RPKI가 확산될 수 있도록 기술적 모범 사례를 꾸준히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국가과학기술연구망 라우팅 및 ROA 생성 현황 RPKI 시스템 구성KISTI, 미래 모빌리티 신뢰성·안전성 확보 위한 CBM+ 전략 교육 성료
KISTI, 미래 모빌리티 신뢰성·안전성 확보 위한 CBM+ 전략 교육 성료 - 산·학·연 80여 명 참여… 데이터 기반 미래 전략 모색 - UAM-AAV 최신 동향 및 핵심부품 예지정비 전략 공유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은 7월 7일(월)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Next Mobility Readiness’ 교육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 KISTI는 우주항공청이 주관하고, 충청남도와 서산시가 지원하는 ‘그린 UAM-AAV 핵심부품 시험평가 기반구축’ 사업에 한국자동차연구원(주관기관), 충남테크노파크, 한서대학교와 함께 참여하고 있다. □ KISTI는 동 사업의 일환으로, 미래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UAM-AAV의 동향 및 신뢰성·안전성 확보 전략을 중심으로 한 교육을 2028년까지 매년 2회 정기적으로 개최할 계획이다. □ 이번 교육은 2025년 1회차이며, 산·학·연 관계자 80여 명이 참석해, UAM-AAV의 최신 기술 동향과 CBM+ 기반 예지정비 전략을 중심으로, UAM-AAV의 안전한 도입과 확산을 위한 기술 대응 전략을 함께 모색했다. □ 주요 교육 내용은 ▲UAM-AAV 분야 CBM+ 데이터플랫폼 설계 전략 ▲UAM의 현재와 미래도전 ▲미래 모빌리티의 CBM+ 플랫폼 개발을 위한 PHM 이론 및 연구 ▲국방 분야에서의 CBM+ 적용 사례 및 활용 연구 등이다. □ KISTI는 이번 교육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의 신뢰성·안전성 확보를 위한 CBM+ 데이터 기반 기술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특히 설계 및 개발 초기 단계부터 신뢰성을 확보하는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참가자들과 공유했다. □ 과제책임자인 KISTI 김진영 선임은 “미래 모빌리티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설계 초기 단계부터 데이터 기반의 예지정비 체계를 적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본 과제를 통해 이러한 기술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국내 UAM-AAV 산업의 기반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2025년 2회차 교육은 오는 11월 초 개최될 예정이며, UAM-AAV 핵심부품의 안전성·신뢰성 확보를 위한 데이터 기반 교육을 중심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 용어설명 • CBM(Condition Based Maintenance): 상태기반정비 • CBM+(Condition Based Maintenance Plus): 기존 CBM 개념에 잔존 유효수명 예측 기술을 더한 개념 • UAM(Urban Air Mobility): 도심항공교통 • AAV(Advanced Air Vehicle): 미래항공기체 • PHM(Prognostics and Health Management): 예지 및 건전성 관리KISTI, ‘양자컴퓨팅 서비스 및 활용체계 구축’ 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
KISTI, ‘양자컴퓨팅 서비스 및 활용체계 구축’ 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 - 아이온큐의 100큐비트급 양자컴퓨터 ‘Tempo’ 도입 - 양자-슈퍼컴퓨팅 통합 인프라 서비스 구현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양자컴퓨팅 서비스 및 활용체계 구축 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되어, 협약 이후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선다고 밝혔다. 본 사업은 국가 차원의 양자컴퓨팅 활용 기반을 조성하고, 슈퍼컴퓨터와 양자컴퓨터를 통합한 하이브리드 컴퓨팅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핵심 국가 R&D 사업이다. □ 이번 사업에는 메가존클라우드가 공동연구기관으로, SDT 주식회사, 숙명여자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GIST),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등이 위탁연구기관으로 참여하여, 양자컴퓨터 구축에서부터 서비스 플랫폼 개발 및 구축, 양자컴퓨팅-슈퍼컴퓨팅 하이브리드 기술 개발, 사용자 지원 및 확산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협업을 전개한다. □ 특히, 세계 최고 수준의 이온 트랩 기반 양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