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이동성 분석’ 데이터 인사이트(DATA INSIGHT) 발간
KISTI,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이동성 분석’ 데이터 인사이트(DATA INSIGHT) 발간 - 논문 빅데이터로 국내 과학기술 연구 인력의 이동 경로 추적 - 연구자 이동 특성 반영 맞춤형 과학기술 인력정책 활용 기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은 한국 소속 이력이 있는 연구자들의 국내외 이동 경로와 활동 유형을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한 『데이터 인사이트(DATA INSIGHT)』 제48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 KISTI는 네덜란드 레이던 대학교 과학기술학연구소(CWTS)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2005년부터 2021년까지의 Dimensions 논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 소속 이력이 있는 연구자 177,031명과 이들이 작성한 논문 1,125,674건을 분석하였다. □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 중 약 절반은 연구 활동 연수가 4년 이하로 짧아, 장기 연구 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적 대응이 요구된다. ○ 전체 연구자 중 49.6%(87,747명)가 2~4년 내의 단기 활동자로 나타났으며, 이 중 3년간 활동한 연구자가 전체의 20.5%(36,375명)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그림 1-1] ○ 반면, 연구 활동 연수가 10년을 초과하여 장기적으로 활동한 연구자는 17.3%(30,661명)에 불과하였으며,[그림 1-1] 활동 연수가 길수록 논문 생산성도 높아지는 경향도 함께 확인되었다.[그림 1-2] [그림 1-1]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연구 활동 연수별 분포 [그림 1-2]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연구 활동 연수에 따른 논문 생산 패턴 히트맵 □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글로벌 이동 흐름을 분석한 결과, 미국과의 연구 교류가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는 글로벌 인재 유치보다는 국내 인재 양성에 더 큰 비중을 두는 경향을 보였다. ○ 미국은 한국 연구자의 최대 유출국이자 동시에 최대 유입국으로, 유입 비중(64.8%)이 유출(35.2%)보다 높아 한국에 있어 핵심적인 연구 인력 유입처로 분석되었다.[그림 2] ○ 아시아 주요국과의 교류는 국가별로 상이한 양상을 보였으며, 한국은 인도(77.1%)와 일본(74.9%)으로부터의 인력 유입이 우세한 반면, 중국(82.6%), 베트남(88.7%), 파키스탄(74.0%)에 대해서는 인력 유출이 더 많아 비대칭적인 이동 구조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 * 유입(유출) 연구자는 최초(최종) 연구 활동 시점에는 해당 국가에 소속되지 않았으나, 최종(최초) 시점에는 해당 국가에 소속된 경우로 정의한다. [그림 2]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국가별 한국 유출입 연구자 수 비교 ○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 중 65.5%는 최초 소속 기관이 한국이었으며, 해외 기관에서 한국 기관으로 유입된 연구자는 34.5%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지역 간 이동 분석에 따르면, 서울은 공급지로, 세종·충북 등은 수요지로 기능하며, 서울과 광주를 제외한 대부분의 광역자치단체는 외부 유입에 의존하는 구조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 서울은 연구자 유출입 비중 중 유출 비율이 61.6%로 유입보다 높아 공급지 역할을 하는 반면, 세종(78.6%), 충북(71.7%), 전북(71.2%) 등은 유입 비율이 더 높아 연구자 수요지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그림 3-1] ○ 서울(62.4%)과 광주(53.2%)를 제외한 세종(74.5%), 울산(74.0%), 충남(71.0%) 등 나머지 광역자치단체에서는 ‘전입 소속’ 비율이 ‘최초 소속’ 비율보다 높아, 자체 인력 양성보다는 외부 유입에 의존하는 구조임이 명확히 드러났다.[그림 3-2] [그림 3-1]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지역별 유출입 연구자 수 비교 [그림 3-2]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지역별 ‘최초 소속’ 및 ‘전입 소속’ 비율 □ KISTI 글로벌R&D분석센터 과학계량분석연구팀 권태훈 책임연구원은 “이번 분석은 논문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 소속 이력 연구자의 이동성과 연구 경력을 종합적으로 조망한 대규모 실증 연구로, 국내외 인재 유치 및 유출 대응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며, “연구자의 이동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 설계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데이터 기반의 과학기술 인력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데이터 인사이트 바로가기: https://www.kisti.re.kr/post/data-insight/6730KISTI, ‘양자기술, 다음 세대로 나아가다.’ 과학기술 전문 정책지 S&T DATA 발간
KISTI, ‘양자기술, 다음 세대로 나아가다.’ 과학기술 전문 정책지 S&T DATA 발간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은 양자기술이 가져올 사회·경제·기술적인 변화와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다루는 과학기술 전문 정책지 『S&T DATA』 제9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 양자역학 원리를 기반으로 한 양자기술은 기존 기술들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돌파할 차세대 과학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정보처리와 통신, 센싱, 의료 등 현대 산업과 관련된 거의 모든 분야에서 기존과는 다른 차원의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이번 호의 시작을 여는 Opinion 섹션에서는 김재완 고등과학원 교수가 세계 각국이 양자기술 패권을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래를 바라보며 나아가야 할 도전에 대해 제언한다. 매호 주제와 관련된 화제의 인물을 조명하는 Leaders 섹션에서는 윤지원 SDT㈜ 대표와의 인터뷰를 통해 양자 산업이라는 망망대해에서 무엇을 선택하고 집중해야 할지 들어본다. □ 이어지는 Special Issue 섹션에서는 사회, 경제, 기술의 미래를 바꾸고 있는 양자기술의 현재를 알아보기 위해 양자기술의 기본 원리, 초전도체 양자컴퓨터, 양자기술의 산업화 및 경제적 파급효과, 미래 준비를 위한 인력양성, 양자기술의 사회적·윤리적·법률적 파급효과와 대응 방안, 양자 보안기술의 전략적 가치와 대응 방향 등 다양한 주제를 양자 과학기술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 다양한 분야에서 양자기술의 파급력은 세계 각국이 기술 선점을 위해 각축을 벌이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이에 Deep Insight 섹션에서는 양자기술의 글로벌 경쟁력과 국제협력을 분석하고, 국내외 양자기술 생태계 관련 정책 및 전략 이슈를 살펴본다. □ Global Trends 섹션에서는 국내외 양자기술 관련 정책 동향을 정리해 전달하고, BIZ Inside 섹션에서는 글로벌 양자기술 기업을 중심으로 QPU, QaaS, SW 생태계 경쟁 전략과 사례를 분석한다. KISTI+ 섹션에서는 양자 데이터란 무엇인가에 대한 정의와 논의 시점에 대해 제시한다. □ KISTI 이식 원장은 “양자기술은 단순히 물리학에서 벗어나 컴퓨팅, 통신, 센서,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불러올 것”이라며, “S&T DATA는 앞으로도 국가전략기술을 중심으로 새로운 미래 시대를 촉진하는 핵심 주제를 계속 다뤄나가겠다”고 밝혔다. ☞ S&T DATA 바로가기: https://www.kisti.re.kr/post/stdata/6725KISTI, 2025 DATA·AI 분석 경진대회 개최
KISTI, 2025 DATA·AI 분석 경진대회 개최 - 데이터·인공지능 기반의 사회·과학 문제 해결 - 국내 연구데이터 공유·활용 생태계 저변 확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이 주관하고,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국회도서관, 대전광역시, 해양경찰청, 대전중구청이 공동주최하는 ‘2025 DATA·AI 분석 경진대회’가 7월 14일(월)부터 10월 30일(목)까지 개최된다. □ 올해로 6회째를 맞이한 본 경진대회는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회·과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년 개최되고 있다. 총상금은 1,400만 원으로, 대상 수상자에게는 국회의장상과 함께 4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또한 우수 수상자에게는 학술대회 발표와 후속 공동연구 참여 기회가 제공될 예정이다. □ 대회는 총 2개 부문으로 나뉘어 순차적으로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