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기계연, ‘메타물질 연구자’ R&D 지원환경 구축 나서
KISTI-기계연, ‘메타물질 연구자’ R&D 지원환경 구축 나서 - 연구자원 공유·활용 플랫폼 ‘ScienceON’ 활용 지원 - 1. ScienceON API 를 활용한 EDPM DB 자동 구축 2. 정보/데이터 공유, ScienceON 3. 시뮬레이션 환경공유 EDPM DB System Application Manufacturing Material Structure Analysis Characteristics Reference etc. EDPM Expert System: CAMM's EDPM Optimization Solution EDPM Analysis System CAMM's EDPM Numerical Solution CAMM's EDPM Analtic Solution 연구성과, 특허, 문헌 < ScienceON-EDPM 연계개념도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의 ScienceON*은 한국기계연구원 파동에너지극한제어연구단(CAMM)에서 추진 중인 메타물질 연구자의 R&D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메타물질 공학설계 플랫폼**(이하 EDPM, Engineering Design Platform for Metastructures)’과 연계하기로 하였다. * ScienceON은 R&D활동에 필요한 과학기술정보, 국가R&D정보, 연구데이터, 데이터분석시스템, 슈퍼컴퓨팅자원 등을 한 곳에서 연결·활용할 수 있는 연구자원 공유·활용 플랫폼이다. ** 메타물질은 파동을 제어하여 기존 자연계 물질이 구현하지 못하는 물리적인 특성을 구현하도록 설계한 인공 구조물이다. 국방, 항공, 우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돼 고해상도 이미지, 투명망토 스텔스, 무반사 태양전지 등을 제작하는 데 필요한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EDPM은 이러한 메타물질 관련 연구를 위한 각종 데이터를 활용하여 메타물질 관련 실험 해석, 시뮬레이션 등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이 분야 연구자들의 R&D를 위한 시스템이다. ScienceON과 EDPM을 연계하기 위해 양 기관은 ScienceON API(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메타물질 구조정보와 실험데이터를 자동 구축, 구축된 데이터와 관련 학술정보를 활용하여 실험 해석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 제공을 위해 공동연구를 진행 중이다. ScienceON과 EDPM이 연계되면 메타물질 연구자는 ScienceON에서 관련분야 논문을 검색하고 해당 논문에서 구조체 정보를 자동추출·데이터화한 후 EDPM 플랫폼에서 실험 해석 및 시뮬레이션을 손쉽게 할 수 있다. 또한 EDPM에서 구축된 메타물질 R&D정보를 ScienceON에서도 확인할 수 있어, 이 분야 연구자들의 R&D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KISTI 최희윤 원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KISTI의 ScienceON과 기계연의 EDPM을 연계함으로써 메타물질 연구 분야에 특화된 연구자원 활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ScienceON은 생명의료, 에너지, 신소재 분야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빅데이터 기반 코로나 19 국가 R&D 투자방향 의사결정 지원
빅데이터 기반 코로나 19 국가 R&D 투자방향 의사결정 지원 - 글로벌 연구개발과제 데이터 기반 주요국 R&D 투자방향 및 연구현황 제시 - < 코로나 19의 연구개발 투자영역 클러스터링 가시화 예시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 데이터분석플랫폼센터는 해외 주요국의 국가 연구과제 데이터 및 NTIS*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이하 코로나 19) 분야의 해외 R&D 투자 및 연구영역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R&D 투자 및 연구영역 동향을 비교·분석하여 코로나 19에 대한 국가 R&D 기획 방향성을 정립하기 위한 지식정보를 제시했다. * NTIS: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과학기술 및 국가 연구개발사업과 관련된 사업,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과학기술 지식정보포털(www.ntis.go.kr). 데이터분석플랫폼센터 국가R&D전략대응형 AI의사결정알고리즘 연구팀(팀장 김근환 선임연구원, 이하 연구팀)은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 국가별로 서로 다른 데이터를 수집·표준화하여 객관적인 과학 분류체계 기반 세부 연구 영역을 도출했다. 또한, 주요 연구기관, 연구과제명, R&D 투자규모, R&D 투자기간 등 코로나 19 관련 해외 연구개발 투자현황을 살펴봤다. “다중검출 및 현장진단 플랫폼” 및 “감염에 대한 면역학적 반응 연구 및 백신 개발 관련 플랫폼 기술”로 명명된 연구개발 영역은 해외 대비 국내 R&D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팀은 최근 코로나19 대유행에서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국내 진단기술과 바이러스 대응 기술의 결과들이 연구 개발 투자의 지속성 때문임을 시사하는 결과로서, 향후 항원·항체 기반 다중 검출 및 현장진단 플랫폼, 백신·항바이러스 제제 개발, 바이러스 예측 기술 개발 등을 포함한 세부 연구 영역에 정부의 R&D 투자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해외 세부 연구영역 동향 및 융합적 R&D 특성을 파악하고, 국내 연구개발 투자현황 및 세부 연구영역과 매칭 및 비교·분석하여, 해외 대비 국내 경쟁 우위 분야 및 차별적인 연구 영역을 분석·도출하였다. KISTI 최희윤 원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유입 초기부터 대한민국 정부는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총력 대응을 하는 동시에 범정부 차원에서 국가적 감염병 대응 역량 확보에 필요한 R&D 투자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경제성장 동력을 준비하고 있다”며, “국내외 R&D 투자 현황에 대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정책입안자 및 해당 전문분야 연구자들에게 제공됨으로써, 국가 코로나 19 연구개발 기획의 방향성을 정립하고, 국가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연구개발 투자 정책을 신속하고 합리적으로 의사결정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해당 분석에 대한 연구결과는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인 한국융합학회지 2020년 4월호에 게재되었으며, 논문명은 “국가 융합 R&D 기획을 위한 글로벌 연구개발 과제 정보의 활용연구: 코로나바이러스 연구를 중심으로 (Analyzing Global National Scientific Funds for Korea National R&D planning: In Case of Coronaviruses)” 이다.“코로나19로 기후가 변했다, 진짜일까?” KOSEN 전문가가 전하는 짧고 명쾌한 지식
“코로나19로 기후가 변했다, 진짜일까?” KOSEN 전문가가 전하는 짧고 명쾌한 지식 - KOSEN, ‘코로나19와 기후변화’에 대한 요약·분석 리포트 신속 제공 - “코로나19로 기후가 변했다, 진짜일까?”, “코로나19는 향후 지구촌 환경에 긍정적일까, 부정적일까?” 코로나19와 기후변화에 관한 이러한 궁금증에 짧고 명쾌하게 답해주는 보고서가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한민족과학기술자네트워크(KOSEN)의 전문가 분석보고서인 ‘KOSEN리포트’를 통해 코로나19 관련 글로벌 연구동향을 신속·정확하게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ㅇ KOSEN은 KISTI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운영하는 전 세계 70여 개국 한인과학자들의 커뮤니티로, 과학기술 각 분야 전문가가 특정 주제에 대한 글로벌 동향을 간략하게 분석·정리하는 KOSEN리포트와 회원들이 자유롭게 연구관련 질의응답을 주고받는 ‘What is?’ 등이 대표 서비스다. 최근에는 텍사스A&M대학교 이경선 박사(환경 전공)가 분석한 ‘코로나19와 기후변화’라는 리포트가 이슈가 됐다. 리포트는 코로나19로 인해 실제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크게 감소했다고 전했다. ㅇ 중국은 공장 폐쇄로 인해 2월 초부터 3월 중순 사이 탄소 배출이 18% 감소했고, 유럽과 이탈리아의 3월 배출량도 27% 감소했다. 인류의 대재앙이라 불리는 코로나19가 역설적이게도 지구 환경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ㅇ 온실가스 배출의 패턴도 바뀌었다. 미국의 경우 전제적으로 배출량이 약 7% 감소한 가운데, 교육용·상업용 에너지 소비는 25~30% 줄어들고 주거용 에너지 소비는 6~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문제는 이것이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점이다. 리포트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는 오히려 온실가스 배출이 급증하는 ‘리바운드(rebound) 효과’가 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경기활성화를 위해 각국 정부가 환경규제를 완화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ㅇ 실제로 미국은 3월부터 자동차산업의 연료 경제성 및 배출 표준을 완화하고 규제 집행도 풀고 있다. 이에 따라 당분간 석유업계는 온실가스 등의 오염원 배출에 대한 보고를 중단할 수 있게 됐다. ㅇ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일시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이 감소했으나, 경기회복 후 리바운드 효과로 배출량이 급증한 바 있다. 리포트는 코로나19가 기후변화 관련 연구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기후예측에 문제가 생겨 허리케인이나 토네이도 등의 재해에 대비하기 힘들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ㅇ 실제로 코로나19 이전에는 상업용 비행기를 이용해 온도·풍속·풍향 등 약 70만 개의 기상관측 데이터가 수집됐지만, 비행이 줄면서 85~90%의 데이터 수집이 중단됐다. 대기·기후 모니터링 데이터가 급감하면서 기상재해 예측과 대응도 근본적인 어려움을 겪게 됐다. ㅇ 또한, 코로나19 대책에 예산이 집중되면서 상대적으로 시급성이 떨어지는 기후변화 관련 예산은 전 세계적으로 대폭 감소하는 추세다. KISTI 최희윤 원장은 “KOSEN을 통해 전 세계 한인과학자들이 생산하는 전문적인 리포트를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연구자는 물론 국민들이 인포데믹(Infordemic, 가짜 정보가 전염병처럼 확산하는 현상)에 휘둘리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KISTI는 전 세계의 신뢰할 수 있고 검증된 과학기술 핵심 정보자원을 확보·연계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KISTI는 ‘코로나19와 기후변화’에 이어,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AI’, ‘코로나19로 촉발된 시민과학’이라는 주제의 KOSEN리포트 보도를 매주 시리즈로 제공할 예정이다.KISTI 개원 58주년, 언택트 시대 데이터 협업 인프라 이끌 세계적인 데이터생태계 중심기관으로 도약!
KISTI 개원 58주년, 언택트 시대 데이터 협업 인프라 이끌 세계적인 데이터생태계 중심기관으로 도약!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이 5월 19일 개원 58주년을 맞는다. KISTI는 1962년 출범한 국내에서 두 번째로 역사가 긴 출연(연)으로, 기관의 역할이 과학기술기본법으로 규정된 유일한 출연(연)이기도 하다. ㅇ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개원기념일 행사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화상으로 진행된다. KISTI는 이번 개원기념일을 통해 최근 2년간 주력해온 강점혁명의 성과를 점검하고 미래 연구플랜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ㅇ KISTI는 ‘국가와 국민을 위한 데이터생태계 중심기관’이라는 비전을 세우고, KISTI의 고유한 기능들을 연계·융합해 KISTI만의 혁신적 성과를 도출해내는 ‘강점혁명’을 집중적으로 추진해왔다. ㅇ 대표적인 성과로는 KISTI 지식인프라들을 한곳에서 통합·연계하여 R&D활동 전 주기를 지원하는 ‘ScienceON’, 국가R&D의 과정·결과로 도출된 모든 형태의 연구데이터를 등록·관리·서비스하는 ‘DataOn’ 플랫폼, 오픈사이언스 패러다임 확산을 위한 국가 오픈액세스 플랫폼 ‘KOAR’, 세계 10위권의 국가슈퍼컴퓨터 ‘누리온’ 구축·활용, 정부의 R&D투자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패키지형 연구개발투자플랫폼 ‘R&D PIE’ 등이 있다. KISTI는 과학기술 디지털 협업 인프라를 조성해오고 있다. 데이터 수집, 컴퓨팅, 분석(Collection-Computing-Analysis)의 기관 고유 기능과 이를 연계·융합하는 협업(Collaboration) R&D를 통해 속도감 있으면서도 섬세하게 지식 인프라 확산에 노력하고 있다. ㅇ 코로나 팬데믹 현상이 촉발한 ICT 기반 비대면 연구개발 협업 환경 구축과 이를 가능케 하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사이버보안 등 KISTI가 축적한 역량이 인프라 조성에 선도적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KISTI는 최근 코로나 19 대응과 함께 강조되고 있는 정보인프라 및 서비스를 안전하게 산학연에 제공하며, 출연(연)으로서 국가와 국민을 위한 새로운 공적 역할에 신속하게 대응하며 변화와 위기를 또 다른 혁신의 기회로 삼고 있다. KISTI 최희윤 원장은 개원기념일 기념사를 통해 “기본은 더욱 튼튼히 하되 다양한 연구와 서비스 시도가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 10년 이내에 세계적인 지식인프라 및 연구영역을 창출하는 세계적인 기관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하며, “전 직원이 고객과 함께하는 변화를 통해 지속가능하고 역동적인 데이터생태계 중심기관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ㅇ KISTI는 개원기념식과 더불어 코로나 19의 최전선에서 힘써온 의료진을 응원하는 ‘덕분에 챌린지’를 진행한다. 덕분에 챌린지는 엄지손가락 사진을 SNS에 공유하고 다음 참가자를 지목하는 릴레이 캠페인으로서, 존경과 자부심을 뜻하는 수어 동작인 엄지손가락은 코로나 19 위기에 헌신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의료진에 대한 존경과 감사를 뜻한다.KISTI, 디지털 엔지니어링 기술을 이용한 대전 뿌리산업 지원 사업 선정
KISTI, 디지털 엔지니어링 기술을 이용한 대전 뿌리산업 지원 사업 선정 - ‘21년부터 3년 간 국비 포함 총 사업비 90억 원 투입 - 참여기관 대전테크노파크: 시제품제작, 성능 분석 및 BNG 협의체 구축/운영 한밭대학교: 부품 M&S, 소재분석 및 BNG 전문인력 양성 협력기관 엔지니어링 SW 전문기업 : MIDAS, Virtual Motion, MFRC, VM Tech, FunctionBay 지역 대표 뿌리기업: JINHAP, HANCO, SUNJIN Technologies, KD TECH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사업구성 D-ENG 기술지원: 뿌리실무 위원회 D-ENG 인프라 구축 : 뿌리 자문 위원회 D-ENG 플랫폼 구추기: 엔지니어링 협의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산업통상자원부 ‘지역산업 거점기관 지원 사업’ 중 대전광역시의 “디지털 엔지니어링 기반 뿌리산업 혁신성장 고도화 사업” 주관기관으로 참여하여 선정되었다고 6일 밝혔다. KISTI는 대전광역시와 함께 ‘디지털 엔지니어링 기반 뿌리산업 혁신성장 고도화 사업‘을 통해 ’21년부터 3년간 총 사업비 90억 원(국비 60억 원 포함)을 투입해 ▲디지털 엔지니어링 및 성능분석 장비구축 ▲공정 및 부품 시뮬레이션 기술지원 ▲수요-공급 연계 플랫폼 ▲엔지니어링 인력양성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 사업을 주관하는 KISTI의 가상설계센터는 출연(연) 유일의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기반의 기업지원 전문 센터로서, ‘07년부터 약 600개의 국내 제조기업의 부품, 공정의 획기적 성능개선을 지원해오고 있다. 이러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참여기관인 대전테크노파크, 한밭대학교와 함께 디지털 엔지니어링 기술을 활용해 대전 뿌리기업의 혁신 성장을 도울 계획이다. KISTI는 현재 4%에 불과한 디지털 엔지니어링 활용률을 20%까지 끌어올리고 대전 소재 뿌리기업 105개를 지원하여 생산성을 30% 향상시킬 계획이다. 김명일 KISTI 가상설계센터장은 “이번 사업 선정을 통해 대전의 주력산업인 뿌리산업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게 됐다”며 “KISTI가 보유하고 있는 슈퍼컴퓨터와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해 대전이 스마트제조 명품도시로 도약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KISTI, 코로나19 관련 논문 및 연구데이터 전 세계 공유
KISTI, 코로나19 관련 논문 및 연구데이터 전 세계 공유 - KOAR와 DataOn 통해 코로나19 대응 지원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국내외 코로나 관련 논문과 연구데이터를 국가 오픈액세스 플랫폼(이하 *KOAR, https://www.koar.kr)과 국가연구데이터플랫폼(이하 **DataOn, https://dataon.kisti.re.kr)을 통해 공유한다고 밝혔다. * KOAR : KISTI가 운영하는 오픈액세스 플랫폼으로, 약 2천 1백만 편의 오픈액세스 논문 검색, 오픈액세스 출판 지원, 자율 기탁, 부실 의심 학술행사 및 학술지 정보를 종합 제공 **DataOn : KISTI가 구축한 연구데이터 공유·활용 플랫폼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EU, 호주, 일본의 연구데이터플랫폼과 연계하여 180여만 건의 연구데이터를 제공하고 있고, 연구데이터의 등록·관리, 통합검색, 커뮤니티 지원 기능 등을 제공 3월 6일을 시점으로 코로나19 글로벌 공동 대응방안 논의를 시작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와 미국, EU 등 17개국 관련 부처가 참여하는 유선회의가 진행되었다. 해당 회의에서 국내의 코로나19 관련 공공데이터 저장소 역할을 KISTI에서 수행하기로 하였고, 이에 그동안 준비해 온 KOAR와 DataOn의 코로나 관련 논문과 연구데이터를 전 세계에 오픈한 것이다. 이는 코로나19 확산이 장기화 되면서, 세계 각국의 연구자들이 코로나19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고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예방과 방역뿐만 아니라 백신과 치료제 개발 등에 필요했기 때문이다. < KOAR 코로나19 서비스 화면 > KOAR에서는 국내 연구자가 코로나19 관련 심사 전 논문(pre-print)을 작성하여 기탁하도록 지원하며, 연구자가 기탁한 논문은 KOAR를 통해 공유된다. 향후 KISTI는 국내 유관기관과 연계·협력을 통해 관련 국내 연구논문의 무료 공개를 확대해 갈 예정이다. KOAR에서는 전 세계 코로나19 관련 오픈액세스 논문 검색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용 가능한 코로나19 관련 논문은 약 1만 7천 편이다. 특히 생물학·의학 분야 논문 아카이브인 바이오아카이브(bioRxiv)와 메드아카이브(medRxiv) 등의 심사 전 논문(pre-print)도 공개 후 일주일 내에 KOAR에서 이용할 수 있다. 올해 출판되거나, 출판을 준비 중인 7천 편 이상의 코로나19 관련 논문을 원문까지 볼 수 있다. < DataOn 코로나 서비스 화면 > 또한, DataOn 서비스를 통해 현재 코로나 관련 600여 건의 국내외 연구데이터, 리포트, 소프트웨어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보유한 코로나 관련 데이터의 국내외 공유를 원하는 경우 누구든지 DataOn의 등록 기능을 통해 전 세계에 공유 할 수 있다. DataOn에 등록된 데이터는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주요 COVID-19 관련 협의체들과 공유될 예정인데, 데이터 관련 글로벌 4개 기구(CODATA, RDA, WDS, GO-FAIR)가 공동으로 구성한 VODAN(Virus Outbreak Data Network)에 KISTI가 참여하여 글로벌 협업을 진행 중이다. KISTI 최희윤 원장은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코로나19 대응 상황에서 과학기술계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며, “우리나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포함하여 미국, EU를 포함한 전 세계 17개국 과학기술계 수장들이 협력하여 코로나19를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만큼, KISTI는 국가 과학기술정보 전문연구기관으로서 국내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전 세계 연구자들에게 공유할 수 있는 관문역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