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ScienceON’ 알린다
KISTI,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ScienceON’ 알린다 - KISTI의 다양한 과학기술 지식인프라를 한 번에 활용할 수 있는 ScienceON - 학회 및 박람회 지속적 참여를 통해 서비스 적극 홍보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이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ScienceON’ (이하 ScienceON, http://scienceon.kisti.re.kr ) 알리기에 나섰다. KISTI 융합서비스센터는 오는 11월 14~15일 제주 ICC에서 열리는 대한기계학회의 2019년 학술대회에서 ScienceON 전시부스를 운영한다. 이곳에서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ScienceON 서비스의 장점과 편리함을 알리고, 학회 참가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작은 이벤트도 진행할 예정이다. 올해 1월 오픈한 ScienceON은 과학기술정보, 국가R&D정보, 연구데이터, 연구인프라 등을 한 곳에서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KISTI가 축적해 온 과학기술지식인프라 30종 및 300여 개 기능에 편리하게 접근하고, 연계된 다양한 서비스들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이용자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서비스’, 이용자가 미처 알지 못했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제적 서비스’, 선후행 관계가 있는 일련의 서비스 묶음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원스톱 서비스’도 제공한다. ▲[사진]지난 10월 16일 열린 대한화학회에서 소개된 KISTI의 ScienceON 서비스 KISTI는 새로운 서비스를 알리기 위해 다양한 홍보활동을 진행해 오고 있다. 지난 5월 23~24일 진행된 한국학술정보협의회 콘퍼런스(참석자 약 400명)와 지난 10월 16~18일 진행된 제124회 대한화학회 학술발표회(참석자 약 2,000명)에 참여해 ScienceON 서비스를 소개했다. 과학기술, R&D 정보를 자주 활용하는 전문 연구자들에게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알리는 데 초점을 맞췄다. 온라인으로도 ScienceON을 알리고 있다. 현재 블로그(blog.naver.com/ kistiscienceon), 인스타그램, 유튜브 채널 등을 운영 중이다. 대중도 과학기술 정보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리자는 취지다. KISTI 융합서비스센터 최희석 센터장은 “연구자들이 R&D과정에서 KISTI의 다양한 과학기술 지식인프라를 보다 쉽게 한 곳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ScienceON을 개발했다”며 “일반인들도 ScienceON을 통해 과학기술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과학기술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최희윤 KISTI 원장, 2019 대한민국 봉사대상 수상
최희윤 KISTI 원장, 2019 대한민국 봉사대상 수상 - 서로 믿고 섬기며 함께 성장하는 공동체 문화 수립과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 최희윤 원장은 5일(화) 서울 여의도 KBS아트홀에서 개최된 ‘2019 대한민국 봉사대상’ 시상식에서 ‘대한민국 봉사대상’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상’ 등 2개 부문에서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사)한국유엔봉사단이 주최하는 ‘대한민국 봉사대상’은 대한민국을 빛낸 아름다운 한국인에게 주는 상으로 사회 각계각층의 숨은 영웅들을 발굴, 시상하여 전 국민의 나눔과 봉사에 참여하는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자 마련됐다. 최희윤 원장은 여성과학기술인 성장지원과 가족 친화적 제도 신설을 통한 젠더 혁신, 지식기부 및 기관 단위의 레인보우토크, 꿈나무 과학 멘토, 주니어닥터 등의 대국민 과학 소통활동, 대전지역 사회복지시설 방문 봉사를 통한 지역공동체와 연계한 사회 공헌 활동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KISTI 최희윤 원장은 “앞으로 소통과 융합을 통한 젠더혁신으로 신명나는 조직문화 창출, 사회와 더불어 성장하는 여성 과학기술인 육성, 이웃사랑 실천을 위한 사회봉사 지원, 그리고 향후 나눔과 봉사활동 등의 계획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국민들에게 더불어 사는 삶의 중요성을 전달할 것”이라고 전했다.KISTI-포항테크노파크-한동대학교, 포항시 사회문제 해결 및 신사업 발굴
KISTI-포항테크노파크-한동대학교, 포항시 사회문제해결 및 신사업 발굴 MOU 체결 - 포항시 사회문제 해결 위한 KISTI 슈퍼컴퓨팅 인프라 및 계산과학 AI 융합 플랫폼 지원 - (왼쪽부터) 포항TP 이점식 원장, 한동대학교 장순홍 총장, KISTI 최희윤 원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4일(월) 포항테크노파크(원장 이점식, 이하 포항TP) 및 한동대학교(총장 장순흥)와 KISTI 슈퍼컴퓨팅 인프라 및 계산과학 AI 융합 플랫폼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각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포항시의 사회문제 해결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신사업 및 신서비스 체계구축에 힘을 모을 예정이다. 각 기관은 앞으로 포항시 사회문제해결 및 신사업·신서비스 체계구축을 위해 ▲KISTI 계산과학 AI 융합플랫폼 기반 슈퍼컴퓨팅 인프라 제공 및 계산과학 수행 기술 지원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분석 수행 ▲빅데이터 전문가 양성 ▲빅데이터 기반 시스템 구축을 통한 사회문제 발굴 지원 및 신사업 발굴 등을 협력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의 지원으로 2011년부터 추진된 EDISON(EDucation-research Integration through Simulation on the Open Platform and the Net) 사업을 통해서 개발된 계산과학 AI 융합플랫폼은 KISTI 슈퍼컴퓨터 5호기(누리온)와 연동된 웹기반 개방형 플랫폼(계산과학+데이터+AI)이다. 2019년 10월 기준으로 계산과학공학 7개 전문분야*에 751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와 844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국내 58개 대학교, 1,814개 강좌에서 62,000여 명의 사용자가 활용 중이다. *전문분야: 전산열유체, 나노물리, 계산화학, 구조동역학, 전산설계, 전산의학, 도시환경 본 협약을 통해 KISTI, 포항TP 및 한동대학교는 계산과학 AI 융합플랫폼과 포항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포항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신사업 발굴과 신서비스 체계구축을 위하여 관련분야에 대한 이슈들을 긴밀하게 협력할 예정이다. KISTI 계산과학플랫폼센터 이종숙 센터장은 “KISTI의 계산과학 AI 융합플랫폼을 통해 계산과학공학 분야뿐만 아니라 포항시를 시작으로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기반 플랫폼으로도 널리 활용되기를 바란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발전과 더 나아가 국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KISTI 최희윤 원장은 “KISTI는 포항TP와 한동대학교와의 MOU체결을 통해 계산과학 AI 융합플랫폼 활용 분야를 확대하고 지역산업 및 경제발전에 기여해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전 세계 한인과학자 모여라! ‘KOSEN DAY’ 개최
전 세계 한인과학자 모여라! - KISTI, 전 세계 한인과학자 오프라인에서 직접 만나는 ‘KOSEN DAY’ 개최 - - 한국, 미국, 독일 등 10개국에서 50개의 모임 열어 -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미국, 중국, 용인, 서울의 KOSEN 회원들이 KOSEN DAY를 기념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11월 1일부터 7일까지 일주일간 한민족과학기술자네트워크(KOSEN)의 연례행사인 KOSEN DAY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KOSEN은 전 세계 한인과학자들의 지식 커뮤니티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고 KISTI가 운영하는 사업이다. KOSEN은 회원들이 휴먼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서로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으며 자발적으로 지식을 생성·공유·활용하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독특한 운영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현재 72개국 14만 7천여 명의 한인과학자가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KOSEN DAY는 온라인상에서 활동하던 KOSEN 회원들이 주간을 정해 동시다발적으로 오프라인 소모임(5명~20명)을 열고 특정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하는 행사다. 9회째인 올해는 10개국(한국, 네덜란드, 독일, 미국, 오스트리아, 일본, 캐나다, 프랑스, 핀란드)에서 50개의 모임이 열리며 총 422명이 참여한다. KOSEN은 회원 간 휴먼네트워크 형성을 지원하는 차원에서 다양한 오프라인 행사를 추진하고 있으며, KOSEN DAY가 가장 대표적인 행사다. KOSEN DAY에는 매년 하나의 주제로 토론이 진행된다. 전 세계 수백 명의 한인과학자가 특정 사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토론하여 집단지성을 형성하는 행사는 국내에서 KOSEN DAY가 유일하다. 토론 결과는 정책보고서로 작성되어 정부 기관에 배포된다. 그동안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과학자들의 자세’, ‘자연재해에 대처하는 우리의 기술’, ‘10년 후 미래과학기술’ 등에 대한 토론이 이뤄졌다. 9회째를 맞는 이번 KOSEN DAY의 주제는 ‘20주년을 맞은 KOSEN을 축하해주세요!’로 정해졌다. 독보적인 운영체계를 바탕으로 지난 20년간 꾸준히 성장하며 ‘국내·외 한인과학자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R&D 파트너’로 자리 잡은 KOSEN의 향후 발전방향을 모색하여 더 유익한 커뮤니티로 성장하도록 하는 것이 토론의 목표다. KOSEN 연구책임자인 KISTI 윤정선 책임연구원은 “KOSEN은 한인 과학자들이 끈끈한 정을 쌓으며 서로의 연구활동에 도움을 주고 그 과정에서 고급 지식을 축적하는 지식 생태계다. 다른 사이트에서는 찾을 수 없는 귀한 정보가 매년 1만 건 이상 축적·유통되고 있다”며, “이번 KOSEN DAY를 통해 방향성을 모색함으로써 앞으로 KOSEN이 전 세계 한인과학자들의 더욱 든든한 R&D 협력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KISTI, 산학연 공동체와 함께 지속가능한 지식교류의 장 열어
KISTI, 산학연 공동체와 함께 지속가능한 지식교류의 장 열어 - 2019 전국 ASTI 10주년 리더스 포럼 개최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29일 대전 ICC호텔에서 2019 전국 과학기술정보협의회(이하 ASTI) 10주년 리더스 포럼을 개최한다. 올해로 출범 10주년을 맞는 국내 최대 산학연 및 유관기관 인적 네트워크인 ASTI는 KISTI가 주관하는 전국 규모의 과학기술정보협의회다. KISTI는 산학연 협력을 통한 ASTI의 활동과 성과를 공유하고 ASTI 회원 간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해 중소기업 등 회원기관의 발전 전략에 대해 함께 고민하는 ASTI 전국대회를 매년 개최해 오고 있다. ASTI는 KISTI가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기술개발과 기술사업화 지원을 위해 정보제공 및 교류를 목적으로 2009년 10월에 출범한 협의체다. 지난 10년간 1,710개 기업을 지원해 2,781명의 신규고용과 402건의 신기술 및 489건의 신제품 개발에 기여했다. KISTI는 이를 위해 지역 현안 R&D 연구 강화, 지역특화산업 데이터기반 서비스 혁신 등 상생 협력 기반 강화에 노력하고 있다. 이번 포럼은 KISTI 최희윤 원장의 환영사로 시작해 이상민 국회의원과 원광연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하 NST) 이사장의 축사, 그리고 형기우 전국 ASTI 회장의 인사가 이어진다. 또한, ASTI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기리는 ASTI상 수상과 더불어 중소기업지원 대표성과사례 발표가 진행된다. 아울러 한양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김창경 교수의 특강으로 미중 패권분쟁 및 한일경제전쟁에 따른 중소기업의 생존전략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진다. 이어서, 이호신 KISTI 지역융합혁신단장이‘KISTI 중소기업 지원성과 및 ASTI 발전방향’이라는 주제로 KISTI의 기업지원 정책과 성과 그리고 ASTI 발전을 위한 상생협력기반 강화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ASTI 발전방향 및 KISTI의 지원정책’을 주제로 한 패널토의가 진행된다. 패널토의에는 박영서 3D프린팅연구조합 이사장(前, KISTI 원장)을 좌장으로 전세희 중소벤처기업부 정책평가과장, 석재진 NST 성과확산부장, 양현봉 산업연구원(KIET) 중소벤처기업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 형기우 전국ASTI 회장, 이호신 단장이 참여한다. KISTI 최희윤 원장은 “중소기업을 향한 지원과 협력, 그리고 탄탄히 조직된 지역망과 10년에 걸친 교류는 상생과 신뢰의 바탕이 됐으며, 현재는 12,000여명의 회원이 KISTI와 함께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며, “ASTI의 성장과 함께 해주신 모든 산학연 분들께 깊이 감사하며, 이번 포럼이 산학연 일원들이 서로 교류하고 소통하는 지식의 장이 되기를 바란다. KISTI는 ASTI의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