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엔비디아·오크리지연구소(美)·연세대와 함께 해커톤 개최
2019년 전 세계 11개국에서 개최되는 ‘GPU 해커톤 2019’가 국내에서 첫 테이프를 끊는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엔비디아(NVIDIA), 미국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이하 ORNL), 연세대학교와 함께 18일부터 22일까지 5일간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에서 해커톤*(KISTI GPU Hackathon)을 개최한다. *해커톤(Hackathon) : 해킹(hacking)과 마라톤(marathon)의 합성어로 기획자, 개발자 등이 팀을 꾸려 긴 시간동안 프로그래밍 등의 과정을 통해 결과물을 만드는 대회 이번 ‘KISTI GPU 해커톤 2019’는 병렬 계산을 위한 표준 프로그래밍언어인 오픈에이씨씨(OpenACC*) 와 쿠다(CUDA*)를 사용하여 GPU에서 본인의 코드를 최적화하고 성능을 가속화 한다. 2018년 12월 10일부터 2019년 1월 11일까지 참가신청을 받아 16개 팀이 신청하였다. 이 중 심사를 거쳐 6개의 팀 ▲DCSLAB(최재익 외 5명, 서울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MOM: Monster of Modeling(김기하 외 3명, 연세대학교) ▲TeamULSAN(안형택 외 5명, 울산대학교) ▲FVCOMik(김동훈 외 4명, 인하대학교, KISTI) ▲ELSA(김민정 외 2명, LG전자) ▲Mallang Caw(김유신 외 2명, 공군기상단, 크레이(CRAY))이 선정되었다. *OpenACC : Cray, CAPS, NVIDIA와 PGI에 의해 개발 된 병렬 계산을 위한 표준 프로그래밍언어 *CUDA : 그래픽 처리 장치(GPU)에서 수행하는 (병렬 처리) 알고리즘을 C 프로그래밍 언어를 비롯한 산업 표준 언어를 사용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참가팀은 해커톤 기간 동안 KISTI에서 제공하는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 보조시스템인 GPU 클러스터(KAT)를 이용한다. KISTI, 엔비디아, ORNL 슈퍼컴퓨팅센터에서 온 국내외 전문가 15명이 각 팀에 2명씩 멘토로 배정되어 특정 코드를 GPU로 이식하고 성능 최적화 및 가속화를 통한 연구문제를 해결한다. KISTI과학데이터스쿨 안부영 실장은 “국내외 최고의 멘토들과 함께 GPU에서 코드를 가속화하고 최적화하기 위한 전문 지식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라며 “엔비디아와의 국내 최초 OpenACC GPU 해커톤 행사를 시작으로, 매년 정기적인 이벤트로 자리 잡아 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OpenACC GPU Hackathon 2019.2.18 월~2.22 금 4박5일간 진행됩니다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참가자격 : 문제해결을 위한 코드 소유, 대학원 이상, 영어 가능자 참가신청 : http://kacademy.kisti.re.kr https://www.olcf.ornl.gov/gpu-hackathons/ 신청문의 : kacademy@kisti.re.kr(042-869-0650) 신청기간 : 2018.12.10(월)~2019.1.31(목) 심사기간 : 2019.2.1(금)~2019.2.6(수) 선정팀 발표 : 2019.2.7(목) 9:00 오리엔테이션 : 2019.2.11(월) 11:00 연세대학교 공학관 509호 Hackathon 진행 : 2019.2.18(월)~22(금) 17:00 (세부일정 추후통보) 주관/주최 : KISTI, NVDIA, 연세대학교 AI연구단, ORNL(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Graphics Processing Uint, Programming Language, Hackathon(Hacking+Marathon) POpenACC 관련 툴을 사용하여 GPU 가속화(또는 최적화) 수행 기회를 제공하고 코드 최적화를 통한 연구문제 해결 및 거대 연구과제에 도전하는데 본 대회 개최 목적이 있습니다. 1팀은 인원 3~6명으로 구성되며 팀별 멘토는 2명이 배정됩니다. 팀별 해결 코드 준비 및 OpenACC CUDA 사용 코드 가속화, GPU 코드 이식 및 성능 최적화를 통한 문제를 해결합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SITI과학데이터스쿨, nVIDIA, 연세대학교, OAK RIDGEKISTI, 데이터 중심 연구에 발맞춘 네트워킹 연구환경 마련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14일 KISTI 본원에서 20개 정부출연연구기관 대상으로 빅데이터 중심의 변화하는 연구현장의 기술과 인프라에 대비하는 ‘KREONET R&E Together 협력위원회’를 개최하였다. 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R&E Together는 2015년 미국에서 시작한 태평양 리서치 플랫폼(PRP) 프로젝트*처럼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진 다수의 연구기관이 과학데이터의 전송과 공유의 중심을 기존의 백본 속도중심에서 종단 성능중심으로 발전시켜 데이터 중심형 과학을 발전시키기 위한 프로젝트이다. *태평양 리서치 플랫폼(PRP) 프로젝트 : 미국 국립과학재단(NSF)과제로서 미국 대학 및 연구소 대상으로 한 오픈사이언스 플랫폼으로 사이언스 프리웨이 구축을 통해 과학문야 빅데이터의 초고속 전송, 공유, 계산을 위한 연구환경 제공 ‘KREONET R&E Together’ 는 기존 네트워크의 속도에서 2~10배 빠른 대용량데이터전송모델(이하 ScienceDMZ) 네트워킹 기술을 중심으로, 연구자가 연구현장에서 발생한 과학데이터 뿐만 아니라 다른 연구기관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본인의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연구 환경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은 1988년부터 과학기술처(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산학연 주요 200여 개 기관의 다양한 과학기술정보자원과 슈퍼컴퓨터, 첨단과학기술분야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연구자들에게 공동협업연구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KREONET R&E Together’는 기존 구축된 초고속 네트워킹환경에 실제 연구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ScienceDMZ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성능과 접근성을 더해서 빅데이터를 연구현장에 접목할 수 있는 데이터 중심형 연구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KISTI 석우진 과학기술연구망센터장은 “기존의 초고속이지만 물리적 속도에 머물러 있던 기존의 네트워킹 환경에서, 연구자들이 속도 그 이상을 체감하고 접근성이 용이한 성능중심 네트워킹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라며 “4세대 데이터 중심의 과학으로의 빠른 변화와 이를 대처하는 네트워킹 기술과 인프라의 변화는 시급하다. 이번 ‘KREONET R&E Together’는 기존 연구현장의 데이터를 통한 협력뿐 아니라 데이터 간 융합을 통해 새로운 분야의 연구 창출도 기대된다.”라고 말했다.연구개발에 필요한 과학기술 정보, 서비스 한 곳에서 찾는다
연구자가 연구개발 활동 시 필요한 정보와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목적에 맞는 사이트를 찾았었다. 연구개발 정보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수많은 사이트 중 본인이 필요한 것이 어디에 있는지 고민하기도 했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그동안 운영해 온 다양한 과학기술 지식인프라*를 한 곳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통합서비스(이하 ScienceON, http://scienceon.kisti.re.kr)를 새롭게 선보이게 되었다고 밝혔다. * 과학기술정보, 연구데이터, R&D정보서비스, 분석서비스, HPC 기반 서비스, 시스템 인프라 등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기술 및 서비스 간 융합과 연결이 보편화된 트랜드에 발맞춰 ScienceON은 연구자들이 R&D 과정에 있어 기존에 이용하던 KISTI 과학기술 지식인프라를 통합적으로 가이드하고 쉽게 활용하게 하고자 추진됐다. 이용자 요구에 딱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서비스’, 이용자가 미처 알지 못했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제적 서비스’, 선후행 관계가 있는 일련의 서비스 묶음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R&D 활동을 하는 다양한 이용자 그룹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서비스 제공으로 단절 없는 R&D 활동을 지원한다. KISTI 는 29일 오전 양재동 엘타워에서 ‘ScienceON 오픈 행사’를 개최한다. 이날 행사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출연(연) 관계자 및 KISTI 주요 서비스 이용자 100여 명이 참석한다. 본행사에서는 KISTI 정보서비스의 역사부터 ScienceON 추진경과 및 서비스 소개를 중심으로 향후 서비스 정책 선언, 브랜드 선포까지 다채로운 순서로 진행된다. KISTI 최희석 융합서비스센터장은 “이용자 맞춤형·선제적 서비스 제공을 통해 서비스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KISTI 대표접점 채널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이용 편의를 증진 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국가 공공자원으로서의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접근·활용 보편화로 과학기술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KISTI, 사이버공격 지능형 가시화 기술이전 계약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23일 정보보호 전문업체 (주)윈스(대표 김대연)와 사이버공격을 실시간 및 장기적으로 가시화 가능한 지능형 보안관제 기술을 선급기술료 1억원에 기술이전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해당 기술은 국가 사이버안보를 위한 필수 보안장비인 TMS*(침해위협관리시스템), IDS/IPS**(침입탐지/방지시스템) 등이 탐지한 대용량 보안로그를 실시간 및 장기적으로 가시화하여 개별공격자 이상행위, 공격자 간 상관관계/구조 등을 자동으로 분석함으로써 사이버공격 근원지 및 유발지에 대한 실시간 탐지 및 역추적이 가능한 기술이다. * TMS : Threat Management System * IDS/IPS : Intrusion Detection/Prevention System 특히 개별 IP가 발생시킨 전체 보안로그를 시간적(분 단위), 상관적 정보로 변환하여 공격행위를 가시화하기 때문에 APT 공격과 같은 지속적・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사이버공격을 탐지할 수 있다. 이번 기술이전 협약에 따라 (주)윈스는 기존 보안관제 솔루션(SNIPER)에 사이버공격 실시간 가시화 기술을 보완하여 상용화 및 세계시장 진출에 나선다. (주)윈스 김대연 대표는 “당사의 주력제품인 SNIPER 시리즈에 이전받은 기술을 적용하여 기술 차별성과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한층 더 강화된 자동화 사이버 보안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라며, “상용화 작업을 거쳐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KISTI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 송중석 박사는 “기존의 텍스트 분석 중심의 일차원적 정보보호 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이버공격의 실시간 분석 및 추적이 가능한 차세대 보안관제 패러다임 구축을 앞당길 수 있는 획기적·진보적 기술이다.”라며 “상용화를 위해 (주)윈스 솔루션에 최적화된 경량화 모듈개발을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국산 SW와 슈퍼컴퓨터 활용, 과학기술 융합인재 찾는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계산과학공학 활성화와 융합인재 발굴을 위해 24-25일 양일간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제8회 첨단 사이언스·교육허브개발(EDISON) SW 활용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이공계 대학(원)생들이 과기정통부의 첨단사이언스·교육허브개발사업(이하 EDISON)*으로 개발된 시뮬레이션 SW를 활용하여 과학기술 분야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논문으로 작성·발표·평가하는 행사이다. * EDISON (EDucation-research Integration through Simulation On the paltform and Net): 슈퍼컴퓨터 연동 웹기반 플랫폼에 이공계 전문분야별 계산과학공학 SW들을 탑재하여 언제 어디서나 활용할 수 있게 구축된 4차 산업 인재양성용 교육·연구 서비스 올해는 6개 과학기술 전문분야에 250여명이 참가하여 학술논문 작성, 기술 발표, 로봇 제작 및 주행경기 등을 통해 국산 EDISON SW를 활용한 문제정의 및 해결과정에 필요한 창의적 능력을 겨룬다. 이번 경진대회에서는 2011년 이후 8년 간 EDISON 플랫폼의 발전모습과 플랫폼을 기반으로 도출된 우수SW 등 다양한 연구 성과 전시 및 SW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데모시연 장도 마련된다. 에디슨(EDISON)은 고급 융합형 인력을 양성하고 국내 계산과학공학 SW를 개발·보급·확산함으로써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개방형 에디슨 플랫폼(www.edison.re.kr)을 기반으로 7개의 계산과학공학 전문분야*를 통합한 웹포털 구축을 통해 ‘무료로’, ‘누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전주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문분야 간 융합연구, 이론/실습 융합연구, 시뮬레이션-데이터 융합연구가 가능하다. * 전문분야 : 전산열유체, 나노물리, 계산화학, 구조동역학, 전산설계, 전산의학, 도시환경 2011년부터 현재까지 7개 전문분야 50여개 대학 연구팀에서 개발한 약 590종의 계산과학공학 응용 SW와 760종의 콘텐츠를 EDISON 플랫폼에 탑재하여 사이버 교육·연구 환경으로 연간 1만 명 이상의 사용자들이 꾸준히 활용하고 있다. 그 결과, ‘2018년 인터넷에코어워드 서비스 혁신대상’, ‘2017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미국국립과학재단(NST) 프라그마(PRAGMA) 국제공동연구기반 플랫폼 선정’ 등 국내외에서 기술력과 혁신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KISTI 최희윤 원장은 “EDISON 사업을 통해 이공계 대학(원)생들이 과학기술 문제해결 능력 증진 시키고, SW 개발·활용이 가능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SW 융합인재로 양성되어, 대한민국이 이 거대한 흐름의 선두주자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EDISON (Everything for Computational Science & Engineering / The Bridge to computational science for education and advanced research) Education-research Integration through Simulation On the Net https://www.edison.re.kr 2019 Edison Challenge 2019년 01월 25일(금), KT대전인재개발원] 주최/주관: EDISON 중앙센터, 구조통역학/전산설계/전산의학/도시환경/나노폴리/계산화학 전문센터 후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NRF 한국연구재단, KISIT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항공우주학회 구조통역학 Computational Structural Dynamics 전산설계 Computer Aided Optimal Design 전산의학 Computational Medicine 도시환경 Urban Environment 나노물리 Computaional Nanophysics 계산화확 Computaional Chemistry 참가접수기간: 2018.10.22(월) ~ 11.30(금) / 논문제출마감: 2018.12.21(금)KISTI, 美 스탠퍼드 연구팀과 손잡고 정밀 의료 분야 도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미국 스탠퍼드대학(Stanford University)과 스탠퍼드대학의 투자회사인 엠프로브(mProbe, 대표 Peter Chen)와 22일 KISTI 대전본원에서 기술 사업화를 위한 공동연구개발협약(Cooperative Research And Development Agreement, 이하 CRADA)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CRADA란 연구기관, 대학, 기업, 국가 간의 공동 연구협정을 통해 기술이전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이다. 통상적으로 협약 기관 간의 기술실시권의 교환과 연구개발 인력교류, 신기술 개발을 위한 합의이다. 엠프로브사는 스탠퍼드 연구진의 대사체/단백채 분석 기술 기반으로하는 임신성 고혈압 진단 마커 개발로 5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한 정밀의료 사업 분야의 떠오는 기업이다. 2016년 설립 이후 대규모 투자 유치를 통하여 미국 현지의 체외 진단 관련 기업인수와 중국, 홍콩, 대만의 지사 설립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정밀의료분야는 높은 수준의 바이오의료 지식과 더불어 수십~수백 TB(테라바이트)수준의 데이터 처리와 계산공학 기술이 요구되는 융합 분야로서, KISTI 는 바이오의료분야 국제 학술지 발표 역량과 IT 기술에 기반한 초고속 전장 유전체 분석 기술을 개발하고, 대규모 전장유전체 분석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높은 확장성을 증명하였다. 이번 CRADA는 이러한 KISTI의 초고성능컴퓨팅기반 오믹스(Omics) 분석 기술력에 주목한 스탠퍼드의 브루스 링(Bruce Ling)교수 연구팀과 엠프로브사의 피터 첸(Peter Chen) 대표의 요청에 의해 성사되었다. KISTI와 스탠퍼드대 연구팀, 엠프로브사는 대덕특구 연구소 기업인 가칭 엠프로브코리아(mProbe Korea, 대표 김재홍)를 2월중 설립하고 조산 위험도 예측과 제2형 당뇨 진단 솔루션을 개발하고 사업화하기로 했다. KISTI 최희윤 원장은 “본 협약을 통해 그동안 축적된 KISTI 빅데이터 기반 생명의료분야의 전문성과 세계적 수준의 슈퍼컴 누리온의 인프라, 그리고 스탠퍼드 연구진의 기술력이 만나 새로운 산업분야에 기여하는 활용 사례로 발전하기를 희망한다.”라고 말했다.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