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무선 IoT 데이터 전송을 위한 사이언스로라(ScienceLoRa) 프로젝트 추진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과학기술 분야의 국내 무선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생태계 환경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한 로라/로라WAN*(LoRa/LoRaWAN) 기반의 ‘사이언스로라(ScienceLoRa)’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 LoRa (Long Range) / LoRaWAN (Long Range Wide Area Network): 비면허 대역 주파수를 사용하는 저전력 장거리 무선 통신 기술 □ ‘ScienceLoRa’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를 활용한 과학기술 분야의 IoT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위하여 LoRa/LoRaWAN 기반의 무선 사물인터넷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 프로젝트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KISTI는 지난 4월 사물인터넷 다국적 협의체인 로라 얼라이언스(LoRa Alliance)에 가입했다. LoRa Alliance는 저전력 장거리 무선 통신 기술인 LoRa/LoRaWAN의 기술 표준화 및 IoT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2015년 3월에 출범한 다국적 협의체로서, 시스코, 셈텍(Semtech), IBM 등 500여 개 기업들이 회원사로 참여하고 있다. □ ‘ScienceLoRa’는 시범사업으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하 KINS)이 운영 중인 국가환경방사선자동감시망(IERNet)의 환경방사선 감시기에 적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ScienceLoRa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집·분석 관리하는 서비스를 진행 중에 있다. 이를 위하여 2019년 목표로 대전 및 서울지역에 ScienceLoRa 네트워크를 시험 구축․연동할 예정이며, 향후 전국 규모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IERNet: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우리나라 전국토에 대한 실시간 환경방사선 감시 및 대국민 정보공개를 실시하고 있음 □ 국가환경방사선자동감시망 측정 데이터를 KREONET 기반의 ScienceLoRa 전용망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의 안정성 및 보안성을 향상할 수 있는 국내 최초 공공 IoT망으로서, 향후 수자원 관리, 지진 관측, 미세먼지 측정 등 공공안전 서비스에 활용함으로써 국민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농작물 수확량 예측 등 관련 산업에도 ScienceLoRa 네트워크를 활용함으로써 국가 정부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 김주범 선임연구원은 “지난 30년간의 KREONET 운영 기술력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유․무선 통합 연구 환경인 ScienceLoRa 구축․운영이 가능하며, ScienceLoRa 환경은 4차산업혁명의 핵심 지능정보기술인 IoT 기반의 데이터 전송․처리를 필요로 하는 연구자에게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아울러 사물인터넷 산업 활성화를 통한 국가 경제 성장 동력 확보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이라고 밝혔다.KISTI, 국가연구개발(R&D) 성과물 활용·확산 워크숍 개최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28일 서울 LW컨벤션에서 국가연구개발 연구관리 전문기관 및 주관연구기관 관계자를 대상으로 ‘2018년 국가연구개발 성과물 활용․확산 워크숍’을 개최한다. □ 이번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KISTI가 주관한다. 한국연구재단,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등 부처별 연구관리전문기관과 출연연구소, 대학 등의 주관연구기관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하여 현장의 의견수렴을 통한 발전방향을 논의하는 정보교류의 장이 마련된다. □ 워크숍에서는 KISTI 최희윤 원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4차 산업혁명과 연구성과물 활용정책’(한양대 김창경 교수), △‘네이버학술정보에서 논문과 연구보고서의 메타데이터 서비스 사례’(네이버 정호식 부장), △‘국가R&D 연구성과물 정보의 관리 및 운영 사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박현철 책임연구원), △‘국가R&D 성과물 관리 및 추진전략’(KISTI 황혜경 콘텐츠큐레이션센터장)에 대한 강연과 관련 토론이 이어진다. □ 국가연구개발 성과물은 연구자의 연구 활동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국가의 과학기술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정보자원이다. KISTI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9대 연구성과 중 보고서원문과 논문정보의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이다. ㅇ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물인 연구보고서와 논문정보는 연구개발의 시작에서 부터 수행내용, 최종결과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내용들이 종합적으로 집약된 최종 결과물이다. 때문에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동으로 활용하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활동은 연구개발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후속연구의 활성화를 통해 국가차원의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기본적인 역할로서 중요하다. * KISTI, 『보고서원문과 논문정보의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 KISTI는 2008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보고서원문과 논문정보의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으로 지정받아, 150여개 정부산하 연구관리전문기관 및 주관연구기관으로부터 보고서원문과 논문성과물을 등록받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과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를 통해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KISTI 황혜경 콘텐츠큐레이션센터장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주요 성과물인 보고서 원문과 논문의 체계적 관리와 공동 활용은 국가차원의 연구개발 효율성과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며 이번 워크숍이 “국가연구개발 성과물 정보의 확산과 이를 활용한 후속연구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데이터 생태계를 선순환 시키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KISTI, ‘2018 EDISON Summer Academy’ 개최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20일 ~ 21일 양일 간 대전 KT 인재개발원에서 계산과학공학플랫폼(이하 EDISON 플랫폼*) 개발자 및 사용자를 대상으로 ‘2018 EDISON Summer Academy’를 개최한다. * EDISON(EDucation-research Integration through Simulation On the Net) 플랫폼 : 슈퍼컴퓨터 연동 웹기반 플랫폼에 이공계 전문분야별 계산과학공학 SW들을 탑재하여 언제 어디서나 활용할 수 있게 구축된 4차 산업 인재양성용 교육·연구 서비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의 지원 하에 KISTI가 개발한 EDISON 플랫폼은 현재 7개 전문분야** 40여개 대학 연구팀에서 개발한 약 1,200여종의 계산과학공학 응용 SW 및 콘텐츠를 탑재한 사이버 교육·연구 환경으로 연간 1만 명 이상의 사용자들에 의해 꾸준히 활용되고 있다. ** 전문분야: 구조동역학, 전산설계, 전산의학, 도시환경, 전산열유체, 계산화학, 나노물리 □ 이번 행사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EDISON 플랫폼 환경과 신규 탑재된 전문분야 계산과학공학 SW 및 콘텐츠를 공유하여 더 많은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기 위해 기획되었다. □ 최근 4차 산업혁명이 주요 화두가 됨에 따라 컴퓨터 시뮬레이션, 초고성능컴퓨팅, 데이터 분석 등에 대한 수요에 발맞추어 EDISON 플랫폼을 통한 계산과학공학 교육·연구 활용법,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Nurion) 소개, 그리고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데이터 기반 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분석 언어인 R과 파이썬(Python)의 EDISON 플랫폼 및 SW에 적용한 사례들을 공유할 예정이다. □ KISTI 이종숙 계산과학플랫폼센터장은 “EDISON Summer Academy를 통해 계산과학공학 SW 개발자 및 사용자들의 최신 기술 적용 역량을 제고하고, 나아가 4차 산업 컨버전스 시대를 견인할 과학기술 전문지식과 SW개발, 시뮬레이션 수행 및 데이터 분석 능력을 갖춘 핵심인재들이 함께 모이는 융합의 장이 되었으면 한다.” 고 밝혔다. EDISON Everything for Computational Science & Engineering / THE BRIDGE TO COMPUTATIONAL SCINCE FOR EDUCATION AND ADVANCED RESEARCH EDucation-research Integration through Simulation On the Net https://www.edison.re.kr 2018 EDISON Summer Academy 2018년 08월 20일(월)~21일(화) KT대전인재개발원, 2연수관 111호 주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 NRF한국연구재단, EDISON 중앙센터 후원 :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구조동역학 (Computational Structural Dynamics) 전산설계 (Computer Aided Optimal Design) 전산의학 (Computational Medicine) 도시환경 (Urban Environment) 나노물리 (Computational Nanophysics) 계산화학 (Computational Chemistry) 전산열유체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대상 : DEISON 플랫폼 개발자 및 사용자 준비물 : 실습용 노트북 지참 프로그램 2018년 8월 20일(월, 1일차) 시간 내용 강사 12:00!13:00 점심식사 13:00~13:10 인사말 및 일정 공유 13:10~14:40 EDISON 개발자를 위한 리눅스 이해 및 개발자 서버 활용 중앙센터 14:40~15:00 Coffee Break 15:00~15:30 EDISON 사용자를 위한 포털 활용법 중앙센터 15:30~16:10 EDISON 워크플로우를 활용한 다중 앱 연계 시뮬레이션 중앙센터 16:10~17:10 EDISON 플랫폼용 코드 개발 및 등록(1) 중앙센터 17:10~17:30 Coffee Break 17:30~18:30 EDISON 플랫폼용 코드 개발 및 등록(2) 중앙센터 18:30~ 저녁식사 시간 내용 강사 08:30~09:30 아침식사 09:30~09:40 2일차 일정 공유 09:40~11:00 EDISON 플랫폼용 코드 개발 실습 및 질의응답 중앙센터 11:00~12:00 EDISON 개발자를 위한 슈퍼컴퓨터 5호기 특성 소개 중앙센터 12:00~13:30 점심식사 13:30~14:30 전문분야 주요 SW 소개 및 수업활용 사례 전문센터 14:30~15:30 Python 코딩을 통한 EDISON 앱 및 콘텐츠 개발 : 수리물리학 실습 전문센터 15:30~16:30 R 코딩을 통한 EDISON용 데이터 분석 앱 개발 및 실습적용 : 환경 데이터 분석 전문센터 16:30~ Wrap-Up 문의 류기명, symsonic@kisti.re.kr, 042-869-1789 신정훈, shandy77@kisti.re.kr, 042-869-0602NTIS 기술·노하우 코스타리카 과학기술정보서비스로 꽃피우다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이 개발을 이끈 코스타리카 과학기술정보서비스(이하 SINCYT*)가 현지 시각으로 8월 1일부터 시범 운영된다. ㅇ 이번 사업은 KISTI가 2013년부터 추진해 온 과학기술정보관리 분야의 국제협력사업이 해외 진출이라는 결실을 맺은 첫 번째 사례로, ㅇ KISTI가 개발하는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기술과 노하우가 코스타리카의 국가과학기술 정보관리 혁신을 견인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뜻깊다. ㅇ 또한, 국내 중소기업에 우수한 기술을 전수하여 함께 사업화에 참여함으로써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의 선순환을 만들고,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기회마련과 기술성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SINCYT : Servicio de Informacion Nacional de Ciencias Y Tecnologico * NTIS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 사업, 과제, 인력, 연구시설·장비, 성과 등 정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정보를 한 곳에서 서비스하는 지식포털 (www.ntis.go.kr) □ KISTI는 지난 3월 2일(현지 일자), 코스타리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MICITT*)와 투자확약서(LOC, Letter of Commitment)를 체결하고, SINCYT 사업화를 본격화하였다. ㅇ 코스타리카 국가R&D과제 및 인력정보를 초기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합검색, 과제 공고 및 평가, 인력정보 검색 등 일부 기능을 우선적으로 구현 하였으며, 초기 데이터를 보완해 시스템 완성도를 높였다. * MICITT(Ministry of Science, Technology and Telecommunications : 과학기술통신부) □ 코스타리카 MICITT는 8월 1일 시범 서비스 오픈 행사를 열고 SINCYT 사업 진행 상황을 설명한다. ㅇ 코스타리카 대통령, MICITT 장·차관, 관련부처, 산학연 등 약 200여 명이 참석한 이번 행사에는, ㅇ KISTI 최희윤 원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은주 과장, KISTI NTIS센터 관계자 등이 참석하여 NTIS 기반의 SINCYT 개발 과정을 설명하고, ㅇ 이번 시범 서비스를 매개로 한 양국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여, 본 사업과 연계를 추진할 계획이다. ㅇ 코스타리카 MICITT는 시범 서비스를 거친 뒤 2019년 1월부터 MICITT의 주요 사업에 SINCYT를 활용한다는 계획 아래 사업 규모를 검토하고 있다. □ 한편, 코스타리카는 과학기술 및 ICT기술 혁신에 국가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어 해마다 국가과학기술정보 활용 수요가 크게 늘고 있으며, ㅇ 이번 사업을 계기로 각 부처에 흩어져 있는 과학기술정보를 수집 및 공동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과학기술 투자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연구 생산성 향상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KISTI 최희윤 원장은 “이번 사업은 국가과학기술정보 관리 체계 구축 노하우를 벤치마킹하고자 하는 여러 수요 국가들에게 좋은 예시가 될 것”이라고 밝히며, 이번 “NTIS를 비롯해 KISTI가 보유한 여러 노하우를 널리 전파해 국제협력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했다.KISTI, 항우(연)-핵융합(연)과 함께 융합과학 교원 직무연수 개최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임철호, 이하 항우(연)), 국가핵융합연구소(소장 유석재, 이하 핵융합(연))과 함께 1일(수)부터 3일(금)까지 전국 90여명의 초·중·고등 교원을 대상으로 ‘융합과학 교원직무연수’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 ‘융합과학 교원직무연수’는 방학을 맞은 현직 교사들이 슈퍼컴퓨팅 및 항공우주, 핵융합 등 첨단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연구현장 방문 기회와 체험형 과학교육 프로그램 실습 등을 제공하는 행사이다. □ 이번 행사에서는 △과학 속 예술을 찾아서(강사 KISTI 이식 슈퍼컴퓨팅클라우드센터장) △우주 탐사(강사 항우(연) 김은혁 달탐사사업단 선임연구원) △기후변화 시대와 핵융합의 역할(강사 핵융합(연) 권면 연구위원)과 같이 연구자들이 직접 들려주는 과학 특강이 진행된다. □ 또한, △슈퍼컴퓨터 5호기 구축현장과 △위성시험동, 운영동 및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 KSTAR 등 연구시설 견학과 함께 △고성능 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모형로켓만들기 △핵융합과 플라즈마 체험 등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활용할 수 있는 체험형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직접 실습하고, 교육자료 활용법을 익히게 된다. □ KISTI 최희윤 원장은 “어느덧 올해로 4회째를 맞은 융합과학 교원직무연수를 통해 4차 산업을 이끌 미래 첨단 과학 분야에 대해 교사의 이해도를 높여 많은 학생들이 과학기술의 관심을 제고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