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총 게시글 857 RSS
  • 092019. 04
    No. 357 View. 24310

    ScienceON, ‘제5회 모바일 어워드 코리아’ 공공서비스 분야 대상 수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이 운영하고 있는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통합서비스(이하 ScienceON, http://scienceon.kisti.re.kr)가 4월 9일 디지틀조선일보가 주관하는 ‘제5회 모바일 어워드 코리아 2019’에서 공공서비스 분야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ScienceON은 연구개발에 필요한 과학기술 정보와 서비스를 한 곳에서 안내·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용자는 논문 , 특허, 보고서와 같은 학술정보에서부터 국가 R&D 성과물 정보, 슈퍼컴퓨팅 활용 환경, 기술기회 발굴과 같은 정보분석 서비스, 과학기술 정보교류 네트워크까지 그동안 KISTI가 구축해온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30종 및 300여개 기능에 대한 안내·검색·활용 환경을 ScienceON을 통해 활용할 수 있다.     가령, 엔지니어가 ‘자율주행’을 입력하면 논문, 특허, 보고서는 물론 동향, 교육, 정보분석, 슈퍼컴퓨팅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등 관련된 정보와 서비스들을 활용할 수 있다.    KISTI 최희윤 원장은 “KISTI가 그동안 쌓아온 다양한 지식인프라를 연결 및 융합한 ScienceON을 통해 4차산업혁명시대 데이터 중심 R&D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292019. 03
    No. 356 View. 21050

    KISTI-공군기상단,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 초단기 예측기술 세미나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과 공군기상단(공군기상단장, 기균도)은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위치한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기상분야 4차 산업혁명 최신 기술 공유 및 협업 강화를 위한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기반 초단기 예측기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KISTI와 공군기상단이 공동으로 개최한 이번 세미나는 지난 2월 18일(월) 기관 간 후속 업무협력 강화 방안으로 채택해 마련되었다.    이번 세미나에는 KISTI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과 딥러닝 기술을 현업 및 연구개발에 활용 중인 기관들이 모여 최신 기술 공유 및 협력 과제를 논의 하였다. 참석 주요 기관은 KISTI 및 공군기상단을 비롯해 기상청, 국립해양조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자원공사, 농촌진흥청, 인하대학교 등 이며, 11개 군·관·학·연 전문가 40여명이 참여했다.     세미나는 KISTI 황순욱 슈퍼컴퓨팅본부장의 인사말에 이어 주제 발표, 전문가 토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주제 발표는 공군기상단 김계환 박사(공군 중령)가 ‘딥러닝 기반 초단기 예보 체계’를 시작으로,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 류근혁 박사의 ’위성자료를 활용한 대류운 탐지 기술‘, KISTI 최예지 박사의 ‘딥러닝 기반의 강수타입 분류 기술’, 국립해양조사원 김영택 박사의 ‘딥러닝 기반 해무 예측’을 발표하여 각 기관의 최신 딥러닝 기술 현황 및 개발 내용을 공유하였다.   이어서 KISTI 조민수 책임연구원이 진행한 전문가 토의에서는 초단기 예측 기술 협업을 위한 슈퍼컴퓨팅 인프라(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 활용, 국가과학기술연구망 등) 활용 방안을 활발하게 논의하였으며 초단기 예측기술 개발 간 기관 협력 사항을 도출하였다.    KISTI 최희윤 원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슈퍼컴퓨터 5호기를 활용하여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머신 러닝 및 딥러닝 기술을 기상 분야에 적용하고, 유관기관과의 기술 공유 및 협업을 통해 발전시켜 나감으로써, 기상 예보 모델의 초단기 예측 기술의 획기적인 향상을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KISTI는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을 활용하여 기상 빅데이터 처리 및 고해상도 기상 예보 자료 생산을 지원함으로서 기상 예보 기술 혁신에 기여하겠다"고 덧붙였다.  
  • 272019. 03
    No. 355 View. 20881

    4차 산업혁명 시대, 지능화된 법령·규제 관리 플랫폼 필요하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국가적 차원에서의 법령․규제 관리를 통한 사회 문제에 대한 대응이 중요하다는 인식에 따라 최근 이와 관련된 레그테크 동향과 필요성을 소개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한 『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했다. * KISTI 이슈브리프 : KISTI는 국가과학기술정보 분야 대표 연구기관으로서, 최근의 국가·사회 이슈에 대해 폭넓은 조사와 정보/데이터 기반 분석 기법을 통해 문제 해결을 위한 지식과 시사점, 대응 방안을 제공하고자 “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함.    레그테크 (RegTech)란 규제(Regulation)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기존 금융 사업 모델을 운영함에 있어 각종 규제 및 법규에 효율적,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소비자 신뢰와 준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로 금융 서비스 부문의 규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 기술로 최근 학계와 정부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레그테크는 빅데이터(Bigdata), 인공지능(AI), 블록체인(Blockchain) 분석 등을 통해 규제 대응을 자동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활용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   『KISTI 이슈브리프』제7호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법령․규제 관리를 통한 사회 문제 사전 대응을 위해 레그테크 동향과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금융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 인공지능․빅데이터 등의 발전에 따라 금융서비스가 지능화․자동화 되고, 규제환경 또한 더욱 복잡․다양화 되면서 금융회사의 규제 준수 어려움 증대되고 있으며, 또한, 소방, 관세, 환경 등 多규제 분야에서도 레크테크 활용을 위한 레그테크 기업 및 서비스 촉진을 위해 레그테크 생태계 구축과 공유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최근, 일부 대기업에서 인공지능·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레그테크 기술 개발을 시도하고 있을 뿐, 최신 기술에 대한 기술 격차가 큰 국내 중소기업들은 관련 시장에 참여를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공지능·빅데이터·블록체인 등 지능화·자동화 기반기술을 통한 국가적 차원의 법령·규제 관리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국가적 차원의 지능형 플랫폼 공유․활용을 통한 법령․규제 사업 고속화를 위한 정부출연 연구소들의 선도적 역할을 위해 KISTI의 역량을 제시하였다.   첫째,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상시적이고 지능적인 사회 이슈 모니터링 및 서비스 제공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올해 이슈 탐지 성능 90% 이상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둘째, 국가 R&D정보 수집·관리·활용 등에 블록체인 기술 적용 가능성을 진단함으로써 공공데이터 부문에서 선도적 기술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셋째, 국내 최초 출연연 연구기관들을 대상으로 연구데이터를 수집 및 통합·관리하는 국가연구데이터 연계 통합 시범 플랫폼 개발하였고 지속적으로 고도화 및 확산을 위해 연구 중에 있다.   KISTI 최희윤 원장은“4차 산업혁명시대에 법규와 규제에 대하여 투명성과 일관성을 향상시키고 규제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 모호한 규정에 대한 건전한 해석을 제공함으로써 기업들이 규제에 대해 저비용·고효율 대응할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하다”면서,“이번 KISTI 이슈브리프 제7호를 통해 국내 연구자 및 정책 입안자 등이 법령·규제 관리 플랫폼 구축과 관련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 192019. 03
    No. 354 View. 21801

    과학기술 정보인프라 분야의 정책 방향 제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과학기술 정보와 인프라를 활용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과학기술 데이터 생태계를 견인하고 국가․사회․지역의 이슈 및 현안에 대응하기 위해 15편의 『KISTI 정책연구보고서』를 발간하였다.   『KISTI 정책연구보고서』는 국가 과학기술 지식자원의 공유․활용 생태계 활성화,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국가 슈퍼컴퓨팅 생태계 구축, 데이터 기반 지능형 정보분석 체계 구축 등에 관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과학기술 지식자원의 공유․활용과 관련하여 ‘오픈액세스 학술출판 동향과 추진 방안’ 보고서에서는 건전하고 투명한 학술출판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연구개발 패러다임 동향과 국가 R&D정보 정책 및 사례 분석’ 보고서에서는 국가 R&D 데이터를 분석 및 활용한 사례를 설명하였다. 또한 데이터 기술(Data Technology)과 과학기술정보인프라 정책연구’ 보고서에서는 데이터 기술(Data Technology)의 미래 방향과 과학기술 정보인프라의 발전 방안을 제언하였다.   국가 슈퍼컴퓨팅 생태계 구축과 관련하여 ‘데이터 집약형 R&D 육성 전략’ 보고서에서는 고성능컴퓨팅과 함께 데이터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KISTI 슈퍼컴퓨터 5호기 운영방안 수립을 위한 국내외 서비스 동향조사’ 보고서에서는 슈퍼컴퓨터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국내외 서비스 정책 및 기술 동향을 분석하였다. 초고성능 컴퓨터 활용 전략과 지능정보사회에서의 정책적 고려사항을 제시한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통한 지능정보사회 구현 전략 수립 연구’ 보고서 외에도 계산과학공학지원 플랫폼, 고성능 클라우드 구축, 최신 사이버위협 등에 관한 4편의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데이터 기반 정보분석과 관련하여 ‘지식서비스 플랫폼 전략 연구’ 보고서에서는 민간/공공 부문의 플랫폼 사례를 분석하여 지식서비스 플랫폼 전략을 제시하였고, ‘국내외 주요기관이 전망한 미래기술의 흐름’ 보고서에서는 증거 기반(evidence-based) 미래기술의 메가트렌드를 분석하였다. 미국 정보고등연구기획국(Intelligenc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ctivity, 이하 IARPA)의 첨단 연구 조사․분석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새로운 발전 기회와 과학기술/지식정보 트렌드, 국가 차원의 과학기술 혁신 방향 등을 제언한 ‘과학기술 지식정보 고도화 연구 활동 조사․분석’ 보고서 외에도 과학기술 혁신 플랫폼 구축, 콘텐츠 서비스 블록체인 적용에 관한 2편의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KISTI 정책연구보고서』를 통해 국가와 국민을 위한 데이터 생태계 중심기관으로서의 KISTI의 주요 역할과 연구성과를 외부에 확산하고, 국가 혁신성장을 위한 과학기술 정보인프라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KISTI 최희윤 원장은 “KISTI가 연구사업 추진과 함께 정책연구보고서를 지속적으로 발간하여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한 정책 및 전략 방향을 마련하는데 적극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하였다.    
  • 112019. 03
    No. 353 View. 22269

    KISTI 최희윤 원장, 플라스틱 프리 챌린지 동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최희윤 원장은 3월 8일(금) ‘플라스틱 프리 챌린지’ 캠페인에 직원들과 동참했다.    최근 SNS에서 활발히 진행 중인 ‘플라스틱 프리 챌린지’ 캠페인은 플라스틱 사용으로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2018년 11월 세계자연기금(WWF)과 제주패스가 공동 기획한 릴레이 환경 캠페인이다.  개인이 사용하는 텀블러 사진을 SNS를 통해 인증시 건당 1,000원을 적립되고, 이 적립금으로 제작한 텀블러 판매 수익금은 제주도 환경보전과 세계자연기금에 기부하게 된다.    최희윤 원장은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환경오염이 심각한 만큼 환경을 생각하는 친환경 캠페인에 동참하게 되어 의미가 깊다”며, KISTI에서도 플라스틱 컵 사용 제한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최희윤 원장은 캠페인 다음 주자로 김장성 원장(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김성수 원장(한국화학연구원)을 지목했다.
  • 282019. 02
    No. 352 View. 20530

    2개의 아시아 태평양 최대 인터넷 컨퍼런스 성황리 마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대전 대덕컨벤션센터에서 18일부터 28일까지 10일간 아시아태평양지역 최대 규모 연구망 컨퍼런스인 제47회 Asia Pacific Advanced Network(이하 APAN)와 2019 아·태지역 인터넷 운영·기술 정상회의(Asia Pacific Regional Internet Conference on Operational Technologies, 이하 APRICOT 2019)를 국내외 전문가 1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공리에 개최하였다.     아태지역 최대 규모의 APRICOT 인터넷 컨퍼런스는 2000년 서울에서 개최된 이후 19년 만에 국내에서는 두 번째로 대전에서 개최되었다. 그뿐 아니라 아태지역 최대 규모의 연구망 컨퍼런스인 APAN과 동시에 개최된 것은 국내 최초이다.     APRICOT2019는 전 세계 64개국에서 참여한 차세대 인터넷, 5G,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정보보안 등 유무선 인터넷 분야의 아·태지역 최대 컨퍼런스이다. 특히 금년에는 넷플릭스, 아마존, 페이스북 등 세계 유수의 인터넷 기반 세계적인 기업들이 참여하여 서비스 기반이 되는 인터넷에 대한 첨단 운영 기술 교류하였다,      함께 개최된 APAN47은 미국, 유럽, 일본, 호주, 싱가포르 등 25개국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아시아 지역을 대표하는 연구망 컨퍼런스로써, 과학데이터전용망기술(ScienceDMZ), SDN(Software Define Network)등 미래 인터넷을 선도하는 연구망 기술을 공유하고 협력하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KISTI는 이번 행사를 통해 미국, 유럽, 일본, 싱가포르 등의 참석자들과 함께 미래 네트워킹 기술의 공동협력을 추진하였으며, 특히 미국 에너지성 국가연구망(ESnet, Energy Science Network)과 함께 기존 네트워크의 속도에서 2~10배 빠른 한-미간의 과학데이터전용망모델 중심의 페타급 과학 빅데이터 전송을 구현하는 글로벌 빅데이터 하이웨이 구축에 협력하기로 하였다.     또한 , 행사기간 동안 참여한 해외 전문가들 대상으로 ETRI, KAIST 등 기관투어를 진행하여 국내 다양한 연구기관들의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글로벌 협력이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인터넷 기술의 보급을 위한 캠퍼스 네트워크 설계 및 운영, 네트워크 관리 및 모니터링, IPv6 구축, 네트워크 보안 등에 대한 교육과 함께 페이스북이 후원하는 해커톤 이 개최되는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되었다.     KISTI 최희윤 원장은 “두 개의 아태지역 최대 컨퍼런스의 동시 개최와 성공적인 마무리는 아태지역에서 IT 기술을 선도하는 리더로서의 한국의 역할을 다한 것이고, IT 강국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기회가 되었다.” 라고 하면서 “이번 기회를 통해 전 세계 간 국경의 경계 없이 다양한 과학기술 빅데이터 생태계를 구축하는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 282019. 02
    No. 351 View. 24778

    KISTI, 데이터중심 글로벌 빅데이터 하이웨이 구축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아시아태평양지역 최대 규모 연구망 컨퍼런스인 제47회 Asia Pacific Advanced Network(이하, APAN)를 통해 한국과 미국, 그리고 유럽을 연결하는 글로벌 빅데이터 하이웨이를 구축하는 협력을 추진한다.   APAN은 18일부터 22일까지 5일간 미국, 일본, 호주, 싱가폴 등 25개국 350 여명의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번 APAN에서 KISTI는 미국 에너지성 국가연구망(ESnet, Energy Science Network)과 함께 기존 네트워크의 속도에서 2~10배 빠른 한-미간의 대용량데이터전송모델(이하 ScienceDMZ)중심의 페타급 과학 빅데이터전송을 구현하는 글로벌 빅데이터 하이웨이 구축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협력으로 국내와 미국뿐 아니라 일본, 싱가포르 등 아시아 지역의 에너지 실험시설, 천문용 관측 장비에서 발생하는 대규모의 빅데이터를 국내 연구자들이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자신의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글로벌 연구환경의 구축을 기대하고 있다.   한편, APAN과 함께 18일부터 28일까지 아시아태평양지역 최대 인터넷 운영자 컨퍼런스(Asia Pacific Regional Internet Conference On Operational Technologies)도 동시에 개최하고 있다. 두 컨퍼런스에는 총 1,000명 이상의 미국, 유럽, 호주, 일본 등에서 온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인터넷 운영기술 뿐만 아니라, ScienceDMZ, 빅데이터, AI, 통합인증 등 다양한 분야의 첨단네트워크 기술을 공유하고, 국가간의 협력을 추진한다.   KISTI 석우진 과학기술연구망센터장은 “현재 과학 빅데이터는 대륙과 나라의 경계를 넘어서 활발히 교류되고 이러한 데이터로의 접근과 활용여부는 국가의 과학기술경쟁력의 잣대로 여겨진다.“라면서 ”글로벌 빅데이터 하이웨이를 통해 기존에 인터넷메일을 보내듯이 대규모의 과학데이터를 쉽게 보내고 받게 될 것이다.“ 라고 말했다.
  • 262019. 02
    No. 350 View. 20331

    4차 산업혁명 시대,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탈추격전략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국가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라 질적 R&D혁신의 출발점으로서 과학기술혁신투자플랫폼(R&D PIE)를 소개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한 『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했다.     구조적인 저성장 국면에 접어든 현실에서 맞이한 4차 산업혁명을 국가의 잠재적 성장률을 제고시킬 수 있는 모멘텀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추격형 R&D를 극복하고 4차 산업혁명이 내포하고 있는 창의적 융합R&D, 신속한 R&D 그리고 효율적 R&D가 가능한 탈추격형 (First Mover) R&D 전략으로 변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생산주체의 규모효과 (scale effect)를 통한 효율성 증대에 초점을 두었던 기존의 성장방식으로는 (총요소)생산성의 하락, 자본축적의 둔화와 같이 우리 경제 현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이제는 ‘효율의 추격 전략’에서 벗어나 (총요소)생산성 확충을 위한 ‘혁신의 탈추격 전략’으로 성장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개방과 협력을 통한 창조적 융합을 구현할 수 있도록 기술적 측면을 비롯하여 교육과 인력양성, 규제와 제도, 투자와 금융, 사업화를 아우를 수 있는 통합적 기획이 절실한 시점에 처해 있다.     『 KISTI 이슈브리프』제6호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통합적 과학기술혁신기획의 일환으로서 과학기술혁신투자플랫폼(R&D PIE) 을 소개하고 그 현황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과학기술혁신투자플랫폼 (R&D PIE)은 기술중심의 종적인 사업별 예산 배분 방식에서 탈피하여 4차 산업혁명의 특성인 기술이 시장과 사회로 확산되는 횡적경로인 ‘기술-산업-인력양성-제도-정책’을 패키지 형태로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세계최초의 횡단면 기술혁신(cross-ting innovation) 연계형 R&D 투자의사결정지원 체계이다.     특히 , 논문정보, 특허정보, 국가R&D과제정보(NTIS), 법제도 분석 등 데이터 기반 분석을 통해 종합적인 현황과 객관적 근거에 기반한 R&D투자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데이터 기반의 한국형 과학기술혁신프레임워크’를 구축하였다는 데 의의를 갖고 있다.     우선적으로 4차 산업혁명 관련 8개 분야에 대해 기술분류체계, 인력양성, 제도, 정책 등을 분석하여 구현한 R&D PIE 사례를 소개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과학기술혁신투자플랫폼(R&D PIE)을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국가R&D혁신시스템 고도화와 연계하기 위한 주요 방안을 제시하였다.     자율주행차 , 고기능무인기 등 8개 분야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발굴된 기초과학-핵심기술-기반기술-융합기술 등 기술분류체계를 근거로 정책 및 제도개선과 연계성 등이 검토된 R&D 투자분석과 정책적용 현황을 소개하였다.     또한 국가과학기술정보서비스 (NTIS)와 R&D PIE와의 연계 체제를 강화함으로써 국가연구개발자원과 산업인력양성 현황이 R&D PIE 시스템과 연동되어 모든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 분석하고 기술-산업-인력-정책 및 제도가 상호 연계되어 국가 연구개발투자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KISTI 최희윤 원장은 “우리나라는 주요국에 비해 4차 산업혁명 분야가 아직까지 뒤쳐져 있거나, 신흥국들의 추격을 받는 상황이며 사회경제적인 큰 틀에서 제도적으로 풀어야 할 과제가 아직 많이 남아있다.”면서, “정부R&D투자분석시스템인 R&D PIE 플랫폼이 4차 산업혁명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과학기술혁신프레임워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국내 연구자 및 정책 입안자들이 이를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시사점을 얻음으로써 4차 산업혁명 대응 과학기술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 182019. 02
    No. 349 View. 26014

    KISTI, 엔비디아·오크리지연구소(美)·연세대와 함께 해커톤 개최

      2019년 전 세계 11개국에서 개최되는 ‘GPU 해커톤 2019’가 국내에서 첫 테이프를 끊는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엔비디아(NVIDIA), 미국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이하 ORNL), 연세대학교와 함께 18일부터 22일까지 5일간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에서 해커톤*(KISTI GPU Hackathon)을 개최한다. *해커톤(Hackathon) : 해킹(hacking)과 마라톤(marathon)의 합성어로 기획자, 개발자 등이 팀을 꾸려 긴 시간동안 프로그래밍 등의 과정을 통해 결과물을 만드는 대회   이번 ‘KISTI GPU 해커톤 2019’는 병렬 계산을 위한 표준 프로그래밍언어인 오픈에이씨씨(OpenACC*) 와 쿠다(CUDA*)를 사용하여 GPU에서 본인의 코드를 최적화하고 성능을 가속화 한다. 2018년 12월 10일부터 2019년 1월 11일까지 참가신청을 받아 16개 팀이 신청하였다. 이 중 심사를 거쳐 6개의 팀 ▲DCSLAB(최재익 외 5명, 서울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MOM: Monster of Modeling(김기하 외 3명, 연세대학교) ▲TeamULSAN(안형택 외 5명, 울산대학교) ▲FVCOMik(김동훈 외 4명, 인하대학교, KISTI) ▲ELSA(김민정 외 2명, LG전자) ▲Mallang Caw(김유신 외 2명, 공군기상단, 크레이(CRAY))이 선정되었다. *OpenACC : Cray, CAPS, NVIDIA와 PGI에 의해 개발 된 병렬 계산을 위한 표준 프로그래밍언어 *CUDA : 그래픽 처리 장치(GPU)에서 수행하는 (병렬 처리) 알고리즘을 C 프로그래밍 언어를 비롯한 산업 표준 언어를 사용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참가팀은 해커톤 기간 동안 KISTI에서 제공하는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 보조시스템인 GPU 클러스터(KAT)를 이용한다. KISTI, 엔비디아, ORNL 슈퍼컴퓨팅센터에서 온 국내외 전문가 15명이 각 팀에 2명씩 멘토로 배정되어 특정 코드를 GPU로 이식하고 성능 최적화 및 가속화를 통한 연구문제를 해결한다.   KISTI과학데이터스쿨 안부영 실장은 “국내외 최고의 멘토들과 함께 GPU에서 코드를 가속화하고 최적화하기 위한 전문 지식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라며 “엔비디아와의 국내 최초 OpenACC GPU 해커톤 행사를 시작으로, 매년 정기적인 이벤트로 자리 잡아 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OpenACC GPU Hackathon 2019.2.18 월~2.22 금 4박5일간 진행됩니다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참가자격 : 문제해결을 위한 코드 소유, 대학원 이상, 영어 가능자 참가신청 : http://kacademy.kisti.re.kr https://www.olcf.ornl.gov/gpu-hackathons/ 신청문의 : kacademy@kisti.re.kr(042-869-0650) 신청기간 : 2018.12.10(월)~2019.1.31(목) 심사기간 : 2019.2.1(금)~2019.2.6(수) 선정팀 발표 : 2019.2.7(목) 9:00 오리엔테이션 : 2019.2.11(월) 11:00 연세대학교 공학관 509호 Hackathon 진행 : 2019.2.18(월)~22(금) 17:00 (세부일정 추후통보) 주관/주최 : KISTI, NVDIA, 연세대학교 AI연구단, ORNL(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Graphics Processing Uint, Programming Language, Hackathon(Hacking+Marathon) POpenACC 관련 툴을 사용하여 GPU 가속화(또는 최적화) 수행 기회를 제공하고 코드 최적화를 통한 연구문제 해결 및 거대 연구과제에 도전하는데 본 대회 개최 목적이 있습니다. 1팀은 인원 3~6명으로 구성되며 팀별 멘토는 2명이 배정됩니다. 팀별 해결 코드 준비 및 OpenACC CUDA 사용 코드 가속화, GPU 코드 이식 및 성능 최적화를 통한 문제를 해결합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SITI과학데이터스쿨, nVIDIA, 연세대학교, OAK RIDGE
  • 182019. 02
    No. 348 View. 26224

    KISTI, 데이터 중심 연구에 발맞춘 네트워킹 연구환경 마련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14일 KISTI 본원에서 20개 정부출연연구기관 대상으로 빅데이터 중심의 변화하는 연구현장의 기술과 인프라에 대비하는 ‘KREONET R&E Together 협력위원회’를 개최하였다.   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R&E Together는 2015년 미국에서 시작한 태평양 리서치 플랫폼(PRP) 프로젝트*처럼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진 다수의 연구기관이 과학데이터의 전송과 공유의 중심을 기존의 백본 속도중심에서 종단 성능중심으로 발전시켜 데이터 중심형 과학을 발전시키기 위한 프로젝트이다. *태평양 리서치 플랫폼(PRP) 프로젝트 : 미국 국립과학재단(NSF)과제로서 미국 대학 및 연구소 대상으로 한 오픈사이언스 플랫폼으로 사이언스 프리웨이 구축을 통해 과학문야 빅데이터의 초고속 전송, 공유, 계산을 위한 연구환경 제공    ‘KREONET R&E Together’ 는 기존 네트워크의 속도에서 2~10배 빠른 대용량데이터전송모델(이하 ScienceDMZ) 네트워킹 기술을 중심으로, 연구자가 연구현장에서 발생한 과학데이터 뿐만 아니라 다른 연구기관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본인의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연구 환경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은 1988년부터 과학기술처(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산학연 주요 200여 개 기관의 다양한 과학기술정보자원과 슈퍼컴퓨터, 첨단과학기술분야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연구자들에게 공동협업연구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KREONET R&E Together’는 기존 구축된 초고속 네트워킹환경에 실제 연구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ScienceDMZ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성능과 접근성을 더해서 빅데이터를 연구현장에 접목할 수 있는 데이터 중심형 연구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KISTI 석우진 과학기술연구망센터장은 “기존의 초고속이지만 물리적 속도에 머물러 있던 기존의 네트워킹 환경에서, 연구자들이 속도 그 이상을 체감하고 접근성이 용이한 성능중심 네트워킹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라며 “4세대 데이터 중심의 과학으로의 빠른 변화와 이를 대처하는 네트워킹 기술과 인프라의 변화는 시급하다. 이번 ‘KREONET R&E Together’는 기존 연구현장의 데이터를 통한 협력뿐 아니라 데이터 간 융합을 통해 새로운 분야의 연구 창출도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담당부서대외협력실
  • 담당자박준수
  • 연락처042-869-0864
Back to Top